10월 29일입니다. 1년이 지났고 유족들의 아픔은 생생하기만 한데 제대로 된 진상규명도 재발방지 대책도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이태원 참사로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정의연 활동가들은 지난 10월 27일,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 집중추모기간에 서울광장 분향소 지킴이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새로 활동을 시작한 신입활동가들과 함께 분향소 앞을 지키며 지나는 시민들에게 보라리본을 나눠드리고, 끈으로 리본을 만들고 가만히 유가족들 옆에 함께 했습니다. 시민들의 목소리가 담긴 메모지를 붙이기도 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10월 29일(일)에는 시청광장에 정의연 깃발을 들고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 “기억, 추모, 진실을 향한 다짐”에 참석했습니다.
유가족들과 함께 울었고, 함께 분노했고, 함께 다짐합니다. 진상규명과 특별법 제정이 이루어지는 그 날까지 정의기억연대는 유가족들과 함께하겠습니다.
10월 29일입니다. 1년이 지났고 유족들의 아픔은 생생하기만 한데 제대로 된 진상규명도 재발방지 대책도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이태원 참사로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정의연 활동가들은 지난 10월 27일,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 집중추모기간에 서울광장 분향소 지킴이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새로 활동을 시작한 신입활동가들과 함께 분향소 앞을 지키며 지나는 시민들에게 보라리본을 나눠드리고, 끈으로 리본을 만들고 가만히 유가족들 옆에 함께 했습니다. 시민들의 목소리가 담긴 메모지를 붙이기도 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10월 29일(일)에는 시청광장에 정의연 깃발을 들고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 “기억, 추모, 진실을 향한 다짐”에 참석했습니다.
유가족들과 함께 울었고, 함께 분노했고, 함께 다짐합니다. 진상규명과 특별법 제정이 이루어지는 그 날까지 정의기억연대는 유가족들과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