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대학교 상영회, '위안부'와 전시성폭력 국제 심포지엄, 워싱턴DC에서의 평화의 소녀상 건립 관련 회의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이동한 곳은 바람의 도시 #시카고 입니다! 시카고미술대학 #SAIC#임수연 님의 도움으로 Gallery 6018 North 에서 소녀상 전시 영화 김복동 상영회와 #윤미향 대표와의 간담회 시간을 가졌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갤러리를 찾은 관객들은 인종차별, 성차별, 계급차별 등에 관한 전시를 함께 둘러보고 기부를 하기도 하셨어요.
질문을 받기 전, 윤미향 대표가 영화에서 담지 못한 김복동의 삶을 간단히 요약, 정리를 해서 설명을 했습니다. 먼저 영화에서 담고 있는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해 삶을 살아온 김복동의 삶 한 줄기, 그리고 세계 무력분쟁지역 여성들과 함께 손잡고 전시성폭력중단을 위해 지원과 연대로 함께 해 온 삶 한 줄기, 국내 가부장제적인 정책, 문화로 인해 자행되는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사회 변화를 위해, 특별히 미군기지촌 여성인권문제, 베트남 미국전쟁에서의 한국군의 성폭력 피해자 들과 함께 연대하고 지원해 온 삶 한 줄기, 일본 여성들에게 힘이 되고, 지진과 쓰나미 피해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지원과 연대의 마음을 전한 삶 한 줄기, 재일조선학교 아이들을 의해 희망이 되고자 했던 삶 한 줄기....
이러한 설명을 듣고 관객 분들은 김복동 할머니께 평화란, 통일이란 어떤 의미였는지, 할머니의 삶에는윤미향 대표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은 어떠했는지 질문도 하셨어요.
https://youtu.be/7mXf1Ig-VqU
이후 10월 17일 저녁7시부터 정성스레 준비한 비빔밥을 먹으며 SAIC 학생들, 교수님과 함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와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다이닝 행사를 가졌습니다.
전시와 행사를 준비한 #임수연 님의 소개로 학생들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듣고, 일본군성노예제가 국가가 자행한 폭력이며, 가부장제적인 사회 속에서 소외된 여성들이 피해 이후에도 힘겹게 살아남아야 했다는 점 등과 전시에서 다루는 수감자 인권 문제, 인종차별 문제 등을 연결하며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영화 김복동 2차 미주순회상영회 시카고편!
예일대학교 상영회, '위안부'와 전시성폭력 국제 심포지엄, 워싱턴DC에서의 평화의 소녀상 건립 관련 회의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이동한 곳은 바람의 도시 #시카고 입니다! 시카고미술대학 #SAIC#임수연 님의 도움으로 Gallery 6018 North 에서 소녀상 전시 영화 김복동 상영회와 #윤미향 대표와의 간담회 시간을 가졌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갤러리를 찾은 관객들은 인종차별, 성차별, 계급차별 등에 관한 전시를 함께 둘러보고 기부를 하기도 하셨어요.
질문을 받기 전, 윤미향 대표가 영화에서 담지 못한 김복동의 삶을 간단히 요약, 정리를 해서 설명을 했습니다. 먼저 영화에서 담고 있는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해 삶을 살아온 김복동의 삶 한 줄기, 그리고 세계 무력분쟁지역 여성들과 함께 손잡고 전시성폭력중단을 위해 지원과 연대로 함께 해 온 삶 한 줄기, 국내 가부장제적인 정책, 문화로 인해 자행되는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사회 변화를 위해, 특별히 미군기지촌 여성인권문제, 베트남 미국전쟁에서의 한국군의 성폭력 피해자 들과 함께 연대하고 지원해 온 삶 한 줄기, 일본 여성들에게 힘이 되고, 지진과 쓰나미 피해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지원과 연대의 마음을 전한 삶 한 줄기, 재일조선학교 아이들을 의해 희망이 되고자 했던 삶 한 줄기....
이러한 설명을 듣고 관객 분들은 김복동 할머니께 평화란, 통일이란 어떤 의미였는지, 할머니의 삶에는윤미향 대표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은 어떠했는지 질문도 하셨어요.
이후 10월 17일 저녁7시부터 정성스레 준비한 비빔밥을 먹으며 SAIC 학생들, 교수님과 함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와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다이닝 행사를 가졌습니다.
전시와 행사를 준비한 #임수연 님의 소개로 학생들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듣고, 일본군성노예제가 국가가 자행한 폭력이며, 가부장제적인 사회 속에서 소외된 여성들이 피해 이후에도 힘겹게 살아남아야 했다는 점 등과 전시에서 다루는 수감자 인권 문제, 인종차별 문제 등을 연결하며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
우간다 김복동센터 건립 후원계좌 KB국민은행 069137-04-018154 재)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위한정의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