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온라인 댓글로는 임계재, 서유리아, 이원석, GY, 한성원, Sung Park, 역사교과서 읽어주는 남자, Hyeyoon Chung, Friends of 'Comfort Women' in Sydney – 시소연, 소도리, Jacques, 임채란, 우순덕, 서진원 님이 함께해 주셨습니다.
이날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등 많은 학생들이 참가하였습니다. 그런데 매주 수요시위를 방해하는 역사부정세력은 수요시위 대열을 향해 확성기를 대고 “위안부는 매춘부다”, “매춘부 교육하러 왔냐?”라는 등의 모욕과 성희롱 섞인 발언을 계속하였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이 모든 행위들을 방치하였습니다. 양 단체의 시위를 공정하게 처리한다는 미명하에 안전하고 평화롭게 시위를 할 시민들의 권리를 전혀 지켜주지 않는 종로경찰서에 강력하게 항의합니다. 수요시위 방해행위, 모욕 행위, 성희롱 행위 들을 강력히 제재해 주십시오.
혼란스럽고 소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수요시위에 끝까지 함께해 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무대와 음향은 휴매니지먼트에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언제나 고맙습니다.
제1607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주간보고
오는 4일은 「고노 담화」가 발표된 지 30년이 되는 날이다. 국내외 피해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움직일 수 없는 역사적 증거들이 나오자 더 이상 진실을 부정하기 어려웠던 일본 정부는 1993년 8월 4일, 「위안부 관계 조사 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를 발표한다.
이른바 「고노 담화」에는 첫째, 위안소 설치, 관리 및 위안부 이송에 관한 일본군의 직간접적 관여 인정, 둘째, 모집과 이송의 강제성 인정, 셋째, 가혹한 위안소 상황 인정, 넷째, 이상의 과정에서 당사자 명예와 존엄성 훼손 인정, 다섯째, 재발방지를 위한 역사연구와 역사교육 약속, 마지막으로 사죄와 반성이 표명되어 있다. 일본군과 관헌의 약취, 본인의 의사에 반한 모집·이송·관리, 군위안소 안에서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그러나 「고노 담화」는 모집에 관한 업자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일본 정부와 군의 ‘주도’가 아닌 ‘관여’라는 애매한 표현으로 책임소재와 불법성을 흐리고, 체계적 진상규명과 법적 배상에 대한 언급이 없는 등 근본적 한계를 지닌다. 법적 책임을 부인하고 있기에 책임자 처벌도 요원하다.
무엇보다 이후 일본 정부의 행보는 한 입으로 두 말 하는 이중성의 전형을 보여 왔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보상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면서, 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1995년 시민모금에 기반한 소위 ‘국민기금’을 발족시켰다. 피해자들을 분열시키고 한일 시민들에게 커다란 상처를 입힌 국민기금 이후, 일본 사회 전반의 역사적 퇴행도 심각하게 진행되어 왔다. 특히 2007년 3월 16일 아베 내각은 “‘군이나 관헌에 의한 이른바 강제연행을 직접 드러내는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사실상 「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각의결정을 감행했고, 2012년 9월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고노 담화」 검증을 언급했다. 역대 내각 대부분이 입으로는 계승을 외치면서 사실상 ‘강제연행’을 부인하고 ‘성노예’를 근거 없이 부정하며, 각종 각의 결정을 통해 「고노 담화」를 뿌리째 흔들어 왔다. 전 세계 ‘평화의 소녀상’ 철거를 위해 다른 나라 정부・의회・자치단체·대학·시민단체를 전 방위적으로 압박하면서, ‘기억을 통한 재발방지’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했다.
이런 형극에 윤석열 정부의 굴욕적 대일관은 점입가경이다. 취임 초기부터 ‘2015 한일합의’ 정신 준수를 외치더니 마침내 강제동원 ‘제3자 변제안’을 내놓고, 한반도 불법강점, 강제동원, 일본군성노예제를 모두 부정하는 일본 우익의 숙원을 앞장 서 해결해 주고 있다. 일본과의 군사협력을 위해 역사를 망각하고 한반도를 전쟁 위기 속에 몰아넣는 길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런 참담한 상황에서 오늘 정의기억연대는 「고노 담화」 30주년을 맞아 한일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고노 담화」를 사실상 형해화하며 한·일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암담하고 어두운 시절에도 희망의 횃불을 번쩍 들었던 피해생존자들과 선배 활동가들의 용기를 다시 우리 가슴에 새기려 한다. 연대의 힘으로, 사랑의 힘으로, 정의의 공동체, 기억의 공동체를 끊임없이 갱신하며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려 한다. 이 길에 함께 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2023년 8월 2일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이나영
연대발언_남양주여성회 역사캠프 참가자 김휘건, 김휘강
대한민국의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일본은 사죄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이 우리나라에 반성하는 태도가 보이지 않는데 우리나라는 용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 용서해줘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일본이 과거에 어린 소녀들을 성노예로 만들고선 우린 그런 적 없다, 자발적으로 지원했다, 등등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거짓된 주장을 멈추고 진실을 밝혀야 하고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해야 합니다.
그분들이 겪으셨을 공포, 치욕스러움을 저로선 상상하기도 힘들고 상상만해도 마음이 아픕니다.
그런데 지금 일본의 태도가 옳은가요? 지금 우리에겐 거짓, 돈 따위가 아닌 진정성있는 사과가 필요합니다. 일본은 거짓을 뒤로 하고 진실을 마주할 때가 왔습니다.
일본은 지금 한시라도 빨리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기 바랍니다.
연대발언_레기나 뮐호이저(독일 함부르크 학술문화지원재단 전시성폭력 연구팀)
Wednesday Demonstration, 2 August 2023
Regina Mühlhäuser (International Research Group “Sexual Violence in Armed Conflict”, Hamburg)
안녕하세요
The first time I was at this demonstration was almost 30 years ago, in 1994. At the time, many survivors were here, fighting for their rights.
Today, most of them passed away. But we are here to carry on their legacy.
When Japan released the Kono-Statement it acknowledged that the Japanese military was involved in the comfort women-system. Still, Japan was - and is - not ready to fulfill its’ responsibilities for this grave crime.
Even in Germany, Japan spends so much time and resources trying to remove the “statue of peace” in Berlin and other cities.
But we will not let Japan succeed. We will never forget this crime.
Even though most of the comfort women survivors did not get justice in their lifetime, they have accomplished something exceptional:
They came forward with their faces and their stories and they made clear: We are victims of a grave human rights violation. We refuse to be shamed and silenced.
This courage of the survivors to come forward and speak is a gift to us all.
It inspired us in Europe to start talking about sexual violence by the German army in WWII.
And it inspires survivors of conflict-related sexual violence today – like Jezidi women in Iraq – to come forward and fight for acknowledgment and justice.
Let us cherish this gift the survivors presented us.
Let us work to create awareness that this form of violence is a grave crime that must be persecuted and prevented. And let us work to support the survivors in whatever they need – here in Korea, in Asia, and all over the world.
제가 처음 수요시위에 참여했을 때는 1994년으로 30년 정도 전입니다. 당시에는 많은 피해생존자들이 정의를 위해 이곳에서 함께 싸웠습니다. 저희는 그들의 정신을 이어받기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고노담화를 발표했을 때 그들은 일본군이 일본군성노예제에 일정 부분 관여했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아직도 이 전쟁범죄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독일에서조차 일본은 베를린과 다른 도시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철거하는 데에 막대한 자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일본정부가 이런 방식으로 이기게 두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결코 그들의 범죄행위를 잊지 않을 것입니다.
수많은 피해생존자들은 투쟁의 과정에 있어 아주 특별한 성취를 이룩했습니다. 직면과 증언을 통하여 그들은 그들 자신이 거대한 인권침해의 피해자이며, 스스로를 부끄러워하거나 침묵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명확하게 전달했습니다.
피해생존자들의 용기있는 증언은 곧 우리 모두의 위대한 유산입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독일군이 행한 전시성폭력에 대한 고발들은 유럽 전체를 깨우치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외침은 현시대의 이라크 야지디 여성들 등 전시성폭력 피해생존자들로 하여금 법적책임과 정의를 요구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었습니다.
피해생존자들이 남긴 이 유산이 헛되지 않도록, 이런 형태의 폭력은 중죄이며 처벌받아야 하고 또한 예방되어야 함을 끊임없이 상기합시다. 그리고 한국, 아시아, 전세계의 피해자들을 위해 강력하게 연대합시다.
연대발언_한바른(고등학교 일본군'위안부'문제 탐구 동아리)
이번 시위로 수요시위도 1607차에 다다랐습니다. 약 30년에 걸친 긴 세월의 시위 동안 수요시위에서는 일본 정부의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인정, 공식 사죄, 법적 배상이라는 직접적이고 올곧은 주장을 해왔음에도, 모두의 참여와 연대, 노력과 외침이 무색해질 만큼 그 중 무엇 하나 제대로 이루어진 것이 없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의 문제를 해결하고,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의 교육 뿐만 아니라 가해국인 일본에서의 교육 또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가해 사실과 이에 대한 사죄의 태도를 가르쳐야 할 일본은 뻔뻔하게도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조차 일절 금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일본에서 내놓은 일본통합 교과서 12종 중,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교과서는 8종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마저도 각주나 부록이 아닌 본문에 직접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이 실려있는 교과서는 3종이 전부였습니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도 단 한 권만이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강제성을 인정하고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을 뿐, 다른 교과서에서는 일본군 위안소와 일본군성노예제의 수 등의 사실 관계만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었습니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30종 모두에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고 기술된 것과는 매우 대비되는 태도였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그 단순한 언급마저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2021년 4월, 검정을 마친 교과서들을 살펴보면 모든 교과서에서 ‘종군 위안부’,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 등의 표현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나마 남아있는 교과서에서의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은 ‘많은 여성이 위안부가 되었다.’ 식의 서술 정도만 남아있었습니다. 이는 일본군성노예제의 주체가 일본군, 즉 일본 정부이고 그 직접적인 책임이 일본에게 있다는 사실을 철저하게 묵살하고 은폐해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에 대한 근본적인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과거 일본은 고노 담화에서 역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역사적인 사실을 회피하지 않고 교훈으로써 직시해나가겠다고 밝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일본 정부의 잘못을 은폐하고, 학생들에게 교육하지 않는 행동은 고노 담화에서의 발언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며,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책임 또한 사죄와 배상보다는 회피로써 대처하려는 의도가 다분합니다.
제가 배우고 있는 한국사 교과서 속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은 고 김순덕 할머니께서 그리신 끌려감이라는 작품과 함께 언급되는 것이 전부입니다. 그마저도 그림에 대해 생각해보자는 내용으로 끝을 맺을 뿐,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교육을 위한 자료라고 보기에는 부족합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는 한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하여 최소한의 사실조차도 알 수 없는 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일본군성노예제 교육에 대한 실태입니다.
물론, 학교 내의 선생님들께서 추가적인 자료를 통해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하여 교육해주시기도 하지만 이는 결국 각 선생님들의 재량에 달려있을 뿐입니다. 실제로 저는 초등학교, 중학교 역사 수업 당시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을 듣지 못하였고, 심지어 중학교 교과서에는 언급조차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학생들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를 접할 기회조차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일본군성노예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저는 현재 대한민국 학생의 신분으로서, 대한민국 정부에게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해 허울뿐인 교육이 아닌 최소한의 의무적이고 구체적인 교육이 대한민국 학생들에게 이루어지기를 요구합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이 있죠. 이 자리에 계신 여러분들도 한 번씩은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지금 우리는 역사를 잊는 것이 아닌 잊히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역사를 잊힌 민족에게 더더욱 미래란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의 미래 속에 일본 정부의 공식적이고 진심어린 사죄가 존재하길 바라며 일본 정부와 대한민국 정부에게 세 가지를 요구합니다.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사실을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죄하며 이에 대해 법적 배상하라.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 내 검정 교과서에 일본군성노예제의 강제성과 일본 정부의 책임 등의 진상을 의무 수록하라.
하나,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적이고 구체적인 교육을 실시하라.
연대발언_정인호(고등학생 참가자)
1932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을 포함한 많은 국적의 여성이 일본 제국주의의 강제 동원 정책 중 ‘위안부’로 동원되어 현재까지도 과거의 아픔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채 몸부림치고 있다. 그런데도 일본 정부 및 강제 동원과 관련한 일본 기업은 여전히 한 치의 사과도 없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는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렇다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은 무엇인가? 피해자들의 증언은 거짓으로부터 비롯한 것인가? 피해자들의 외침이 거짓이라면, 피해자들이 흘리는 피눈물과 마음에서부터 우러나는 외침은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이러한 이질적이고, 거짓으로, 때로는 회피하고자 하는 일본 정부의 만행을 고발하고자 이 성명서를 작성한다. 진실이 감춰진다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앞으로도 더 한 아픔을 겪게 될 것이 자명하며, 결국 아픔의 역사만이 피해자들과 피해자의 가족들 그리고 피해 국민에게 남겨지게 될 것이다.
이를 바로 잡고자 나는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에게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요구하는 바이다.
첫 째, 일본 정부는 반인류적 전쟁 범죄인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문제에 대해 법적 책임을 인정하라. 1993년의 고노 담화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여겼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일본 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거리를 두며 일본군 ‘위안부’ 역사를 부인하였다. 현재까지도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를 ‘군 위안부’가 아닌 ‘위안부’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일본 당국의 책임을 부인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진실된 증언과 관련 연구 단체들이 밝힌 역사적 사실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행위이다.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직시하였던 고노 담화를 계승하여 내각과 국회를 중심으로 국가 차원의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사죄하라. 국가의 행위와 책임을 배제한 채 민간의 행위로만 일본군 ‘위안부’를 바라보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모욕과 망언을 중단하며 역사를 직시하라.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게 고노 담화 계승을 요구하라.
둘 째, 일본 정부와 관련 기업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공식적 사죄와 법적인 배상을 시행하라. 1995년 이루어진 국민기금은 민간기금을 강조한 것뿐만 아니라, 국가 간 거래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배상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2015 한일 합의에서도 일본 정부는 위로금이라는 명목으로 10억 엔을 건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법적 책임을 피하고자 하였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마주하는 것이 아닌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국가 간 차원에서 마치고자 한 행위와 다를 바 없다.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직접 대면하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입장을 반영한 새로운 외교 정책의 구축과 법적 배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라. 한국 정부 또한 피해자의 목소리가 배제된 합의는 역사의 오점이자, 또다른 갈등의 씨앗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피해자의 목소리를 담은 진실된 합의안의 체결을 요구하여 올바른 역사 문제 해결을 통한 한일 외교 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바이다.
셋 째,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 역사적 사실을 직면하며, 역사 교과서에 기재하라.
일본 정부는 2022년부터 사용될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성에 관한 내용을 대부분 삭제하였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회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앞으로 일본의 시민으로 자랄 일본 학생들에게 잘못된, 왜곡된 역사를 인식하게 하여 역사의 악순환을 되풀이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역사를 부정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 피해자의 증언에 따라 역사를 기술하며 진보된 역사관을 보여야 할 것 이다. 한국 정부도 일본의 역사 교과서 바로잡기를 위한 교육적, 외교적 노력을 촉구한다.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의 거짓 없는 진실된 사죄와 법적인 배상을 요구하는 바이며, 지금까지의 일본 정부의 잘못된 언행과 조치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바란다. 지금이라도 일본군 ‘위안부’를 직접 마주 보며, 피해자들의 아픔을 직시함으로써, 피해자들의 아픔에, 몇 십 년간의 목마름에 단비같은 외교적 태도의 변화를 촉구한다.
현재 공식적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9명 밖에 남지 않았다. 즉,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에게 사죄할 시간과 사죄할 기회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에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아픔을 직시하고, 일관적이고 즉각적인, 피해자를 위로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더 이상의 역사적 아픔이 후세에까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대발언_아시아문화탐구반(중학교 동아리)
저희는 중학교 3학년과 1학년으로 이루어진 아시아의 문화를 탐구하는 동아리입니다. 일본군’위안부’문제가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아시아·태평양 전역에 걸쳐 이루어진 일이기 때문에 동아리 담당 선생님이 탐구 주제로 정해주셨고,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껴 수요집회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배우게 되면서 가장 화가 나던 것은 일본이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지 않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 일본 정부에 이렇게 요구하고 싶습니다.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사죄하고 배상하라!
많은 여성들이 193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군을 위해 강제로 위안부가 되었습니다. 1993년 고노 담화를 통해 일본 정부가 직접 인정했고, 일본 내에도 수많은 증거와 증언이 존재하지만 현재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존재를 부정하고 역사를 왜곡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께 진실된 사죄와 배상을 하고, 자국민에게 올바른 역사를 교육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분들을 위해 일본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해야 합니다. 현재 생존하신 피해자 분들은 오직 9분이십니다. 수많은 피해자들이 있었음에도 정부는 제대로 된 대처를 하지 않았습니다. 하루 빨리 피해자분들을 위해 나서야 합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아시아 문화 탐구반 학생들은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에 참을 수 없습니다. 적어도 우리라도 정기적인 수요집회 참여,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한 SNS 활동 등을 통해 피해자분들을 잊지 않고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일본 정부에 요구합니다.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사죄하고 배상하라!
하나. 일본 국민들이 왜곡된 역사를 배우지 않게 교육과정에 넣고 정부가 교육하라!
대한민국 국민들께 요청합니다.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 일본군'위안부'에 대해 잊지 않고 계속 관심 가져 주세요.
감사합니다.
연대발언_사·회·인(고등학교 사회탐구 동아리)
1. 일본정부는 저질렀던 범죄를 외면하지말고, 인정해라.
일본군 '위안부'에게 저질렀던 범죄를 인정해라
어째서 일본 정부는 진실을 외면하고 변명만 하는가? 일본 정부는 일본군의 성욕 해결을 위해 취업사기·유괴·공권력 등에 의한 협박·인신매매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선인 여성을 동원해 성노예 생활을 강요하며 각종 범죄를 저질렀다는사실을 인정해라.
2.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성있는 사죄를 요구한다.
일본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여 진정성있는 사과를 한다면 피해자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지않겠는가? 평화와 안정, 화해의 길에 접어들어갈 수 있지 않겠는가? 피한다고 한들 역사가 지워지겠는가. 지워지지않는 상처자국이 그대들의언행과 과거의 만행으로 더욱 짙어져간다.
3. 우리는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에 가한 만행에 대한 법적배상과 이에 관한 책임자 처벌을 요구한다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위안부 피해 증언 이후 한국을 포함한 몇몇 나라에서는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데, 배상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이 고의적으로 피해를 입혔다는 사실을 인정해야하고, 또 이런 배상의 대상도 피해 당사자여야만 한다. 하지만 일본정부는 1965년에 체결한 '한일기본조약'으로 위안부 문제가 끝난 사안이라 주장하고있지만 이 조약은 애초에 일본군 '위안부'피해자분들에게 사죄를 목적으로 한사과하고 배상한 것도 아니며, 일본이 '위안부' 피해 사실을 인정한 시기가 1992년인데 1965년에 체결한 조약으로 위안부 '피해자' 배상문제가 끝난일이라니 이 무슨 터무니없는 소리인가.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시위가 계속되고 이 문제가 거론되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이 시위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이 생겨도 시위가 계속되는 이유는 이 문제가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 해결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일본정부는일본군의 만행을 반드시 인정하고, 그에 따라 배상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할것이다. 우리는 전쟁의 역사를 계속해서 기억해나갈것이며, 이에 대한 우리의 외침은 계속 될것이다.
4. 일본정부는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출판하라.
일본정부는 1953년부터 역사왜곡 문제를 일으켜왔다. 일본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엔 일본군 위안부와 같은 범죄 행위는 교과서에서 빼 버리고,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거짓된 내용을 교과서에 넣고 있다. 이런것이 과연 올바르고 떳떳하게고개 들 수 있는 행위인가. 일본 정부는 이를 바로잡고 역사교과서의 올바른 개정을 꾀해야한다.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역사를 아는 것이 용서받을 수있는 길이다.
하나,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성있는 사죄를 요구한다.
하나, 우리는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에 가한 만행에 대한 법적배상과 이에 관한 책임자 처벌을 요구한다.
1607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 주관은 역사교육실천연구회이고 사회는 김효은, 임우정 선생님이 보았습니다.
가장 먼저 여는 노래로 1607차 수요시위 기획단이 <바위처럼> 율동을 하였습니다.
주관단체 인사말 후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의 주간보고가 있었습니다.
공연과 발언이 이어졌습니다. 남양주여성회 역사캠프 참가자들의 <고향의 봄> 오카리나 연주와 합창 후 임현희 남양주여성회 대표님과 초등학생 김휘건, 김휘강 형제가 발언을 하였습니다.
이어 독일 함부르크 학술문화지원재단 전시성폭력 연구팀 레기나 뮐호이저 님, 고등학교 일본군'위안부'문제 탐구 동아리 한바른, 고등학생 참가자 이예원, 정인호 학생이 힘찬 연대발언을 하였습니다.
이어 이예원 학생이 노래 <무릎>을 개사하여 멋진 노래 공연을 하였습니다.
이어 중학교 동아리 아시아문화탐구반, 고등학교 사회탐구 동아리 사·회·인 학생들의 연대발언이 있었습니다.
마지막 공연이 이어졌습니다. 1607차 수요시위 학생공연 기획단이 <너의 얘길 들어줄게>, <안녕> 노래에 맞추어 수화와 율동을 한 멋진 공연이었습니다.
참가자와 참가단체 소개 후 성명서 낭독을 끝으로 1607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는 마무리되었습니다.
수요시위 현장에는 역사교육실천연구회, 한민고등학교 학생단체 한바름, 광휘고등학교 동아리 이상향, 명문고등학교 동아리 사회인과 명문고 학생들, 자립자치공동체, 김미령 외 2인, 수원외고 최강인권동아리 원더(WONDER), 창성중학교 아시아문화 탐구반, 이원석, 춘천지역 대학생 날갯짓‧고등학생 날갯짓, 진보대학생넷, 시사사진소모임 찰칵, 평화나비 네트워크, 부면고등학교 이지호, 예일여고, 경기청소년 평화나비, 더불어민주당 남양주병 여성위원회 남양주시의원 한송연, 광명고등학교, AIESEC EWHA iGV OHT, 양재영‧우수현‧오채원‧김주원‧장예은‧고한나‧박채희, 소정, 강서양천여성의전화, 기독여민회 등 개인, 단체에서 함께 연대해 주셨습니다.
유튜브 온라인 댓글로는 임계재, 서유리아, 이원석, GY, 한성원, Sung Park, 역사교과서 읽어주는 남자, Hyeyoon Chung, Friends of 'Comfort Women' in Sydney – 시소연, 소도리, Jacques, 임채란, 우순덕, 서진원 님이 함께해 주셨습니다.
이날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등 많은 학생들이 참가하였습니다. 그런데 매주 수요시위를 방해하는 역사부정세력은 수요시위 대열을 향해 확성기를 대고 “위안부는 매춘부다”, “매춘부 교육하러 왔냐?”라는 등의 모욕과 성희롱 섞인 발언을 계속하였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이 모든 행위들을 방치하였습니다. 양 단체의 시위를 공정하게 처리한다는 미명하에 안전하고 평화롭게 시위를 할 시민들의 권리를 전혀 지켜주지 않는 종로경찰서에 강력하게 항의합니다. 수요시위 방해행위, 모욕 행위, 성희롱 행위 들을 강력히 제재해 주십시오.
혼란스럽고 소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수요시위에 끝까지 함께해 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무대와 음향은 휴매니지먼트에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언제나 고맙습니다.
제1607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주간보고
오는 4일은 「고노 담화」가 발표된 지 30년이 되는 날이다. 국내외 피해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움직일 수 없는 역사적 증거들이 나오자 더 이상 진실을 부정하기 어려웠던 일본 정부는 1993년 8월 4일, 「위안부 관계 조사 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를 발표한다.
이른바 「고노 담화」에는 첫째, 위안소 설치, 관리 및 위안부 이송에 관한 일본군의 직간접적 관여 인정, 둘째, 모집과 이송의 강제성 인정, 셋째, 가혹한 위안소 상황 인정, 넷째, 이상의 과정에서 당사자 명예와 존엄성 훼손 인정, 다섯째, 재발방지를 위한 역사연구와 역사교육 약속, 마지막으로 사죄와 반성이 표명되어 있다. 일본군과 관헌의 약취, 본인의 의사에 반한 모집·이송·관리, 군위안소 안에서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그러나 「고노 담화」는 모집에 관한 업자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일본 정부와 군의 ‘주도’가 아닌 ‘관여’라는 애매한 표현으로 책임소재와 불법성을 흐리고, 체계적 진상규명과 법적 배상에 대한 언급이 없는 등 근본적 한계를 지닌다. 법적 책임을 부인하고 있기에 책임자 처벌도 요원하다.
무엇보다 이후 일본 정부의 행보는 한 입으로 두 말 하는 이중성의 전형을 보여 왔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보상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면서, 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1995년 시민모금에 기반한 소위 ‘국민기금’을 발족시켰다. 피해자들을 분열시키고 한일 시민들에게 커다란 상처를 입힌 국민기금 이후, 일본 사회 전반의 역사적 퇴행도 심각하게 진행되어 왔다. 특히 2007년 3월 16일 아베 내각은 “‘군이나 관헌에 의한 이른바 강제연행을 직접 드러내는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사실상 「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각의결정을 감행했고, 2012년 9월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고노 담화」 검증을 언급했다. 역대 내각 대부분이 입으로는 계승을 외치면서 사실상 ‘강제연행’을 부인하고 ‘성노예’를 근거 없이 부정하며, 각종 각의 결정을 통해 「고노 담화」를 뿌리째 흔들어 왔다. 전 세계 ‘평화의 소녀상’ 철거를 위해 다른 나라 정부・의회・자치단체·대학·시민단체를 전 방위적으로 압박하면서, ‘기억을 통한 재발방지’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했다.
이런 형극에 윤석열 정부의 굴욕적 대일관은 점입가경이다. 취임 초기부터 ‘2015 한일합의’ 정신 준수를 외치더니 마침내 강제동원 ‘제3자 변제안’을 내놓고, 한반도 불법강점, 강제동원, 일본군성노예제를 모두 부정하는 일본 우익의 숙원을 앞장 서 해결해 주고 있다. 일본과의 군사협력을 위해 역사를 망각하고 한반도를 전쟁 위기 속에 몰아넣는 길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런 참담한 상황에서 오늘 정의기억연대는 「고노 담화」 30주년을 맞아 한일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고노 담화」를 사실상 형해화하며 한·일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암담하고 어두운 시절에도 희망의 횃불을 번쩍 들었던 피해생존자들과 선배 활동가들의 용기를 다시 우리 가슴에 새기려 한다. 연대의 힘으로, 사랑의 힘으로, 정의의 공동체, 기억의 공동체를 끊임없이 갱신하며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려 한다. 이 길에 함께 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2023년 8월 2일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이나영
연대발언_남양주여성회 역사캠프 참가자 김휘건, 김휘강
대한민국의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일본은 사죄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이 우리나라에 반성하는 태도가 보이지 않는데 우리나라는 용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 용서해줘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일본이 과거에 어린 소녀들을 성노예로 만들고선 우린 그런 적 없다, 자발적으로 지원했다, 등등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거짓된 주장을 멈추고 진실을 밝혀야 하고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해야 합니다.
그분들이 겪으셨을 공포, 치욕스러움을 저로선 상상하기도 힘들고 상상만해도 마음이 아픕니다.
그런데 지금 일본의 태도가 옳은가요? 지금 우리에겐 거짓, 돈 따위가 아닌 진정성있는 사과가 필요합니다. 일본은 거짓을 뒤로 하고 진실을 마주할 때가 왔습니다.
일본은 지금 한시라도 빨리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기 바랍니다.
연대발언_레기나 뮐호이저(독일 함부르크 학술문화지원재단 전시성폭력 연구팀)
Wednesday Demonstration, 2 August 2023
Regina Mühlhäuser (International Research Group “Sexual Violence in Armed Conflict”, Hamburg)
안녕하세요
The first time I was at this demonstration was almost 30 years ago, in 1994. At the time, many survivors were here, fighting for their rights.
Today, most of them passed away. But we are here to carry on their legacy.
When Japan released the Kono-Statement it acknowledged that the Japanese military was involved in the comfort women-system. Still, Japan was - and is - not ready to fulfill its’ responsibilities for this grave crime.
Even in Germany, Japan spends so much time and resources trying to remove the “statue of peace” in Berlin and other cities.
But we will not let Japan succeed. We will never forget this crime.
Even though most of the comfort women survivors did not get justice in their lifetime, they have accomplished something exceptional:
They came forward with their faces and their stories and they made clear: We are victims of a grave human rights violation. We refuse to be shamed and silenced.
This courage of the survivors to come forward and speak is a gift to us all.
It inspired us in Europe to start talking about sexual violence by the German army in WWII.
And it inspires survivors of conflict-related sexual violence today – like Jezidi women in Iraq – to come forward and fight for acknowledgment and justice.
Let us cherish this gift the survivors presented us.
Let us work to create awareness that this form of violence is a grave crime that must be persecuted and prevented. And let us work to support the survivors in whatever they need – here in Korea, in Asia, and all over the world.
제가 처음 수요시위에 참여했을 때는 1994년으로 30년 정도 전입니다. 당시에는 많은 피해생존자들이 정의를 위해 이곳에서 함께 싸웠습니다. 저희는 그들의 정신을 이어받기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고노담화를 발표했을 때 그들은 일본군이 일본군성노예제에 일정 부분 관여했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아직도 이 전쟁범죄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독일에서조차 일본은 베를린과 다른 도시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철거하는 데에 막대한 자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일본정부가 이런 방식으로 이기게 두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결코 그들의 범죄행위를 잊지 않을 것입니다.
수많은 피해생존자들은 투쟁의 과정에 있어 아주 특별한 성취를 이룩했습니다. 직면과 증언을 통하여 그들은 그들 자신이 거대한 인권침해의 피해자이며, 스스로를 부끄러워하거나 침묵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명확하게 전달했습니다.
피해생존자들의 용기있는 증언은 곧 우리 모두의 위대한 유산입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독일군이 행한 전시성폭력에 대한 고발들은 유럽 전체를 깨우치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외침은 현시대의 이라크 야지디 여성들 등 전시성폭력 피해생존자들로 하여금 법적책임과 정의를 요구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었습니다.
피해생존자들이 남긴 이 유산이 헛되지 않도록, 이런 형태의 폭력은 중죄이며 처벌받아야 하고 또한 예방되어야 함을 끊임없이 상기합시다. 그리고 한국, 아시아, 전세계의 피해자들을 위해 강력하게 연대합시다.
연대발언_한바른(고등학교 일본군'위안부'문제 탐구 동아리)
이번 시위로 수요시위도 1607차에 다다랐습니다. 약 30년에 걸친 긴 세월의 시위 동안 수요시위에서는 일본 정부의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인정, 공식 사죄, 법적 배상이라는 직접적이고 올곧은 주장을 해왔음에도, 모두의 참여와 연대, 노력과 외침이 무색해질 만큼 그 중 무엇 하나 제대로 이루어진 것이 없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의 문제를 해결하고,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의 교육 뿐만 아니라 가해국인 일본에서의 교육 또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가해 사실과 이에 대한 사죄의 태도를 가르쳐야 할 일본은 뻔뻔하게도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조차 일절 금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일본에서 내놓은 일본통합 교과서 12종 중,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교과서는 8종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마저도 각주나 부록이 아닌 본문에 직접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이 실려있는 교과서는 3종이 전부였습니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도 단 한 권만이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강제성을 인정하고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을 뿐, 다른 교과서에서는 일본군 위안소와 일본군성노예제의 수 등의 사실 관계만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었습니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30종 모두에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고 기술된 것과는 매우 대비되는 태도였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그 단순한 언급마저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2021년 4월, 검정을 마친 교과서들을 살펴보면 모든 교과서에서 ‘종군 위안부’,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 등의 표현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나마 남아있는 교과서에서의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은 ‘많은 여성이 위안부가 되었다.’ 식의 서술 정도만 남아있었습니다. 이는 일본군성노예제의 주체가 일본군, 즉 일본 정부이고 그 직접적인 책임이 일본에게 있다는 사실을 철저하게 묵살하고 은폐해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에 대한 근본적인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과거 일본은 고노 담화에서 역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역사적인 사실을 회피하지 않고 교훈으로써 직시해나가겠다고 밝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일본 정부의 잘못을 은폐하고, 학생들에게 교육하지 않는 행동은 고노 담화에서의 발언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며,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책임 또한 사죄와 배상보다는 회피로써 대처하려는 의도가 다분합니다.
제가 배우고 있는 한국사 교과서 속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은 고 김순덕 할머니께서 그리신 끌려감이라는 작품과 함께 언급되는 것이 전부입니다. 그마저도 그림에 대해 생각해보자는 내용으로 끝을 맺을 뿐,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교육을 위한 자료라고 보기에는 부족합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는 한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하여 최소한의 사실조차도 알 수 없는 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일본군성노예제 교육에 대한 실태입니다.
물론, 학교 내의 선생님들께서 추가적인 자료를 통해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하여 교육해주시기도 하지만 이는 결국 각 선생님들의 재량에 달려있을 뿐입니다. 실제로 저는 초등학교, 중학교 역사 수업 당시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언급을 듣지 못하였고, 심지어 중학교 교과서에는 언급조차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학생들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를 접할 기회조차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일본군성노예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저는 현재 대한민국 학생의 신분으로서, 대한민국 정부에게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해 허울뿐인 교육이 아닌 최소한의 의무적이고 구체적인 교육이 대한민국 학생들에게 이루어지기를 요구합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이 있죠. 이 자리에 계신 여러분들도 한 번씩은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지금 우리는 역사를 잊는 것이 아닌 잊히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역사를 잊힌 민족에게 더더욱 미래란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의 미래 속에 일본 정부의 공식적이고 진심어린 사죄가 존재하길 바라며 일본 정부와 대한민국 정부에게 세 가지를 요구합니다.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사실을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죄하며 이에 대해 법적 배상하라.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 내 검정 교과서에 일본군성노예제의 강제성과 일본 정부의 책임 등의 진상을 의무 수록하라.
하나,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군성노예제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적이고 구체적인 교육을 실시하라.
연대발언_정인호(고등학생 참가자)
1932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을 포함한 많은 국적의 여성이 일본 제국주의의 강제 동원 정책 중 ‘위안부’로 동원되어 현재까지도 과거의 아픔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채 몸부림치고 있다. 그런데도 일본 정부 및 강제 동원과 관련한 일본 기업은 여전히 한 치의 사과도 없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는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렇다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은 무엇인가? 피해자들의 증언은 거짓으로부터 비롯한 것인가? 피해자들의 외침이 거짓이라면, 피해자들이 흘리는 피눈물과 마음에서부터 우러나는 외침은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이러한 이질적이고, 거짓으로, 때로는 회피하고자 하는 일본 정부의 만행을 고발하고자 이 성명서를 작성한다. 진실이 감춰진다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앞으로도 더 한 아픔을 겪게 될 것이 자명하며, 결국 아픔의 역사만이 피해자들과 피해자의 가족들 그리고 피해 국민에게 남겨지게 될 것이다.
이를 바로 잡고자 나는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에게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요구하는 바이다.
첫 째, 일본 정부는 반인류적 전쟁 범죄인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문제에 대해 법적 책임을 인정하라. 1993년의 고노 담화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여겼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일본 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거리를 두며 일본군 ‘위안부’ 역사를 부인하였다. 현재까지도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를 ‘군 위안부’가 아닌 ‘위안부’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일본 당국의 책임을 부인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진실된 증언과 관련 연구 단체들이 밝힌 역사적 사실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행위이다.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직시하였던 고노 담화를 계승하여 내각과 국회를 중심으로 국가 차원의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사죄하라. 국가의 행위와 책임을 배제한 채 민간의 행위로만 일본군 ‘위안부’를 바라보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모욕과 망언을 중단하며 역사를 직시하라.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게 고노 담화 계승을 요구하라.
둘 째, 일본 정부와 관련 기업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공식적 사죄와 법적인 배상을 시행하라. 1995년 이루어진 국민기금은 민간기금을 강조한 것뿐만 아니라, 국가 간 거래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배상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2015 한일 합의에서도 일본 정부는 위로금이라는 명목으로 10억 엔을 건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법적 책임을 피하고자 하였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마주하는 것이 아닌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국가 간 차원에서 마치고자 한 행위와 다를 바 없다.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직접 대면하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입장을 반영한 새로운 외교 정책의 구축과 법적 배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라. 한국 정부 또한 피해자의 목소리가 배제된 합의는 역사의 오점이자, 또다른 갈등의 씨앗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피해자의 목소리를 담은 진실된 합의안의 체결을 요구하여 올바른 역사 문제 해결을 통한 한일 외교 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바이다.
셋 째,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 역사적 사실을 직면하며, 역사 교과서에 기재하라.
일본 정부는 2022년부터 사용될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성에 관한 내용을 대부분 삭제하였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회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앞으로 일본의 시민으로 자랄 일본 학생들에게 잘못된, 왜곡된 역사를 인식하게 하여 역사의 악순환을 되풀이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역사를 부정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 피해자의 증언에 따라 역사를 기술하며 진보된 역사관을 보여야 할 것 이다. 한국 정부도 일본의 역사 교과서 바로잡기를 위한 교육적, 외교적 노력을 촉구한다.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의 거짓 없는 진실된 사죄와 법적인 배상을 요구하는 바이며, 지금까지의 일본 정부의 잘못된 언행과 조치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바란다. 지금이라도 일본군 ‘위안부’를 직접 마주 보며, 피해자들의 아픔을 직시함으로써, 피해자들의 아픔에, 몇 십 년간의 목마름에 단비같은 외교적 태도의 변화를 촉구한다.
현재 공식적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9명 밖에 남지 않았다. 즉,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에게 사죄할 시간과 사죄할 기회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에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아픔을 직시하고, 일관적이고 즉각적인, 피해자를 위로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더 이상의 역사적 아픔이 후세에까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대발언_아시아문화탐구반(중학교 동아리)
저희는 중학교 3학년과 1학년으로 이루어진 아시아의 문화를 탐구하는 동아리입니다. 일본군’위안부’문제가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아시아·태평양 전역에 걸쳐 이루어진 일이기 때문에 동아리 담당 선생님이 탐구 주제로 정해주셨고,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껴 수요집회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배우게 되면서 가장 화가 나던 것은 일본이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지 않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 일본 정부에 이렇게 요구하고 싶습니다.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사죄하고 배상하라!
많은 여성들이 193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군을 위해 강제로 위안부가 되었습니다. 1993년 고노 담화를 통해 일본 정부가 직접 인정했고, 일본 내에도 수많은 증거와 증언이 존재하지만 현재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존재를 부정하고 역사를 왜곡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께 진실된 사죄와 배상을 하고, 자국민에게 올바른 역사를 교육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분들을 위해 일본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해야 합니다. 현재 생존하신 피해자 분들은 오직 9분이십니다. 수많은 피해자들이 있었음에도 정부는 제대로 된 대처를 하지 않았습니다. 하루 빨리 피해자분들을 위해 나서야 합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아시아 문화 탐구반 학생들은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에 참을 수 없습니다. 적어도 우리라도 정기적인 수요집회 참여,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한 SNS 활동 등을 통해 피해자분들을 잊지 않고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일본 정부에 요구합니다.
하나,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사죄하고 배상하라!
하나. 일본 국민들이 왜곡된 역사를 배우지 않게 교육과정에 넣고 정부가 교육하라!
대한민국 국민들께 요청합니다.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 일본군'위안부'에 대해 잊지 않고 계속 관심 가져 주세요.
감사합니다.
연대발언_사·회·인(고등학교 사회탐구 동아리)
1. 일본정부는 저질렀던 범죄를 외면하지말고, 인정해라.
일본군 '위안부'에게 저질렀던 범죄를 인정해라
어째서 일본 정부는 진실을 외면하고 변명만 하는가? 일본 정부는 일본군의 성욕 해결을 위해 취업사기·유괴·공권력 등에 의한 협박·인신매매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선인 여성을 동원해 성노예 생활을 강요하며 각종 범죄를 저질렀다는사실을 인정해라.
2.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성있는 사죄를 요구한다.
일본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여 진정성있는 사과를 한다면 피해자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지않겠는가? 평화와 안정, 화해의 길에 접어들어갈 수 있지 않겠는가? 피한다고 한들 역사가 지워지겠는가. 지워지지않는 상처자국이 그대들의언행과 과거의 만행으로 더욱 짙어져간다.
3. 우리는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에 가한 만행에 대한 법적배상과 이에 관한 책임자 처벌을 요구한다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위안부 피해 증언 이후 한국을 포함한 몇몇 나라에서는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데, 배상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이 고의적으로 피해를 입혔다는 사실을 인정해야하고, 또 이런 배상의 대상도 피해 당사자여야만 한다. 하지만 일본정부는 1965년에 체결한 '한일기본조약'으로 위안부 문제가 끝난 사안이라 주장하고있지만 이 조약은 애초에 일본군 '위안부'피해자분들에게 사죄를 목적으로 한사과하고 배상한 것도 아니며, 일본이 '위안부' 피해 사실을 인정한 시기가 1992년인데 1965년에 체결한 조약으로 위안부 '피해자' 배상문제가 끝난일이라니 이 무슨 터무니없는 소리인가.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시위가 계속되고 이 문제가 거론되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이 시위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이 생겨도 시위가 계속되는 이유는 이 문제가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 해결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일본정부는일본군의 만행을 반드시 인정하고, 그에 따라 배상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할것이다. 우리는 전쟁의 역사를 계속해서 기억해나갈것이며, 이에 대한 우리의 외침은 계속 될것이다.
4. 일본정부는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출판하라.
일본정부는 1953년부터 역사왜곡 문제를 일으켜왔다. 일본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엔 일본군 위안부와 같은 범죄 행위는 교과서에서 빼 버리고,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거짓된 내용을 교과서에 넣고 있다. 이런것이 과연 올바르고 떳떳하게고개 들 수 있는 행위인가. 일본 정부는 이를 바로잡고 역사교과서의 올바른 개정을 꾀해야한다.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역사를 아는 것이 용서받을 수있는 길이다.
하나,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성있는 사죄를 요구한다.
하나, 우리는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에 가한 만행에 대한 법적배상과 이에 관한 책임자 처벌을 요구한다.
하나, 일본정부는 저질렀던 범죄를 외면하지말고, 인정해라.
하나, 일본정부는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출판하라.
연대발언_이예원(고등학생 참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