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5 검찰수사결과 발표에 대한 정의기억연대 입장문
2020년 9월 14일, 검찰은 “정대협·정의연 관련 고발사건 수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검찰 수사의 계기가 된 이른바 ‘정의연 회계부정 의혹’은 대부분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보조금 및 기부금 유용’ 등 지난 4개월 간 무차별적으로 제기된 의혹들이 근거 없는 주장에 불과함이 밝혀진바, 다시 한 번 허위 보도 등에 대한 언론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합니다.
그럼에도 검찰이 억지 기소, 끼워 맞추기식 기소를 감행한 데 대해서는 유감을 표명합니다.
특히 일생을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에 헌신하며 법령과 단체 내부규정 등이 정한 절차에 따라 정당한 활동을 전개해온 활동가를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등으로 기소한 점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스스로 나서서 해명하기 어려운 사자(死者)에게까지 공모죄를 덮어씌우고 피해생존자의 숭고한 행위를 ‘치매노인’의 행동으로 치부한 점에 대해서는 강력한 유감을 표합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 전반은 물론, 인권운동가가 되신 피해생존자들의 활동을 근본적으로 폄훼하려는 저의가 있다고 밖에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회계부정’이란 프레임을 씌워 정의연을 범죄 집단으로 만들고 각종 의혹을 사실로 둔갑시켜 가짜 뉴스를 양산해 온 일부 언론이, “제기된 의혹 대부분 기소”라는 프레임으로 다시 정의연을 매도하고 있음에 통탄을 금할 길 없습니다.
정의연은 이미 수차례 밝혔듯, 함께 해온 국내외 시민들과 피해생존자들의 뜻을 받들어 운동의 숭고한 정신과 역사를 계승하는 동시에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습니다. <성찰과비전위원회>를 구성하고 내부진단과 외부자문을 통해 발전적 논의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흔들림 없는 지지와 연대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20년 9월 15일
정의기억연대
9.8_입장문_언론상대 민사소송 제기
정의연, 언론 허위보도 관련 조선(TV조선, 조선일보)과 동아(채널A, 신동아)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억 명예훼손 소장 접수!
-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9월 8일, 허위사실에 기초한 보도로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한 TV조선, 조선일보, 채널A, 신동아와 해당 기사의 기자들을 상대로 총 1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장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접수했음을 밝힙니다.
- 이에 정의연은 국내 언론사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할 의무, 보도 대상자의 명예를 훼손하지 아니하여야 할 의무가 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대해 해당 언론사와 기자들에게 응당한 법적책임을 끝까지 물을 것입니다.
2020년 9월 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9.4_입장문_정대협 공시 관련 조선일보 기사에 대해
조선일보 김정환 기자는 오늘(9월4일)자 기사 “[단독] 정대협, 없던 돈 8억이 어디서 생겼을까?”에서 “‘회계 부실’ 논란이 일었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지난달 31일 국세청 홈페이지에 재공시한 회계 내역에서 예전 공시 자료에 없던 돈 8억여원의 뭉텅이 돈이 갑자기 추가된 것으로 3일 확인됐다.”고 하면서 “일각에선 “정대협이 숨겨둔 비자금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말씀드리며, 조선일보에 정정보도를 강력히 촉구합니다.
- 국세청 공시 서식은 비영리단체에서 적용해왔던 회계기준 및 내부적인 결산방법과 다르기 때문에, 국세청 공시자료를 작성할 때 일부 오류나 누락이 있었고, 이에 대하여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나 국세청 공시에 재공시된 금액은 결산자료에는 누락 없이 계속 반영돼 있었으므로, 회계상 누락된 금액은 아니라는 점 또한 일관되게 해명해 왔습니다.
- 정의연과 달리 이전 정대협의 회계처리는 단식부기 방식이며, 일반회계와 사업용도별로 구분한 특별회계단위로 각각 구분하여 결산서를 작성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총회에 보고하는 결산서도 일반회계와 각각의 특별회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정대협이 지난번 국세청 시스템에 결산서를 공시하는 과정에서는 일반회계만 공시하였습니다. 기사에서 ‘갑자기 추가된’ 것으로 지칭한 금액은 일반회계와는 다른 특별회계로서 특별회계 결산서가 공시에서 누락되었다가, 이번에 수정 공시하면서 각각 구분된 특별회계의 기금들을 모두 통합해서 보고한 것입니다. 즉, 지난번 공시 과정에 포함시키지 않았던 특별회계 기금들이 포함되었기에 지난번 공시보다 이월 잔고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 그동안 정의연 회계와 관련하여 수많은 언론의 의혹보도가 최근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정정보도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겠습니다. 국세청 공시에 재공시된 금액은 회계상 누락된 금액이 아닙니다. 이를 ‘숨겨둔 비자금’ 운운하며 관련 사전 취재 없이 또다시 ‘아니면 말고’ 식의 의혹을 제기하는 보도가 반복된다면 강력하게 법적대응하겠습니다.
2020년 9월 4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9.1_입장문_헌법재판소 위헌 결정 9주년을 맞아
김창록(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의기억연대 법률자문위원)
지난 8월 30일은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가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관해 부작위 위헌결정을 선고한 때로부터 만으로 9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의 ‘한일회담 문서공개 후속대책 관련 민관공동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일본의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인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1965년의 “청구권협정에 의하여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고,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이 남아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정부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묻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그래서 헌법재판소가 2011년 8월 30일에 그 부작위가 위헌이라고 선고했습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묻기는커녕, 피해자들과 전 세계 시민들이 30년간의 가열찬 노력을 통해 이룩한 성과조차 크게 손상시키는 「2015년 합의」를 맺어버렸습니다. 이후 아베 신조 정부는, 그 합의를 빌미삼아, ‘전부 끝났다. 더 이상 입에 담지도 말라’고 억지를 쓰며 윽박질렀습니다.
다시 한 번 확인합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피해 사실의 명확한 인정, 그에 터 잡은 사죄와 배상, 지속적인 진상규명과 역사교육과 위령, 그리고 책임자 처벌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해결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1990년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출범할 때부터 내세운 방향이며, 국제사회의 수많은 인권문서들을 통해 확인된 원칙입니다. 문제의 본질과 역사를 알지 못하는 양국 정부의 밀실담합으로 묻어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문재인 정부는, ‘「2015년 합의」 검토 TF’를 통해 그 합의가 잘못된 것임을 확인한 후, “2015년 합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진정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우리 정부의 예산으로 일본 정부로부터 온 10억엔에 해당하는 103억원을 여성가족부의 양성평등기금에 출연하고,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도 2011년 헌재 결정이 선언한 ‘부작위 위헌’의 상태는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때마침 아베 정부가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새로운 정부는 이제라도 진정한 해결의 길로 나와야 합니다. 또한 문재인 정부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물어야 합니다.
2020년 9월 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8.28_입장문_TV조선_MBN_YTN_방송통신심의위원회_법정제재
쉼터 평화의우리집 고(故) 손영미 소장의 사망 소식을 취재하며, 자택 열쇠 구멍으로 집 내부를 촬영해 방송한 TV조선, MBN, YTN 에 법정제재가 추진된다는 소식은 너무나 합당한 결정이다.
고인은 생전에 과열된 취재 경쟁으로 큰 고통을 겪으셨고 죽음마저 뉴스의 자료화면으로 전락해 열쇠구멍 안의 이미지로 남았다. 이에 누가 어떤 책임을 질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되는 뉴스는 아무리 짧은 시간이었다 한들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므로 막강한 책임감을 느끼고 보도에 임해야 한다. 실제로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각종 의혹제기를 마치 사실인 양 말하고 사라진 가짜뉴스에 대해 시청자들은 지금까지도 진실로 믿고 있는 경우가 많다.
언론에게 부여된 고유의 기능은 국민의 알권리와 진실에 대한 추구일 것이다. 정의기억연대 또한 방송사에 이런 상식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다. 고인의 자택 열쇠구멍에 카메라를 들이대어 촬영하여 자료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국민의 알권리라고 판단한 언론은 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TV조선, MBN, YTN이 주장한 '데스킹 부족' 등은 옹색한 핑계거리에 불과하다. 다른 방송사들은 게이트키핑 과정을 거쳐 해당 영상을 쓰지 않았다. 어떤 것이 기사가 될 지 말지에 대해 제대로 판단을 못했다면 방송사로서의 자질 부족을 증명한 것이다. 그에 대해 심각한 후과가 나타났다면 합당한 책임을 지면 되는 것이지 "열심히 취재하다 빚어진 일"이라는 TV조선의 해명은 그 자체로 방송사로서의 자질 부족을 증명할 뿐이다.
정의기억연대는 TV조선, MBN, YTN이 손 소장의 죽음에 대해 방송사에 부여된 사회적 책임과 기본적인 취재윤리조차도 방기하고 악의적 의도로 자극적인 방송을 내보낸 것에 대해 공식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 부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사태에 합당한 법정제재를 내려서 국민의 상식적 기대에 부응하고 기자 취재윤리에도 경종을 울려줄 것을 기대한다.
2020년 8월 2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8.3_입장문_언론중재위원회 조정 결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국민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등 9개 언론사 13개 기사에 대해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에 신청한 바 있으며, 11건의 기사에 대해 기사삭제, 정정보도, 반론보도, 제목수정 등으로 조정성립 혹은 강제조정 판결을 받았습니다.
조정불성립된 기사 및 유사 기사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민사소송 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중간 정리 차원으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하니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방송사의 허위·왜곡 보도에 대해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도 추후 청구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기가 막힌 사실은 언론중재위가 정정보도와 반론보도의 조처를 취한 <한국경제> 기사(‘하룻밤 3300만원 사용…정의연의 수상한 '술값')로 해당 기자는 ‘사내 기자상’을 수여한 바 있으며, 중앙대언론동문회로부터 ‘제8회 의혈언론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는 사실입니다. 한국 언론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수상이 취소되어야 함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2020년 8월 3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7.16_입장문_서울경제 한국경제 뉴데일리 언론중재위원회 조정 결과
2020년 7월 16일, 언론중재위원회는 정의기억연대 관련 3개 언론사 기사에 대해 조정성립 및 강제조정을 결정하였습니다. 서울경제는 조정이 성립되어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 한국경제는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로 강제조정, 뉴데일리는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로 강제조정되었음을 알립니다.
-----------------------------------------------------------------------------
◆ 서울경제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
- 6월 1일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단독]인쇄업체에서 유튜브 제작했다? .. 정의연 ‘제2옥토버훼스트’ 의혹”
☞ 정의기억연대는 보도에서 언급된 소규모 인쇄 업체에 유튜브 영상 제작을 맡긴 사실이 없으며, 국세청신고 양식에 따라 대표 지급처 1곳을 기재한 것임. 이에 서울경제 기사는 명백한 허위보도이므로, 정정보도와 정의연 입장의 반론보도 게재로 조정됨.
◆ 한국경제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
- 5월 11일 한국경제 양길성/김남영/김보라 기자의 “[단독] 하룻밤 3300만원 사용…정의연의 수상한 ‘술값’”
☞ 정의기억연대는 하룻밤 3300만원을 술값으로 사용한 적이 없으며, 국세청신고 양식에 따라 대표 지급처 1곳을 기재함. 해당 기사는 명백히 허위사실에 기초한 보도로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함. 이에 정정보도와 정의연 입장을 반영한 반론보도 게재로 강제조정됨.
◆ 뉴데일리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뉴데일리 이도영 기자의 “여가부 지원사업 심의위원에 윤미향… 정의연 '셀프 심사' 거쳐 10억 받았다”
☞ 정의기억연대 이사는 여성가족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자사업선정위원회’에 참여하여 16억1400만원의 보조금을 셀프로 심사하고 수령한 사실이 없음. 해당 기사는 명백히 허위보도로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히 훼손함. 이에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로 강제조정됨.
2020년 7월 16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7.15_입장문_조선일보/조선비즈/중앙일보 정정보도문 관련
정의기억연대는 지난 7월 9일 언론중재위원회에 출석하여 3개 언론사에 대한 조정을 신청하였습니다. 그 결과, 조선일보와 조선비즈는 정정보도문 게재, 중앙일보는 제목수정 및 정정보도문을 게재하였기에 다음과 같이 알립니다.
-----------------------------------------------------------------------------
◆ 조선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조선일보 김형원 기자의 “[단독] 윤미향이 심사하고 윤미향이 받은 지원금 16억”
☞
[바로잡습니다] 6월 16일 '[단독] 윤미향, 여가부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다' 기사에서
조선일보
입력 2020.07.11 07:41
본지는 지난 6월 16일 최초판에 ‘[단독]윤미향이 심사하고 윤미향이 받은 지원금 16억’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정의기억연대 이사는 여성가족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자사업선정위원회’에 참여하여 16억1400만원의 보조금을 셀프로 심사하고 수령한 사실이 없으므로 이를 바로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1/2020071100401.html
◆ 조선비즈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조선비즈 김민우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
[바로잡습니다] 6월 18일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기사에서
조선비즈 김민우 기자 입력 2020.07.15. 14:30
본지는 지난 6월 18일자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정의기억연대 이사는 여성가족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자사업선정위원회'에 참여하여 16억1400만원의 보조금을 셀프로 심사하고 수령한 사실이 없으므로 이를 바로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5/2020071502341.html
◆ 중앙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제목수정 및 정정보도 게재>
- 6월 19일 중앙일보 박현주 기자의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
☞
[바로잡습니다]후원자 25명, 나눔의집·정대협 상대로 기부금 반환 소송 낸다
[중앙일보] 입력 2020.07.11. 17:50
본 신문은 지난 6월 19일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기부금 반환 소송을 내겠다고 밝힌 후원자 25명은 나눔의집 및 정대협 후원자로서 정의연과는 관계가 없어, 기사제목을 '후원자 25명, 나눔의집·정대협 상대로 기부금 반환 소송 낸다'로 수정하였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22451
---
7.13_입장문_언론중재위원회 조정 신청 중간 결과 보고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는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경종을 울리고, 보다 책임감 있고 성숙한 대한민국 언론인의 자세를 요청하는 심정으로 지난 6월 15일 7개 언론사의 8개 기사, 6월 25일 4개 언론사의 5개 기사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원회(이하 언론중재위)에 신청한 바 있습니다.
1차 언론중재위 조정 결과, 2건은 기사삭제와 정정보도문 게재, 기사삭제로 각각 조정 성립, 3건은 정정보도문 게재, 반론보도문 게재, 제목수정 등으로 각각 강제 조정되었고 기타 기사들에 대한 조정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2차 언론중재위 조정 결과, 3건은 정정보도문 게재, 제목수정 등으로 조정 성립, 기타 기사들은 다음 기일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간보고를 드립니다.
-----------------------------------------------------------------------------
[언론사별 조정 결과 안내]
◆ 조선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조선일보 김형원 기자의 “[단독] 윤미향이 심사하고 윤미향이 받은 지원금 16억” / 6월 16일 조선비즈 김민우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 여성가족부의 「위안부 피해자 지원·기념사업 심의위원회」와 「보조사업자선정위원회」는 그 구성과 역할이 다름. 또한 정의연 이사가 국고보조사업 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사업자선정위원회」에 참여한 바 없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일보는 ‘셀프’ 심의, ‘셀프’ 수령 등의 프레임으로 허위사실을 보도함으로써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함. 이에 정정보도 게재로 조정이 성립됨.
◆ 중앙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제목수정 및 정정보도 게재>
- 6월 19일 중앙일보 박현주 기자의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
☞ 소송에 참여한 원고들은 “나눔의 집” 후원자 23명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후원자 2명으로 정의연 후원자는 없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의연 후원자가 후원금 반환소송을 주도하는 것처럼 기사를 작성함. 정의연이 후원자들에게 감사편지를 쓴 날은 소송 제기일도 아님. 중앙일보는 허위사실과 왜곡된 사실을 악의적으로 섞어 보도함으로써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히 훼손함. 이에 해당 기사의 제목수정과 정정보도 게재로 조정이 성립됨.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정정보도 게재>
- 5월 19일 중앙일보 김준희 기자의 “[단독]"'아미'가 기부한 패딩···이용수·곽예남 할머니 못 받았다"”
☞ 정의연은 입장문을 통해 해당 패딩을 당사자에게 전달했음을 이미 입증한 바 있음. 허위기사로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일보는 ‘양딸의 제보’라는 명목으로 허위보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해 옴. 이에 언론중재위에 의해 정정보도로 강제 조정됨.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반론보도 게재>
- 6월 10일 중앙일보 한영익 기자의 “"정의연은 운동권 물주"…재벌 뺨치는 그들만의 일감 몰아주기”
☞ 내부 소식지 디자인 수원신문사 발주비용과 ‘김복동 장학금’ 사업 내용이 ‘재벌회사의 일감 몰아주기’에 비유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일보는 사실을 왜곡해 보도함. 이에 반론보도 게재로 조정됨.
◆ 서울경제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
- 5월 21일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
☞ 서울경제는 여가부로부터 정의연이 받은 국고보조금 금액 관련 근거 없는 허위기사를 작성해 명예를 훼손함. 언론중재위의 조정으로 서울경제는 해당 기사 삭제와 자사 홈페이지에 정정보도를 게재하고,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도 관련 기사가 더 이상 열람·검색되지 않도록 함(2020년 7월 2일).
◆ 국민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기사삭제>
- 6월 9일 국민일보 권혜숙 기자의 ““후진국도 아니고, 정의연 장부도 없다니” 회계사회 회장 한탄”
☞ 정의연이 장부조차 두지 않고 불투명하게 회계를 처리하는 것처럼 인터뷰 내용과 다른 사실을 악의적으로 제목화해 보도함. 허위사실로 명예훼손이 명백한 바 기사삭제로 조정이 성립됨.
◆ 한국일보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제목수정>
- 5월 19일 한국일보 박경우 기자의 “‘아미’가 할머니 숫자 맞춰 기부한 패딩… 이용수 할머니 못 받아”
☞ 정의연은 입장문을 통해 해당 패딩을 당사자에게 전달했음을 이미 입증한 바 있음. 허위기사로 드러났으므로 정의연이 잘 전달했다는 취지의 제목 수정으로 강제 조정됨.
---
7.3_보도자료_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대구 죽평찻집에서 일본군'위안부' 관련 전국의 지역단체 대표들과 함께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 만남
-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 이나영 이사장은 오늘 7월 3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 반까지 대구 남구 죽평찻집에서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을 뵙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오늘 만남에는 이경희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마.창.진시민모임 대표, 송도자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통영거제시민모임 대표, 서혁수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대표 등 일본군'위안부' 관련 전국의 지역단체 대표들이 함께 했습니다.
-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이 전하신 말씀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수요시위를 지지하지만 방식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하시며 피해자 생존 유무에 상관없이 단체가 있는 지역에 가서 수요시위를 하자고 하셨습니다. 상징적으로 지역 단체가 있는 창원, 부산, 통영 거제에서 우선 진행하고,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 참석 여부는 건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직접 참여 혹은 영상 참여로 함께 하시겠다고 하셨습니다.
- 둘째,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지지하시며 평화의 소녀상 세우기 운동을 계속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끝끝내 세우자”. “마지막에는 동경 한복판에 세워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셋째, 용어를 정확하게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로 써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마지막으로, 젊은 세대 교육과 한일 청년세대 교류를 위한 방법으로 지역별 ‘위안부’ 역사교육관 활성화, 건립, 연계, 교류를 원하시며, 현재 나눔의 집이라는 명칭을 <경기도 광주, 일본군‘위안부’ 역사관>으로 바꾸고 역사관에 교육관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께서 직접 말씀하신 내용 첨부
“여러분,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입니다. 데모를 안 하려고 하는 게 아니라 방식을 바꾸려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제가 꼭 데모 때 나가야 하지만 나이가 많아 힘이 듭니다. 여러분이 응원해 주시고 도와준 덕분에 건강하게 지냅니다. 방식을 바꾸는 방식에 대해서는 같이 힘을 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저도 있고 순옥이, 옥선이 등 여러 할머니 역할을 합니다. 평화의 소녀상을 지켜주시는 여러분이 너무 고맙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을 곳곳에 더 세워야 합니다. 빽빽하게 세우고 마지막에는 일본 복판에 세워 오가는 사람이 모두 사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여러분, 평화의 소녀상을 꼭 지켜주세요.”
- 정의연은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이 주신 말씀을 깊이 숙고하고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지역의 단체들과 함께 논의, 연대하여 더욱 열심히 활동해 나가고자 합니다.
2020년 7월 3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7.3_입장문_서울경제 정정보도문 관련
정의연은 지난 6월 15일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언론 조정 신청서를 접수한 바 있습니다. 어제 7월 2일 언중위에 출석, 조정을 진행하였고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 기사 관련, 기사 삭제와 정정보도문 게재가 결정되어 7월 3일자 서울경제 사회면에 정정보도문이 실렸습니다.
---------------
[정정보도]‘[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 기사 관련
본지는 지난 5월 21일 ‘[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라는 제목의 보도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확인 결과 2019년 여가부로부터 정의연이 교부받은 국고보조금은 6억938만4,000원으로 확인돼 3,000만원이 증발됐다는 본지의 기사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이를 바로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
6.30_입장문_‘불법’으로 얼룩진 조선일보 보도
6월 30일, 조선일보 원우식 기자의 “정대협 길 할머니 꿈 현실 혼동보고서 쓰고도… 유언장 쓰게 했다” 기사 관련 설명
길원옥 인권운동가를 ‘치매노인’ 취급하고, 사실을 왜곡해 보도하는 조선일보 반성하라!
국회의원의 특권을 이용해 민감한 개인정보를 유출한 미래통합당 박성중 의원은 반성하라!
해당 기사는 정대협(정의연)이 “길 할머니의 유언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올린 것”을 확인했으며, ‘미래통합당 박성중 의원이 입수한 보고서’를 인용해 “이미 치매 상태”인 길원옥 인권운동가를 정대협(정의연)이 이용해 “기부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명백히 언론의 인권보도준칙을 위반한 행위이자, 생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거짓보도로 정의연(정대협)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이에 보도정정과 사과를 요청합니다.
1. 개인의 건강 정보는 헌법 제10조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서 도출되는 일반적 인격권과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의하여 보장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민감 정보에 해당하여 이를 다루는 사람은 인간의 존엄과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책무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미래통합당의 박성중 의원은 국회의원의 직책을 이용해 여가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언론에 무차별적으로 공개했습니다. 살아있는 당사자의 인격권에 대한 침해행위이자 명예훼손에 해당합니다.
2. 조선일보는 이를 당사자의 존엄과 사생활에 대한 어떠한 고려도 없이 공개하고 있습니다. 당사자의 인격권을 침해하고 한국기자협회의 인권보도준칙을 명백히 위반한 행위입니다. 무엇보다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그간의 활동을 폄훼하고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3. 길원옥 인권운동가는 고령과 지병으로 인하여 기억력 감퇴, 인지능력의 저하 등이 수년에 걸쳐 조금씩 진행된 측면이 있으나 정식으로 치매 등급을 받으신 적은 없습니다. 마지막 해외 활동이었던 2019년 미국 평화의 제막식 참석은 여가부에 제출한 보고서에도 분명히 나와 있듯, 다녀오셔도 아무 이상이 없다는 담당의사의 소견을 듣고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올해(2020년) 4월, 신체적 이상으로 8일간 병원에 입원하신 이후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급격히 저하되셨습니다. 거동이 불편하시고 건강이 좋지 않은 와중에도 길원옥 인권운동가는 평소의 의지에 따라 인권과 평화를 소망하며 기부활동을 하셨고 유엔을 비롯해 활발한 국내외 증언활동을 하셨습니다(관련 내용은 정의연 입장문 6월 18일자 참고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1039&mod=document&pageid=1). 조선일보의 기사는 이러한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숭고한 실천의 역사를 ‘치매노인’의 비의지적 행동으로 폄훼하는 악의적 행위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합니다.
4. 기사에는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유언 동영상을 올린 주체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정의연은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유언을 제작하여 올린 일이 없으므로명백한 허위사실에 기초한 기사입니다. 관련해 원우식 기자의 문자 문의에 이미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나 해당 기자를 이를 무시한 채 보도했습니다. 이는 명백히 한국기자협회 윤리강령 (4. 정당한 정보수집) 위반행위에 해당합니다.
5. 정의연은 피해자와 활동가(단체) 간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 각종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정정 보도 및 사과를 수차례 요청한 바 있지만, 조선일보는 지속적으로 무시하고 있습니다. 한국기자협회 윤리강령 (8. 오보의 정정), (9. 갈등·차별 조장 금지) 위반행위입니다. 이에 대한 법적·도덕적 책임은 온전히 조선일보에 있음을 경고합니다.
---
6.29_입장문_언론의 악의적 왜곡보도와 허위보도에 대해
1. 6월 29일, 조선일보 황지윤, 남지현 기자의 “[단독] 정의연의 수상한 자금 흐름… 행사비 7억 내고 2억 돌려받아” 기사에 대한 설명
조선일보 황지윤·남지현 기자는 해당 기사에서 “2013년부터 최근까지 A사에 각종 용역 대금 명목으로 7억4000만원을 지급”했으며, B씨가 “이렇게 지급받은 돈 중 2억5000여만원을 다시 세 단체 계좌로 송금”했다고 지적한 후 이를 “전형적인 리베이트와 관련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용역 대금을 부풀려 지급하고 그중 일부를 다시 돌려받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예단에 근거한 명백한 왜곡보도이자 명예훼손 행위입니다.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근거>
1) 정의연은 1년간 매주 진행하는 수요집회와 8.14 1400차 수요시위 진행 등에 대해 음향 계약을 진행하고 업체에 정상적인 계약절차에 따라 대금을 지불하였습니다.
2) 이와 별개로 해당 업체 대표는 평소의 소신대로 정의연을 비롯한 3개 단체에 후원 기부를 했으며, 이에 정의연은 후원금 납부에 대한 증빙도 공식적으로 처리한 바 있습니다.
3) 이 돈이 만약 리베이트라면 상식적으로 해당 업체 대표가 같은 계좌로 입금할리 만무합니다.
4) 조선일보는 자신들이 상상하기 어려운 선한 행동을 한 후원자를 범죄자로 몰고, 소중한 후원금 납부를 리베이트 비용인 것처럼 기사를 작성해 후원자는 물론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이에 대한 응당한 법적 책임을 질 준비를 하셔야 할 것입니다.
2. 6월 28일,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의 “[단독] 길할머니 1억, 1시간 새 1원도 안남기고 빠져나갔다” 기사에 대한 설명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는 해당 기사에서 길원옥 할머니 통장에서 “4차례에 걸쳐 전액 출금”되었고, “첫 500만원은 현금 인출,” “5000만원, 2000만원, 2500만원은 수표 출금”이었다고 지적한 후, “한꺼번에 350만~370만원이 현금 인출된 내역도 함께 확인”했다고 주장하며 “횡령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정의연이 입장자료 등을 통해 누누이 밝혀 온 내용을 부정한 사실왜곡· 허위보도이며, 정의연과 길원옥 인권운동가, 돌아가신 손영미 소장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근거>
1) 2017년 11월 25일(토), 정의기억재단은 <2017 동행의 날> 행사 1부에서 "100만 시민이 함께 하는 여성인권상 시상식"을 한 바 있습니다. 인권상 행사 관련 내용은 11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바 있습니다. 행사 당일인 25일은 토요일이라 은행업무를 하지 않고, 상금은 이미 11월 22일에 상금수여자에게 전달(입금)된 바 있습니다.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는 받으신 1억 원의 상금 중 5천 만원을 <길원옥여성평화기금>에 기부하셨습니다. 그 외 다른 부분, 길원옥 할머니의 개인 재산은 할머니께서 관리하신 것으로서 정의연 측으로서는 아는 바가 없습니다. 특히 개인 계좌와 관련된 내역 또한 알 길이 없습니다. (길원옥 할머니 관련 입장 자료 ...참고)
2) 이상과 같은 내용을 이미 수차례 밝혔음에도 조선일보는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의 숭고한 뜻과 그간의 활동을 폄훼하는 기사를 일방적으로 작성했을 뿐 아니라 거짓내용을 보도합니다. 조유진 기자는 2020.06.28. 오후 1:28에 기사를 송출하면서 “정의연 측은 본지의 해명 요청에 대한 답변을 거부했다”라고 작성한 후 1시 47분과 1시 46분에 정의연 이나영 이사장과 한경희 총장에게 해명을 요구하는 문자를 형식적으로 발송했습니다. 한경희 사무총장은 2시50분에 이에 대해 답신을 보낸 바 있으며, 이나영 이사장은 오후 2시에 오프더레코드로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가 길원옥 할머니 통장 내역 입수 경위’를 질문한 바 있습니다. 이후 일방적 수정내용에 항의하며 삭제를 요청한 바 있으나 적절히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해명을 요청하지도 않고 답변을 받기도 전에 마치 확인한 것처럼 거짓으로 기사를 쓰는 행위는 명백히 취재윤리에 반하는 행위입니다.
3) 오히려 정의연은 되묻고 싶습니다.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는 어떻게 생존자의 개인계좌 내역을 입수하게 되었는지요? 개인정보를 무차별적으로 공개하는 행위를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는 알고 계신지요? 당사자로부터 허락은 구한 것인지요? 구체적으로 밝히십시오.
4) 길원옥 인권운동가는 그간의 정부지원금, 활동으로 인해 받은 상금 등을 기부해 소외된 이들을 돕고자 하셨던 분입니다. 조선일보는 일방적 주장을 통해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 정의연과 고 손영미 소장님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사과하십시오.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3. 6월 25일, 헤럴드경제의 이원율 기자의 “강기윤, ‘정의연, 서울시 보조금 일부 ‘밥·커피 값’으로 썼다” 기사에 대한 설명
헤럴드경제 이원율 기자는 해당 기사에서 미래통합당 강기윤 의원실의 말을 인용해 정의연이 서울시로부터 수령한 ‘위안부’ 기림비 설치사업, 성평등기금 사업비용을 ‘유용’했거나 ‘부적절하게 집행’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명백히 허위사실에 기초한 명예훼손 행위이며,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근거>
1) 해당 사업들은 적법한 절차를 거쳐 선정되고 진행되었습니다.
2) ‘기림비 설치사업(8천5백만원)’ 은 설치비(성평등기금)로 3천5백만원, 제막식 행사 비용 등으로 5천만원(민간경상사업보조비)이 집행된 바 있습니다.
3) 의혹으로 제기된 ‘식비와 다과비’등은 필요경비로 보조금사업 기준단가에 따라 적법하게 집행된 것입니다.
4) 관련해 상세한 설명은 이미 6월 25일,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이 설명자료를 낸 바 있으니 아래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www.seoul.go.kr/news/news_explanation.do?selmenu=M00000111#view/319510
제공일자 : 2020년 6월 25일
담당부서 : 여성가족정책실 여성정책담당관
시 보조금 중 일부를 “기림비 설치사업에는 아예 쓰이지 않고, 식비와 간식비 등으로 썼다”는 기사 내용과 관련
○ 서울시는 ‘기림비 설치사업’을 위해 ①기림의날 사업 공모 → ②사업자 선정(심의회 심의 등) →③사업협약 및 사업계획서에 따라 추진함.
- 협약서 상 사업범위는 ▲‘위안부’ 기림비 설치, ▲제막식행사 개최, ▲홍보 뿐만 아니라, ▲ 시민사회참여 역사프로그램 개발 등이 포함되었음
○ ‘기림비 설치사업(8천5백만원)’ 은 설치비(성평등기금)로 3천5백만원, 제막식 행사 비용 등으로 5천만원(민간경상사업보조비) 집행함.
※ 세부 집행내역

○ 이 중, 식비·다과비 등은 ‘기림비 설치 사업’ 일환으로 추진한 시민사회참여역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경비로, 보조금사업 기준단가(식비 8,000원, 다과비 4,000원)에 맞추어 적법하게 집행한 것임.
---
6.25_입장문_2차 언론 조정 신청서 제출
정의기억연대는 일부 언론의 지속적인 허위·왜곡 보도로 회복되기 어려울 정도의 심각한 명예훼손을 입고 있습니다. 이에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경종을 울리고 책임감 있고 한층 성숙된 언론의 자세를 요청하는 심정으로 조선일보, 중앙일보, 뉴데일리, 서울경제 등 총 4개 언론사, 5개 기사를 상대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원회에 신청하게 되었음을 알립니다.
언론의 불공정하고 편파적인 보도, 허위사실에 기초한 ‘가짜뉴스’ 양산, 짜깁기를 통한 교묘한 사실왜곡이 한국사회에 끼치는 폐해가 지대한 바, 정의연의 이번 언론조정 신청이 표현의 자유 제고는 물론, 한국 언론 발전의 밑거름이 되길 바랍니다.
2020년 6월 25일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이나영
---
6.25_입장문_언론은 ‘허위보도’와 ‘왜곡보도’를 중단하라! 정의연에 대한 심각한 명예훼손이 초래되는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언론은 ‘허위보도’와 ‘왜곡보도’를 중단하라!
정의연에 대한 심각한 명예훼손이 초래되는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1.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2020년 6월 1일 기사, “[단독]인쇄업체에서 유튜브 제작했다? ...정의연 ‘제2 옥토버훼스트’ 의혹”
해당 기사는 “영상물과 거리가 먼 인쇄 업체에 홍보용 유튜브 제작을 맡긴 것처럼 국세청에 부실 신고한 정황이 확인”되었다고 주장
☞ 허위사실에 기초한 기사로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한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정의연은 인쇄업체에 홍보용 유튜브 제작을 맡긴 적이 없음.
2) 해당 인쇄업체는 대표 지급처 한곳을 기재하게 되어 있는 국세청 공시 절차에 따라 신고된 업체임.
3) 국세청 공시 관련 사실은 정의연 설명 자료와 언론 보도를 통해 수차례 이미 확인해 준 바 있음(참고: bit.ly/정의연입장문).
4) 그럼에도 해당 기사는 “제2의 옥토버훼스트 의혹”으로 프레임화해 정의연에 심각한 회계 부정이 있는 것처럼 보도해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함.
2. 조선일보 6월 16일, 김형원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뉴데일리 6월 16일, 이도영 기자의 “여가부 지원사업 심의위원에 윤미향… 정의연 '셀프 심사' 거쳐 10억 받았다”; 조선비즈 6월 16일, 김민우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등의 기사
위 기사는 공히 “여성가족부가 위안부 피해자 지원·기념사원 심의위원회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옛 정대협)이사들을 포함시켰”다고 주장하면서, 정의연이 정부 지원금을 ‘셀프로 심의’하고 ‘셀프로 수령’했다는 의혹을 제기
☞ 이상의 기사는 명백한 허위사실에 기초한 것으로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한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지원 및 기념사업 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원회’)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보조사업자선정위원회」(이하 ‘선정위원회’)는 구성과 역할이 다름.
- ‘심의위원회*’는 개별적인 보조사업자의 선정이 아닌 기념사업의 전반적인 추진방안을 심의하는 위원회이고, ‘선정위원회**’는 보조금법 제17조에 따라 사업별로 구성되는 위원회입니다. 해당 보조사업과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위원 대상에서 배제됨
2)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정의연, 정의기억재단 이사는 보조사업자 선정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한 바 없음
3) 이상의 내용은 여성가족부 보도설명자료(2020. 6. 16.(화)권익정책과 작성,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6&bbtSn=707084)와 더불어민주당, 정부, 청와대의 당·정·청 협의회(6월 22일)에서 확인된 바 있음(관련 보도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76307&ref=A 등).
4) 이에 허위사실을 사실로 호도한 것이 밝혀진 바, 정정보도와 허위사실에 기초한 명예훼손에 대한 책임을 촉구함.
3. 중앙일보 6월 19일 박현주 기자의 기사,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후원자들이 정대협과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상대로 후원금 반환 소송을 제기한다.”
☞ 해당 기사는 내용과 다른 제목을 통해 사실을 왜곡하고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한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해당 기사는 본문에서 “나눔의집 후원자 23명과 정대협 후원자 2명이 참여”한 소송을 다루고 있음.
2) 나눔의집과 정대협은 명백히 다른 단체이며 소송 주체 또한 다름. 심지어 소송 참여자들은 정의연 후원자들도 아님.
3) 정의연이 후원자들에게 감사편지를 쓴 날짜는 6월 19일 낮 12시 무렵이며, 기사에 제기된 후원금 반환소송과 무관함.
3) 그럼에도 기사는 내용과 다른 제목과 소제목으로 달아 정의연 후원자들이 대거 기부금 반환소송을 진행하는 것처럼 사실을 호도함.
4. 아시아경제 6월 11일, 이지은 기자의 “곽상도 ‘고 손영미 소장, 사인 불분명해...정확한 사인 밝혀야”; 머니투데이 6월 11일, 구단비 기자의 “곽상도 ‘쉼터 소장 사망, 샤워기·개인 계좌 모금 등 조사해야”; 조선비즈 6월 12일, 김민우 기자의 “곽상도,’수사기관, 쉼터 소장 사망 경위 철저히 밝혀야”; 스타뉴스 6월 12일, 박소영 기자의 “곽상도, ’쉼터 소장 사망, 미리 결론 내놓고 조사하는 것 아닌지...의문점 多”; 레이더 P 6월 11일, 고재만 기자의 “곽상도, ‘손영미 쉼터소장 사망 납득 어렵다...경찰 철저히 조사해야”; 뉴스1 6월 11일, 성동훈 기자의 “곽상도 고(故) 손소장, 샤워기 줄 목에 감고 앉은 채 사망...정확한 사인 밝혀야”; 뉴데일리 6월 11일 장세곤 기자의 “[영상] 곽상도 ’앉은 채 스스로 목을 메...납득 안된다”; 아시아타임즈 6월 12일, 김지호 기자의 “쉼터소장 죽음 논란...곽상도 ‘문재인 정부 의문사’ 갈 수도”; 팬엔드마이크 6월 11일, 김민찬 기자의 “곽상도 ‘평화의집 소장인 앉은 채 스스로 목졸라 죽었다고? 이게 납득이 되나”; 뉴데일리 6월 11일, 심교근 기자의 “자기가 자기 목을 졸랐다?...곽상도 ’정의연 쉼터 소장 사망 이상하다: 위안부 할머니 계좌서 고액 인출 의혹...문 정부 의문사로 갈 수 있어‘ 기자회견”; 아시아타임즈 6월 12일, 김지호 기자의 “부장검사 출신 곽상도 의원, ‘경찰 제시 쉼터 소장 사망 시간 불분명”; 데일리안 6월 15일, 이슬기 기자의 “’쉼터‘ 소장 사망시점 의혹...곽상도 ’정의연, 부검 전에 어떻게 알았나” 등의 기사
이상의 기사들은 고(故) 손영미 <평화의우리집> 쉼터 소장의 사망 관련 곽상도 의원의 기자회견 등을 일방적으로 보도하면서, “조직적 은폐 시도,” “의문사,” “타살 의혹” 등을 제기해 정의연이 사인(死因)에 연루된 듯한 인상을 줌.
☞ 고인의 사인이 밝혀진 바, 정의연 명예훼손에 대한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6월 7일, 경기도 파주경찰서는 “현재까지 수가 결과 타살 가능성을 낮은 것으로 보이”며, “집안에 다른 침입 흔적이 없으며,” “자해한 흔적도 나왔으나 정확한 사망 원인은 시신부검을 통해 규명될 것”이라 밝히고, 6월 8일 고인에 대한 부검을 진행한다고 알림.
2. 6월 23일, 경기도 파주경찰서는 국과수 부검 결과(‘목멤사로 최종 회신’)를 확인하고 ‘범죄 혐의점 없어 사건을 내사 종결함’을 밝힘.
2020년 6월 2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18_입장문_ ‘일부’ 언론은 고인이 되신 쉼터 소장님과 길원옥 인권운동가, 정의기억연대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를 당장 중단하십시오!
길원옥 할머니의 양아들과 며느리의 일방적 주장을 근거로, 6월 17일 조선일보 원우식 기자의 “[단독] ‘길원옥 할머니 통장서 돈 빠져… 이유 묻자 쉼터소장 무릎 꿇더라,’” 6월 17일 중앙일보 이우림·정진호 기자의 “[단독] 길원옥 할머니 가족 "뭉터기로 돈 빠져나갔다" 檢진술”, 6월 18일 조선일보 원우식·조유진 기자의 “2000만원, 500만원… 치매 길원옥 할머니 통장서 뭉칫돈 나가,” 6월 18일 조선일보 사설 “[사설] ‘뭉칫돈’ 해명 요구에 무릎 꿇었다는 쉼터 소장, 너무 썩었다” 등 고인의 계좌 관련 기사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16년간 정성과 헌신으로 피해당사자들을 보살펴왔던 고(故) 손영미 소장님의 삶을 송두리째 부정하고 정의연을 비리집단으로 몰며, 인권운동가의 삶을 실천해 오신 길원옥 할머니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정의연은 몇 가지 사실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합니다.
1. 길원옥 할머니 양아들의 법적 양자 취득 시기는 아주 최근의 일입니다. 만약 조선일보 6월 18일 보도대로 할머니가 이미 “치매” 상태라면, 지난 5월, 길원옥 할머니의 도장과 주민등록증을 가져가 등록한 양아들의 법적 지위 획득 과정 또한 문제가 됩니다.
2. 양아들은 오랫동안 정기적으로 길원옥 할머니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고 있었습니다. 돌아가시기 전 고인은 물론 쉼터에서 할머니를 함께 보살피던 요양 보호사분들의 증언에 따르면, 할머니는 양아들에게 정기적으로, 방문 시, 때론 특별한 요청에 따라 현금을 제공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직접 방문이 어려워지자, 고인이 양아들의 은행 계좌로 송금하기도 했습니다. 6월 1일의 경우, 두 차례에 걸쳐 1,000만 원과 2,000만 원, 합계 3,000만 원이 양아들에게 지급되었습니다.
3. 그간 마포 쉼터에는 네 분의 요양보호사분들께서 돌아가며 길원옥 할머니를 돌봐 주셨습니다. 매월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지급되는 보조금만으로는 모자라 정대협도 추가 보조금을 지원했습니다. 2019년 한해만, 총 15,456,000원이 정대협 계좌에서 간병비로 지급되었습니다.
4. 길원옥 할머니는 인권운동가의 삶을 실천해 오셨습니다. 전 세계를 돌면서 증언활동을 하시고 다른 전쟁피해자들을 다독이며, 수요시위를 비롯해 다양한 장에서 젊은이들과 만나고 적극적인 기부활동을 통해 인권의 가치를 널리 퍼트리셨습니다. 이 모든 활동은 쉼터에서 함께 생활하던 고인께서 주야로 할머니의 건강과 정서적인 안정을 온전히 보살피셨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 2014년~2019년 길원옥 할머니 해외 증언활동 프랑스, 미국, 독일, 호주, 일본 등 13회
⇨ 2017년 <길원옥여성평화기금> 5,000만원 기부 등
⇨ 2019년~2020년 <김복동센터> 1,000만원 기부
⇨ 2019년~2020년 <김복동의희망>에 <길원옥장학금> 1,500만원 기부 및 매월 5만원 정기후원으로 현재까지 총 75만원 기부
5. 이중 <길원옥여성평화상>의 경우, 전적으로 길원옥 할머니의 기부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2015한일합의’ 이후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이 지불하는 1억원을 거부한 할머니는 2017년 시민들의 성금으로 모인 <여성인권상> 상금 1억원을 받으셨습니다. 이중 5,000만원을 정의연에 기부하시고 1,000만원은 양아들에게 지급했다고 합니다. 정의연은 할머니의 숭고한 뜻을 받아 <길원옥여성평화기금>을 조성하고, 이 기금으로 운영되는 <길원옥여성평화상>을 만들어 여성인권평화에 기여한 분들을 매년 선정해 상금을 수여해왔습니다. 길원옥 할머니의 기부금은 공시에서 별도로 표시되지 않았을 뿐 기부금 전체 금액에 포함되어 있으며, 정의연 결산서류에 정확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부 언론의 보도는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삶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행위이자, 당사자의 소신과 의지에 따른 여성·인권·평화 활동을 뿌리째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숭고한 뜻을 받들고자 개인의 삶조차 희생한 고(故) 손영미 소장님과 정의연을 ‘파렴치한’으로 매도하는 명예훼손 행위입니다.
2017년 5월 28일 길원옥 할머니는 독일 베를린 방문 중 진행된 IS성노예제 피해자 마르바 알-알리코씨와의 간담회에서 “내가 겪은 아픔은 마음으로 참되,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를 알고 해결을 위해 함께 할 수 있도록 계속 알리고 싸워야 해. 우리의 후손들은 나같은 피해를 당해서는 안돼. 힘들지만 함께 해요”라고 말씀하시며 피해자와 손잡고 위로하셨습니다. 남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명백합니다. 길원옥 인권운동가께서 손수 실천하신 숭고한 가치를 지키고 계승하는 일입니다.
언론에 요구합니다.
일방적인 주장에 기초한 악의적 보도를 당장 중단하고 사과하십시오. 길원옥 할머니의 명예와 존엄함에 더 이상 상처내지 말아 주세요. 그의 숭고한 실천정신에 감명 받아 새로운 희망을 품었던 수많은 여성들의 삶을 흔들지 말아 주세요.
길원옥 할머니의 가족들에게도 부탁드립니다.
더 이상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명예에 누가 되는 일을 하지 말아 주세요. 그의 삶을 빛나게 하며 그림자처럼 돌봤던 고(故) 손영미 소장님의 삶을 폄훼하지 말아 주세요. 부디 가족으로서 할머니의 건강과 안녕만 생각해 주세요. 할머니께서 쌓아온 업적과 명예가 훼손하지 않게 지켜 주세요.
길원옥 할머니의 몸과 정신의 강건함을 간절히 기원합니다. 고(故) 손영미 소장님의 평안한 영면을 기도합니다.
2020년 6월 1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15_입장문_언론 조정 신청서 제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6월 15일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언론 조정 신청서를 접수하였습니다.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4조는 ‘언론의 보도는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불공정하고 객관적이지 못한 언론은 언론 본연의 기능을 담당하지 못함은 물론, 표현의 자유와 언론 독립을 스스로 위협하는 요인이 됩니다. 불공정하고 객관적이지 못한 언론 보도의 피해는 특정인과 특정 집단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 전반의 커다란 위험요소가 됩니다.
정의기억연대는 악의적이고 왜곡된 각종 허위 보도들이 쏟아지는 분위기에 편승해, 사실관계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거나, 의도적으로 배제한 일부 언론의 허위보도로 심각한 명예훼손을 입고 있습니다. 그동안 각종 입장 자료를 통해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허위보도 및 왜곡 보도에 대한 정정요청을 드렸음에도 해당 언론사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정의기억연대는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경종을 울리고 한국 언론이 보다 발전하기를 바라는 심정으로 우선 조선일보사 등 7개의 언론사에 대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에 신청하게 되었음을 알립니다. 정의기억연대는 명백한 허위사실 및 악의적 명예훼손 기사에 관해서는 모두 그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2020년 6월 1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정의기억연대 #정의연 #일본군성노예 #일본군위안부 #위안부 #언론중재위원회
---
6.11_입장문_곽상도 의원은 패륜적 정치공작을 당장 중단하고, 고인과 정의기억연대에 공개 사과하십시오!
故 손영미 <평화의우리집> 소장 사망 관련, 곽상도 의원의 기자회견과 보도 자료의 내용은 고인과 정의기억연대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습니다.
첫째, “이순덕 할머니 조의금은 손 소장 개인계좌로 받았다”는 출처불명의 인터넷 댓글을 인용해 “후원금을 개인 계좌로 모금한 과거 행적이 드러난 셈”, “개인 계좌 후원 및 위안부 할머니 계좌 돈 인출 같은 내용과 사망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런 내용도 함께 규명되어야 할 것”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
명백한 허위사실에 근거한 명예훼손이자, 정의기억연대를 ‘타살에 연루된 집단’으로 모함하는 행위입니다.
이순덕 할머니 조의금은 2017년 <평화의우리집>에 거주하시던 이순덕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당시, 정대협 실행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할머니를 모시고 있던 고인의 계좌를 열어 조의금을 받기로 한 것입니다. 조의금의 정산 또한 정대협 실행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둘째, “샤워기..” 등 고인의 사망 당시 정황을 세세하게 공개하면서 사망원인과 사망경위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유족과 주변인들이 고인의 급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한 충격에서 채 벗어나기도 전에, 국회의원이라는 신분을 이용해 사망 관련 정황 정보를 취득하고 유족 이외의 사람들이 알아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는 불필요한 정보를 공개하며 ‘음모론’ 유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 고인의 죽음과 주검을 세간의 ‘호기심거리’와 ‘볼거리’로 전락시키는 비인간적 패륜 행위입니다.
고인은 쉼터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과 반인권적인 취재행태 등으로 고통 받다 돌아가셨습니다. 고인의 죽음 뒤에도 여전히 자행되는 허위사실 유포, 모욕과 명예훼손 등이 대한민국 국회의원에 의해 자행되고 있다는 사실에 정의연은 그저 참담하고 비통할 따름입니다.
곽상도 의원에게 강력히 요구합니다.
출처도 불분명한 sns나 댓글을 근거로 한 정치공작을 중단하십시오.
죽음을 이용한 반인권적 패륜 행위를 당장 중단하십시오.
고인과 정의연에 정중히 사과하십시오.
2020년 6월 1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10_입장문_계속되는 언론의 ‘왜곡보도’와 ‘악의적 제목 달기’ 행태를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1. 2020년 6월 9일, 국민일보 권혜숙 기자의 ‘“후진국도 아니고, 정의연 장부도 없다니” 회계사회 회장 한탄’이라는 기사 관련
해당 기사의 제목은 인터뷰 내용을 빙자한 허위사실 유포행위입니다.
첫째, 권혜숙 기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인터뷰를 게재하면서 본문에는 “한국시민단체가 장부도 제대로 없고 그게 다 관행이라고...”라고 적고, 본문 내용과 다른 기사 제목을 달아 정의연을 ‘장부도 없’는 단체로 적시하고 있습니다.
둘째, 매년 정의연 홈페이지에 공시되는 재무제표와 운영성과표는 장부와 회계시스템 없이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정의연은 회계장부조차 없이 “불투명하게 운영”되는 단체가 아닙니다.
☞ 이에 정의연은 국민일보에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하는 허위 기사제목 삭제와 사실에 근거한 기사작성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2. 2020년 6월 9일, 중앙일보 사설 “시민단체가 정부 돈・요직의 통로가 된 비정상 사회” 내용 관련
해당 사설의 내용 중 “서울시는 남산에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를 세우며 정의연에 수천만원을 지급했는데, 비에 새겨진 명단에서 정의연과 불편한 관계에 있었던 피해자들 이름이 빠져 있는 것이 최근 확인됐다”는 명백히 허위사실입니다.
첫째, 남산의 기림비에는 ‘위안부’ 명단이 새겨져 있지 않습니다.
둘째, 2019년에 세워진 남산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서울시 중구 회현동 1가 100-266)는 2019년 샌프란시스코 교민 등의 모금으로 제작된 기림비를 서울시에서 기증받아 해당 장소에 설치했던 것으로 정의연은 기림비의 운송과 설치, 제막식 행사, 명칭공모와 기림비 홍보 사업을 진행했고 증빙을 갖추어 정산보고가 완료되었습니다.
셋째, 사설에 제시된 “명단”은 2016년에 만들어진 기억의 터(서울시 중구 퇴계로 26가길 6)에 있습니다. ‘기억의 터’는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 건립추진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조성되었으며, 당시 정대협은 상징적인 ‘위안부’명단만을 제공했을 뿐 해당 사업에 관여하지 않았고, 사업비도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 정의연은 명백히 허위사실에 근거한 중앙일보 사설 내용의 정정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3. 6월 10일, 중앙일보 한영익, 박해리, 김기정 기자의 “‘정의연은 운동권 물주’...재벌 뺨치는 그들만의 일감 몰아주기” 기사 관련
해당 기사는 “내부 소식지 디자인” “윤미향(전 정의연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남편 회사(수원시민신문)에 발주”와 “‘김복동 장학금’의 상당액”을 “진보계열 시민단체 활동가 자녀”가 받았다는 두 가지 사례를 “재벌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에 비유하면서, 진중권씨의 페이스북 내용을 인용해 정의연을 “운동권의 물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왜곡된 기사 내용과 악의적 기사제목으로 정의연에 대한 명백한 명예훼손입니다.
첫째, 정의연은 매년 한번 활동 보고를 위해 소식지 형태의 신문을 발행합니다. 2019년 정의연은 신문 디자인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4개 업체에 견적을 의뢰하였고, 당시 최저금액을 제시한 수원시민신문사에 신문 편집·디자인을 맡깁니다. 이때 지불한 금액은 3백7십여만원으로 2019년 정의연 총 사업비용의 0.26%입니다.
둘째, 기사에 제시된 ‘김복동 장학금’은 고(故) 김복동 인권운동가의 유지를 받들어, 장례를 치르고 남은 비용을 장례위원회와 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진행된 일시 사업이었습니다. 11개 시민사회단체 후원금으로 2,200만원(2020년 2월 3일 기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자녀(25명)에게 각 200만원씩 김복동 장학금으로 5,000만원(2020년 4월 17일 수요시위 시상식 진행) 등이 전달되었으며 해당 내용은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 기록집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정의연 홈페이지 게시)에 투명하게 공개한 바 있습니다.
셋째, ‘일감몰아주기’란 기업들이 자회사에 일감을 몰아줌으로써 대주주의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일감몰아주기’는 계열사 내부거래가 일정비율을 넘으면 과세대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위에서 제시한 내부 소식지 디자인 수원신문사 발주비용과 ‘김복동 장학금’ 사업 내용이 ‘재벌회사의 일감몰아주기’에 비유될 수 없다는 사실은 상식 있는 시민이라면 판단 가능한 일이라 봅니다.
☞ 정의연은 중앙일보의 왜곡된 보도 내용의 정정과 악의적 기사 제목의 삭제를 강력히 요청합니다.
2020년 6월 10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7_평화의 우리집 쉼터 소장님 부고 성명
먼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일본군‘위안부’ 생존자 쉼터인 ‘평화의 우리집’ 손영미 소장님께서 6월 6일 낮 파주 자택에서 영면에 드셨습니다. 고인을 갑작스레 떠나보내게 되어 너무나 비통한 마음입니다.
고인께서는 2004년부터 지금까지 쉼터 ‘평화의 우리집’ 일을 도맡아오셨습니다. 고인은 개인의 삶은 뒤로 한 채 할머니들의 건강과 안위를 우선시하며 늘 함께 지내오셨습니다. 기쁜 날에는 할머니들과 함께 웃고, 슬픈 날에는 할머니들을 위로하며 그렇게 할머니들의 동지이자 벗으로 그리고 딸처럼 16년을 살아오셨습니다. 지금도 함께 생활하시던 길원옥 할머니의 건강만을 생각하셨습니다.
심성이 맑은 분이셨고, 정성과 헌신으로 언제나 자신보다 할머니들이 우선이셨던 분입니다.
고인은 최근 정의연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상황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셨습니다. 특히 검찰의 급작스런 평화의 우리집 압수수색 이후 자신의 삶이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것 같다며 심리적으로 힘든 상황을 호소하셨습니다. 무엇보다 언론의 과도한 취재경쟁으로 쏟아지는 전화와 초인종 벨소리, 카메라 세례로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계셨습니다. 항상 밝게 웃으시던 고인은 쉼터 밖을 제대로 나가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이셨습니다.
한생을 피해자들에게 헌신한 고인을 위해서라도 불필요한 관심과 억측을 멈춰주십시오. 유족들과 주변인들, 정의연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고인의 자택 등을 향한 인권침해적인 무분별한 취재경쟁을 중단해주십시오. 고인의 명예를 위해 부디 카메라와 펜을 내려놓고 고인의 삶을 차분히 되돌아 봐주십시오.
정의기억연대는 유가족 측의 의견을 존중하며 명예롭고 정중하게 고인의 가시는 길에 예의를 다하겠습니다.
먼저 가신 고인의 부모님, 함께 생활한 이순덕, 김복동 할머니 등과 함께 하늘나라에서 생전의 미소 그대로를 보여주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020년 6월 7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5_입장문_언론은 교묘한 덧씌우기를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왜곡보도’를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부 언론의 정의연에 대한 ‘의혹 부풀리기,’ ‘의혹 덧씌우기,’ 해명된 ‘의혹’ 다시 제기하기, 사실관계 왜곡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정보도와 사실에 기초한 보도를 요청합니다.
◎ 6월 5일, 중앙일보 김홍범 기자의 “강제징용 문희상안, 윤미향이 반대해 무산시켰다”라는 기사는 사실과 다릅니다.
1.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이 소위 ‘문희상안 (2+2+@)’에 반대한 것은 맞습니다. 이유는 ‘2015한일합의’ 후속으로 만들어진 화해치유재단에 일본이 냈던 잔액 60억원이 문희상안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2.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과 정의연이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일본이 낸 화해·치유재단 지원금) 1억 원을 받지 말라고 한”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3. ‘문희상안’은 윤미향 전 이사장이 반대해 무산된 것이 아닙니다. 여러 가지 문제점 때문에 관련 단체들과 피해자당사자들은 물론, 민주당 내 다수의 국회의원들도 반대했으며, 심의조차 되지 못한 채 임기만료로 자동 폐기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X1B9T1C2P1U8D1V6G3N0A5L0O9W1W3
☞ 중앙일보 김홍범 기자의 기사 수정을 강력 요청하며, 정확한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위와 같은 보도가 다시는 생산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 6월 3일 국민일보 강보현, 정현수 기자의 “[단독] 일반참가자→가이드 둔갑, 정대협 수상한 ‘평화기행’” 이라는 기사는 사실이 아닙니다.
1. 본 기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가 지원하고, 대학생 단체 ‘희망나비’가 진행한 유럽평화기행 사업 수행 여행사의 회계 의혹을 지적하면서, 정대협의 ‘문제’인양 의혹 덧씌우기를 하고 있습니다.
2. 당시 사업은 서울시가 ‘희망나비’와 함께 진행한 것입니다. 사업비는 서울시가 관련업체에 직접 집행했으며, 정대협과 전혀 상관없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해당기자에게 설명하고 정정보도를 요청하였으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 국민일보 정우진 기자의 6월 2일, “할머니들께 죄송해요”…2030세대 잇단 후원금 반환소송 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다른 사안과 정의연을 교묘히 연결해 사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해당 후원금 반환소송은 정의연과 무관합니다. 소송 당사자의 목소리를 차용하는 형식으로 정의연에 문제제기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어, 심각한 명예훼손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나눔의 집과 정의연은 무관한 단체임을 다시 한 번 알립니다.
☞ 이상 두 건에 대해 국민일보의 정정보도와 사실관계에 기초한 기사 작성을 요청합니다.
------------
5.31_입장문_나비기금의 콩고민주공화국지원 관련 - 조선일보는 ‘정의연 추천’을 가장하여 윤리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취재원에게 접근하는 행위를 그만두십시오.
조선일보는 ‘정의연 추천’을 가장하여
윤리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취재원에게 접근하는 행위를 그만두십시오.
최근 조선일보 기자가 ‘정의연의 추천’이라며 콩고의 나비기금 수혜 단체 활동가에게 접근하였다 합니다. 정의연은 현지 활동가와 전화로 소통하는 가운데 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의연은 현지 단체에 조선일보를 추천한 일도, 조선일보에 현지 단체를 추천한 일도 없습니다. 사실관계 확인절차 없이 ‘정의연을 사칭’해 해외 활동가에게 접근하는 비윤리적인 취재 행위를 조선일보는 당장 중지하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내전 중인 국가와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취재 행태는 그 자체로 엄청난 인권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지금도 고통 받고 있는 성폭력 생존자의 인권과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콩고민주공화국에 지원되는 나비기금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omenandwar.net/kr/콩고민주공화국-활동-모음/
나비기금은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지원하는 정의연 기금사업입니다. 2012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께서 나중에 일본정부로부터 법적배상을 받으면 자신들과 같이 고통받고 있는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위해 기부하고 싶다는 숭고한 뜻에 따라 설립되었습니다. 나비기금의 첫 수혜단체는 콩고민주공화국 전시성폭력 피해 여성과 전쟁 피해 아동을 돕는 단체 압두드(APDUD)로 2012년 9월부터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우간다, 베트남 등 세계 전시성폭력 피해 여성과 아동들로 지원이 확대됩니다.
콩고민주공화국의 경우 압두드(APDUD)외에도 2015년부터 현지 단체 레메드(REMED)를 통해 전시성폭력 생존자들 자생모임인 유시리카(Ushirika)에 정기적인 지원을 시작합니다. 압두드의 경우는 단체 사정으로 인해 2016년부터 2019년 상반기까지 지원이 중단되었으나 2019년 하반기 레메드(REMED)를 통해 다시 지원이 개시됩니다.
레메드는 나비기금을 통해 피해 여성들을 위한 재봉훈련, 아이들에 대한 학비지원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반군에 의한 성폭력으로 어린 나이에 아이를 낳은 소녀들, 에볼라와 전쟁을 피해 마을에서 도망친 여성들이 나비기금의 혜택을 받고 있으며 그 여성들의 자녀에 대한 학비지원, 음식과 옷 등 기본 생존을 위한 지원도 진행됩니다. 성폭력 피해 여성에 대한 지원과 전쟁 피해를 입은 아이들에 대한 지원은 결코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레메드는 나비기금에 대한 활동보고와 사진자료 등을 보내주고 있으며, 정의연은 이를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레메드 활동가는 정의연이 개최한 2019 세계 전시성폭력 추방의 날 주간 행사 국제 심포지엄(6월 18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의 피해여성들과 전쟁고아 등 아동들의 심각한 상황을 소개하기도 하였습니다.
레메드를 통해 지원하는 나비기금에 대해 일부 오해가 있게 된 사례로 레메드 홈페이지에 저희가 지원하는 나비기금이 미국 나비기금 웹사이트로 연결되어 있는 오류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현지 활동가와의 통화를 통해 실수임을 확인하였으며, 수정하겠다는 답을 받았습니다.
2020년 5월 3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30_입장문_조선일보는 보도의 기본인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고 기사를 작성하십시오.
조선일보의 5월 30일자 “[단독] '위안부 전시회' 정부 보조금만 챙기고… 에 대한 입장입니다.
조선일보 기사 중.
- 정대협은 별다른 전시회 준비조차 하지 않다가, 이미 개최일을 넘긴 시점에 돌연 ‘일정을 연기할 것’이라고 통보
- 정부 측 승인 없이 시민단체가 일방적으로 사업 일정을 연기하는 것은 약정 위반에 해당
- 지난 15일에야 ‘코로나 사태로 인해 8월로 연기하겠다’는 취지의 사업변경계획서를 동북아역사재단 측에 전달.
조선일보의 위 기사는 정대협 측에 사실관계도 확인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박물관의 전시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작성한 기사입니다.
코로나 19 사태로 인하여 대부분의 공공 박물관들이 휴관 중에 있으며, 정대협 부설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이하 박물관) 또한 2020년 2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 휴관하였으며, 전염병 확산 정도에 따라 재개관과 휴관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전에 계획하였던 특별전시는 정상적으로 개최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사정으로 여러 논의를 거쳐 박물관 사무처는 4월 7일 회의에서 당초 5월 6일부터 개최하기로 했던 전시를 잠정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박물관은 4월 29일 사업계획변경 요청을 위해 사업약관 및 동북아역사재단 시민단체지원사업 규칙 제13조에 근거하여 동북아역사재단에(이하 동북아)에 ‘전시 변경에 대한 절차 등’을 문의하였고, 지속적으로 사업변경진행을 위해 문의 하였지만 동북아 측에서는 별도 회신이 없었습니다. 박물관에서는 5월 15일 사업기간변경요청 및 변경사업계획서를 동북아에 발송하였지만, 현재까지 동북아의 응신은 없는 상태입니다.
본 사업의 사업완료기간은 10월 31일까지이며 이 기간 내 사업에 대한 일체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박물관은 사업 약관을 엄정히 준수하여 특별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의 특별전시 연기는 최근 일련의 사건으로 인한 전시 연기가 아닌 코로나로 인한 전시 연기이며, 사업기한 역시 10월 말까지이므로 아직까지 전시 연기로 인한 사업 약관상 결격 사유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조선일보는 박물관 측에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체 기사를 게재한 후 같은 날 오후 12시 16분경 조선일보의 다른 기자를 통해 문자로 동북아역사재단 지원 전시회 연기관련해서 질의를 하고 있을 뿐입니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 및 경과를 알려드립니다.
◎ 2월 26일(수)~5월 11일(월) -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대응단계를 ‘심각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전시 개최 공간인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감염확산예방을 위해 휴관하였습니다.
◎ 이에 4월 7일- 5월 6일부터 2달간 개최하기로 한 특별전시는 4월 7일 박물관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감염확산예방을 위해 연기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이에 4월 29일 동북아 담당자에게 메일로 아래와 같이 질의를 하였습니다.
1. 약정서 교부 관련
- 본 단체는 2020년 3월 23일 사업 약정 체결을 위한 제반 서류를 귀 단체에 발송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지원금은 교부 받았으나, 2부 보내드린 약정서 중 1부는 교부 받지 못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약정서를 언제쯤 교부받을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2. 사업일정변경 관련
- 전시 사업은 5월 전시 오픈을 기획하였으나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하여 전시를 부득이하게 연기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8월 전시 오픈을 계획 중입니다. 약정서 상으로 사업기간은 3월 9월~10월 31일로 기재되어 있는데, 위에서 기술한 변동사항 발생시 어떤 절차를 거처야 하는지를 문의드립니다.
그런데 동북아는 그동안 사업담당자의 질의에 일체의 회신이 없었습니다. 동북아는 미교부했던 나머지 약정서 1부조차도 박물관의 재촉으로 5월 29일에야 회신하였을 뿐입니다.
◎ 5월 15일(금) – 박물관은 이메일로 사업기간변경요청 및 변경사업계획서를 동북아에 송부하였습니다. 동북아 담당자는 박물관이 위와 같이 이메일을 보내게 된 주 초(5월 11일 주)에야 박물관에 전화를 해서 사업기간 변경 사유 등에 대해 관련 서류를 제출할 것을 요청하여 박물관은 위와 같이 5월 15일 위 서류에 현재까지의 진행사항을 포함한 내용으로 이메일로 송부한 것입니다.
앞에서도 밝혔듯이 조선일보의 일정연기 통보, 약정위반 기재한 기사는 사실이 아니며 관련 절차를 준수하며 진행해 오고 있음을 거듭 알려드립니다.
---
5.28_입장문_국고보조금 사용에 관한 근거 없는 의혹이 보도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정의연은 국고보조금 사업을 목적에 맞게 성실하게 집행하였고, 그 결과를 주무관청에 투명하게 보고 완료하였습니다.
정의연은 국세청 공시 오류 등에 대하여 사과드린 바 있으며, 재공시를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결산과 공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동안 언론에서 제기했던 각종 의혹에 대하여 검찰수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의 노력과 수사 결과를 지켜봐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렸습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은 마치 정의연이 고의성을 갖고 회계 부정을 저지른 것인 양 관련 의혹을 연일 쏟아내고 있습니다. 특히 국고보조금의 일부 공시누락을 마치 보조금 유용인 양 보도하는 일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저희의 미흡함으로 인한 공시 오류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하지만 정의연이 그동안 수행한 국고보조금 사업은 성실하게 집행되고 투명하게 관리되었습니다. 국고보조금 사업은 주무관청의 목적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것으로 사업계획과 그 집행이 목적사업에 맞게 쓰여지도록 특정되어 있습니다.
일본군‘위안부’관련 공모사업은 국고보조금 통합관리시스템(e나라도움)을 통해 집행합니다. 보조금 교부부터 집행, 정산까지 예탁기관(한국재정정보원)에 예치하고 증빙 검증 후 집행합니다. 예산 항목의 변경이 필요할 시에는 주무관청의 승인을 사전에 받아야 하고 집행 후 남은 사업비 및 이자는 예탁계좌에서 공모사업기관에 반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12조 2> 에 따라 3억 원 이상의 공모사업은 별도의 감사인(회계)으로부터 정산보고의 적정성에 대하여 검증을 받아야 합니다.
더 이상 국고보조금 사용에 관한 근거 없는 의혹이 보도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2020년 5월 2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25_입장문_정신대·일본군'위안부'·성노예제 /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증언 채록 및 관리
안녕하세요 정의기억연대입니다.
오늘 기자회견을 안타까운 심정으로 지켜보았습니다. 마음이 아픕니다.
30년 운동을 함께 해왔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의 기자회견에 대해 입장을 내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몇 가지 부분에서 기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자료를 내고자 합니다.
1. 정신대와 일본군‘위안부’, 성노예제 관련
용어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간략히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신대’
- ‘근로정신대’의 줄임말.
- 소학교 고학년 정도 연령으로 일본의 군수공장 등으로 끌려가 군수품 등을 만드는 일을 강제당한 피해자임.
‘위안부’
- 일제에 의해 성노예를 강요당한 피해자를 일컬음.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0년대 초 활동을 시작할 당시에는 피해의 실상이 알려져 있지 않아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신대’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임. 실제 일제 식민지 하 제도상 혼용과 용어의 혼용이 존재했음.
- 정대협은 일관되게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해 활동해온 단체임.
- 정신대 피해자를 지원하는 단체는 별도로 존재하며, 활동가들은 혼동하지 않음.
- 정대협에 포함된 ‘정신대’는 운동의 역사적 산물에 불과함.
‘성노예’
- 일본군‘위안부’ 피해의 실상을 가장 잘 표현하는 개념으로 국제사회에서 정립된 것임. 1992년 초부터 영어 신문에는 sexual slavery로 기재되어 있음. 특히 1996년 인권위원회에 제출된 라디카 쿠마라스와미(Radhika Coomaraswamy) 보고서가 “전시하 군대 성노예제(military sexual slavery in wartime)”라고 명확히 규정한 것이 주요하게 기여함.
- ‘성노예’는 ‘자유를 박탈당한 채 성적 착취를 받은 피해자’를 의미하는 것일 뿐
- 피해자를 매도하기 위한 용어가 아닌 것은 물론이고, 오히려 피해의 실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학술적으로 구성된 개념임.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자세히 알지 못하는 이유로 지금까지 힌국의 언론 등에서는 정신대, 종군위안부, ‘위안부’ 등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2.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증언 채록 및 관리
<증언 채록과 증언집 발간의 배경>
1991년 8월 14일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김학순 할머니 공개 기자회견 이후 정대협은 같은 해 9월 피해자 신고전화를 개설하고 피해자 신고를 받습니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께서도 정대협의 신고전화를 통해 피해신고를 합니다.
한국정부는 1992년 2월 외무부 산하에 피해신고 전화를 개설하게 되면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신고는 정대협과 정부, 아시아태평양 전쟁 유족회 등에서 진행되게 됩니다. 정대협 운동의 결과, 1993년 피해자 지원법(일제하일본군위안부에대한생활안정지원법 (약칭: 위안부피해자법 ) [법률 제4565호, 1993. 6. 11. 제정. 즉일 시행]이 만들어 지면서 정부차원의 피해자 등록이 시작됩니다.
<증언 채록의 경과와 증언집 발간 상황>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증언은 증언집 1집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1990년대에는 정대협보다 몇 개월 먼저 만들어진 《한국정신대연구회》(이후 한국정신대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참여하여 증언의 채록이 이루어지고, 《정대협》과 《한국정신대연구소》 공동저작물로 증언집이 출간되기 시작합니다(당시에는 윤정옥 교수, 정진성 교수 등 정대협 구성원과 연구소 구성원이 겹침). 1993년부터 발간하기 시작한 증언집에는 〈피해자들의 피해사실〉 〈현재의 생활〉 〈한.일 정부에 바라는 점〉등이 담기게 됩니다. 피해자 증언집은 『강제로 끌려간 군위안부들』 1~6권까지 출간됩니다.
정대협은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담긴 증언집 발간을 통해 일본군‘위안부’문제의 역사적 진실을 정확히 알리고 가해자의 범죄인정과 그에 따른 책임 이행을 이루게 하고자 노력했습니다. 당시 증언집은 피해자의 존재를 알리며, ‘증거 문서부재’를 이유로 불법성을 부인하는 일본 정부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자료였습니다.
그래서 오늘 기자회견이 특히 더 마음이 아프게 다가왔습니다. 일본우익과 역사부정주의자들이 피해자의 증언을 부정하며,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의 인권과 명예를 훼손하는 행태를 보이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악용되고 공격받았던 분이 바로 이용수 할머니이기 때문입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은 사회적 맥락이 반영됩니다. 가해자들은 최초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이후 자신들의 책임을 부정하기에 급급했고 피해자들의 증언의 신빙성을 공격했습니다. 과정에서 피해자들은 자신들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 가해자들의 태도에 분노하는 한편 자신들의 피해성을 입증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일본군‘위안부’동원의 강제성과 불법성, 피해자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가해자에 맞서기 위해 피해자들의 증언 중 일부가 변화되는 과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본군‘위안부’로서 겪어야 했던 피해의 본질적인 내용은 결코 변한 적이 없습니다.
오늘 할머니께서 세세하게 피해사실을 말씀하신 것으로 압니다. 가해자들이 하루 빨리 자신들의 범죄사실을 인정하고 법적책임을 이행하여 더 이상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가 훼손당하지 않는 날이 올 수 있도록 정의연은 더욱 더 최선을 다해 활동하겠습니다.
2020년 5월 2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23_입장문_정의연이 수행하는 여가부 피해자지원사업에 대한 설명.
동아일보 등 일부 언론이 ‘정의연, 의료-주거 보조금 10억 타냈는데… 할머니들은 ‘임대 생활’ 등의 제목으로 보도한 의혹제기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지 않습니다. 정의연은 2019년과 2020년 여가부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건강치료 및 맞춤형 지원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어 사업목적에 맞게 성실하게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여가부에 사업수행 상세실적을 주 1회 문서로 보고하고 있고, 수시로 유선보고, 협의를 거쳐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포함되어 있는 ‘..임대생활’ 등은 본 사업의 목적과 내용에 포함된 것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이 2019년 정의연이 수행한 여가부의 [2019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건강치료 및 맞춤형 지원사업] 최종보고서의 일부 내용을 공개합니다. 마치 정의연이 보조금 사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처럼 호도하는 기사에 대한 정정보도를 요청하며,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3 사업 내용
□ 사업기간 : 2019. 1. 15. ~ 2019. 12. 31.
□ 사업예산 : 609,384,000원(금육억구백삼십팔만사천원)
□ 사업내용
1. 건강치료 지원
◦ 의료비 및 의료용품 지원
- 병원 비급여 치료비(외래진료비, 입원비, 약제비 등), 치과진료비, 한방치료비, 한약조제비, 상비약품비, 노인성 질환 관련 치료용품 지원
※ 치료비 이용 편의를 위해 ‘치료카드(직불카드)’ 전원 제공
- 암 투병 및 임종 등을 앞둔 피해자에 대한 호스피스 입원 및 치매, 와병상태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장기요양 의료기관(요양병원 포함) 입원․방문치료 비용 지원
- 기타 피해자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제공
2. 맞춤형 지원
◦ 일상생활 지원
- 활동 및 이동용 보조기구(휠체어, 실버카, 워커 등) 등 지원
- 틀니, 보청기 등 실생활에 필요한 의료용품 지원
- 앰뷸런스 이송료, 명예회복 활동 위한 교통비 지원
- 명절, 어버이날, 생신, 정기방문 선물 지원
- 기타 일상생활에 불편해소 지원
※ 건강도움식, 반찬, 일상생활 동행 등
◦ 환경개선 지원
- 안전하고 위생적인 주거환경을 위한 주택 개․보수 및 편의시설 보완, 청소 및 소독 등에 대한 지원
- 기타 주거 및 생활안정을 위해 필요 물품 지원
※ 주택 개·보수(벽·비중 누수, 문·창 수리, 벽지·장판 교체, 주택구조의 안전, 위생, 난방·보일러 설치 및 교체, 화장실 개·보수, 주방 환경개선, 생활불편 및 위험 환경개선을 위한 제반 개·보수)
※ 안전장치(안전바, 미끄럼 방지, 문턱제거, 안전손잡이 설치, 노인의 이동권 및 안전 보장을 위한 환경개선) 및 환경개선 물품 지원
※ 청소 및 소독(위생적이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주택 청소 및 소독 지원)
※ 주거환경 및 불편환경 개선을 위한 물품 지원(의료용 침대, 냉·난방기 등)
◦ 정서적 안정 지원
- 월 1회 정기방문과 명절 및 생신 등 방문하여 피해자 개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지원사항을 파악하고, 대화와 정서적 공감으로 심리적 안정과 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함
- 정기적인 건강상담과 문제적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피해자 거주지역 인근의 의료기관이나 양․한방 전문의와의 연계 지원
◦ 장례지원
- 장례비(500만원 내외 실비) 및 근조화환 지원
※ 사업운영지침 개정(‘19.4.23.)에 따라 300만원에서 500만원 내외로 상향
3. 네트워크 구축·협력 및 홍보
◦ 지자체 사례관리자 워크숍
- 피해자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지자체 담당 공무원 대상 워크숍 진행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필요시 빠르게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함
◦ 기타 그동안 피해자를 지원해 온 지역의 시민모임 등 관련단체 및 자원 활동가와 연계·협력하여 피해자의 일상생활 도움과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위한 비예산 사업 발굴·운영
Ⅱ사업 세부 실적
1 지원 실적(요약)
□ 지원 실적(건수)

2 건강치료비 지원
□ 의료비·비급여 의료비 지원 (총 1,383건 / 집행액 총 223,009,070원)
□ 호스피스·완화 의료 및 장기요양 입원·치료비 지원 (총 60건 / 집행액 총 13,435,150원)
3 맞춤형 지원
□ 일상생활 지원(총 316건 / 집행액 총 39,000,000원)
□ 환경개선 지원(총 39건 / 집행액 총 21,000,000원)
□ 장례비 지원(총 5건 / 집행액 총 19,038,500원)
4 네트워크 구축, 협력 및 홍보
□ 지자체 사례관리자 워크숍
□ 호스피스·완화 의료 지원 안내 책자 제작·배포
□ 비예산 사업 활동(물품 후원기관 및 품목)
Ⅳ 사업 정산 내역
□ 정산 총괄표

※사업수행인력 3인
---
5.22_입장문_기부금 공시 누락 관련
<상속세 및 증여세 법>에 근거하여 매년 법인 총 재산가액의 1% 혹은 2,000만원을 초과하는 기부금은 출연자와 금액을 반드시 기재해야 하나, 이러한 사항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여 기부금에 대한 공시가 누락되었습니다.
<정의연 홈페이지에 게시된 결산서에는 공시에 누락된 기부금 총액은 포함되어 있음>을 알려드리며, 기부금 공시를 포함하여 이전에 언론에서 지적한 공시누락에 대해서는 현재 전문회계사와 모든 공시를 검토 중에 있습니다.
최대한 빠른 시일안에 재공시 절차를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점 진심으로 송구하게 생각하며 추후 재발방지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관련 전문가 의견을 참고할 수 있도록 기사링크 첨부합니다. 고맙습니다.
http://www.in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1829
---
5.22_입장문_윤정옥 선생님 보도 / 여가부 2019 국고보조금 3,000만원 / 김복동센터 / 2014년 유럽캠페인 친북교육
5월 20일~21일 양일에 걸쳐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조사 중인 사안에 대해 일부 언론들이 사실관계에 기초하지 않은 보도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이에 정의연은 허위사실, 억측과 예단에 기초한 보도에 강력히 대응할 것을 알려 드리며, 몇 가지 제기된 사안에 대한 설명 자료를 배포합니다.
1. 윤정옥 선생님 《초기 정대협 선배들 입장문》 보도 관련
<초기 정대협 선배들 입장문>이 본인 동의를 받지 않았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5월 20일, 수요시위에서 발표된 위 입장문의 내용은 정대협 결성 초기 선배 선생님들께서 당사자 분들에게 한 줄 한 줄 읽어드리고 동의 받은 것으로 전달 받았습니다. 본인이 몰랐다는 점은 사실과 다르니 정정보도 요청합니다.
2. 여가부 2019년 국고보조금 3,000만원 증발 보도 관련
위 보도는 허위사실을 근거로 작성된 거짓보도입니다. 기사는 정의연이 2019년 여가부로부터 교부받은 보조금이 6억3,900만원이라고 적시하며 3,000만원이 증발되었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9년 정의연이 여성가족부로부터 교부받은 예산 총액은 6억9,384천원입니다. (교부결정 통보 붙임 자료 참고) 허위사실을 삭제해 주시고,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붙임-여성가족부 국고보조금 교부결정 통보 공문: 예산액 6억938만4천원]

3. 김복동센터 보도 관련
이미 5월 19일 《정의연 설명자료 2.》에 관련 내용을 담았으나 추가 질의가 많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자료 작성하여 제공합니다.
일부 언론에서 우간다 김복동센터 건립을 전혀 몰랐다고 주장하며 정의연 실무자가 전화통화로 상황을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현지 추진단체였던 골든위민비전의 아찬 실비아 인터뷰만을 인용하여 사실과 다른 보도를 했습니다.
해당 기사에 인터뷰이로 소개된 우간다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의 아찬 실비아씨(내전 성폭력 생존자)는 2019년 11월, 정의연 현지방문 당시 정부 관료들과의 면담과정에서 자신의 증언을 부정당하고, 욕설에 가까운 언어폭력을 당했으며, 신변의 안전까지 위협받았습니다.
정의연이 출장을 마치고 귀국한 당일에도 신원을 알 수 없는 사람으로부터 협박을 받아 모든 사업의 중단을 요청하는 연락을 주어 정의연은 상호간의 합의로 사업을 중단하고 사업목적과 계획을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피해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의연으로서는 마땅한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이러한 사항은 정의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증빙자료를 모두 보관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또한 5월 20일 아래와 같은 경과를 설명한 자료를 배포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로부터 신변위협을 받아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고통 받고 있는 내전 성폭력 생존자의 인권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의연 활동을 매도할 목적으로 생존자에게 접근하고, 그의 말을 부당하게 이용하는 보도를 중단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최초 보도했던 언론사는 허위기사를 삭제해 주시고,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 우간다 관련 활동은 http://womenandwar.net/kr/우간다-활동-모음/ 참고바람.
- 정의연은 2018년부터 우간다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아찬실비아 사무국장)를 포함하여 3개 단체에 분기별로 500달러 지원을 했습니다.
- 정의연은 2019년 지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2018년 말 각 단체로부터 차기년도 사업계획을 받았습니다.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이하 골든위민비전)》는 1억 7,500여만원 예산의 내전 성폭력 생존자와 자녀들을 위한 쉼터 건립계획을 보내옵니다.
- 정의연은 우간다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2월 20일부터 26일까지 활동가 2인이 현지방문을 진행하고 생존자들에 대한 개별인터뷰를 진행합니다.
- 출장이후 정의연 운영위원회에 출장결과를 보고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국제NGO들의 도움이 거의 없고 정부차원의 지원이 전무한 상황을 파악하였고 그에 따라 2019년 4월부터 지원액을 상향(월 500달러 x 3개 단체)합니다.
- 2019년 6월 19일 세계 전시성폭력 추방의 날을 맞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와 무력분쟁 중 성폭력 문제를 알리는 등의 취지로 우간다 3개 단체 대표들과 콩고민주공화국 지원단체 1개의 활동가, 유엔 前 여성폭력특별보고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우간다 내전 생존자 사진전을 포함하여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모두가 참석한 자리에서 우간다 내전 성폭력 생존자들을 위한 쉼터인 ‘김복동센터’ 추진을 선언합니다.
- 2019년 7월 공문을 통해 ‘김복동센터’ 부지마련에 대한 요청이 왔고 매입절차 등을 상호확인합니다. 그리고 우간다 《골든위민비전》 측으로부터 부지가 마련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7월 12일 부지매입비로 약 1,200만원을 송금하고 계약서 영수증도 받았습니다.
- 다만 부지매입과정에서 애초 상호 이야기했던 예산을 초과하는 비용이 발생했다는 연락을 받았으나 이메일 통해 상호 협의하여 그 금액은 부담 가능하다고 확인되어 《골든위민비전》에서 부담하였습니다.
- 그 이후 김복동센터 기금계좌로 모금을 진행하였습니다.
- 9월 경 《골든위민비전》에서 우간다 정부에 보고하는 문서에는 우간다 전쟁 생존자 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김복동기념공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관련 공간은 일단 빼고 자료실로 용도를 변경하여 제출하되 상호간에는 김복동센터로 인지하는 내용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할 것을 요청합니다.
- 이에 전쟁 성폭력 생존자 지원활동이 중요하기에 우간다 현지 단체의 판단을 존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11월 뉴스타파와 함께 관련 다큐 제작을 목적 생존자 인터뷰등을 진행하기 위해 실무자 2인이 먼저 우간다로 출발하고 이후 윤 전 대표, 사무총장, 건축자문을 맡은 에이텍 김희옥 소장 등이 결합합니다.
- 현지에서 우간다 아촐리 부족장 사무실의 사무국장과 면담을 진행했고 이 자리에서 사무국장은 자신들의 문화를 존중해주는 지원은 언제든지 환영이라는 이야기를 나눕니다.
- 11월 25일 김복동 할머니 얼굴이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생존자들과 함께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7월 매입한 부지를 둘러보게 됩니다. 부지소개 영상을 촬영하여 올렸고 기부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김복동센터라는 자막을 넣었습니다.
- 부지를 둘러보던 찰나 아찬실비아 대표는 시장으로부터 협박전화를 받고 긴급하게 정부관계자들과 면담을 진행하게 됩니다.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관계자들은 정의연과 아찬실비아를 포함한 《골든위민비전》 활동가들이 동석한 자리에서 2019년 6월 정의연 국제심포지엄 내용을 취재해 영역해서 나간 언론보도를 토대로 ‘7월에 일본 영사관 직원을 만났고 정의연이 우간다에서 뭔가 한다고 들었다’라고 말하며 ‘한일외교분쟁을 우간다로 가져오지 마라,’ ‘김복동기념 안 된다,’ ‘일본이라는 용어 들어간 사업 할 수 없다,’ ‘파트너단체를 잘못 골랐다’고 이야기하며 아찬 실비아의 증언을 공격하며 인권을 침해했습니다.
- 정부관계자 면담 후 정의연과 《골든위민비전》은 회의를 진행했고 정의연이 사업진행가능여부를 《골든위민비전》에 확인했습니다. 《골든위민비전》은 이 모든 것은 정치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업은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다는 입장을 피력합니다.
- 11월 25일 저녁 정의연은 나비기금으로 《골든위민비전》과 《웬드아프리카》 두 단체에 장학기금을 전달합니다.
- 11월 26일 《골든위민비전》에서 정부관계자와 간담회를 진행하고 추가 회의를 진행합니다. 한국에서는 김복동센터로 모금사업을 진행하고 우간다 현지 센터의 명칭은 전쟁생존자 지원센터로 하는 것을 합의하고 건축과 관련된 사항들을 현지 공사업자와 논의합니다.
- 11월 27일 한국으로 출발했고 한국에 도착한 저녁 날 아찬 실비아는 신원을 알 수 없는 정부관계자로부터 추가 협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간다에서 아무것도 하지 말아 달라고 정의연에 연락합니다.
- 이에 정의연은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우간다 김복동센터 건립 중단을 결정하고 우간다 현지 3개 단체가 공동으로 부지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현지단체들끼리 협의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 이에 대해 《골든위민비전》은 12월 4일 공문을 통해 3개 단체가 공동으로 부지를 운영.관리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어 《골든위민비전》이 독자적으로 운영·관리할 것이며 2021년~23년 3개년에 걸쳐 부지비용을 반환할 의사를 전해옵니다.
- 이에 정의연은 《골든위민비전》에 부지를 기부하는 대신 월 정기지원은 2020년부터 중단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하였고 《골든위민비전》도 이에 동의합니다.
- 정의연은 이런 상황에서 2020년 1월 말 수요시위를 통해 사업목적을 변경하여 김복동센터를 미국 워싱턴 지역으로 이전하여 추진할 것을 밝힙니다.
- 《골든위민비전》은 월 정기지원 중단이후 지속적으로 이메일을 통해 지원재개를 요청합니다. 이에 정의연 운영위원회는 전 세계적 코로나 사태 등으로 건강과 생존이 위협받는 현지인들의 사정을 고려해, 6개월 한시적으로 월 500달러 지원을 결정하였고 2020년 4월부터 한시적 지원을 재개합니다.
- 김복동센터 기금은 5월 11일 배포된 자료에 기재되었던 목적기금을 모두 적립되어 있음을 밝힙니다.
4. 2014년 유럽캠페인 친북교육 관련
2014년 6월 19일~28일 프랑스 파리(윤미향 前 대표, 길원옥 할머니, 실무자 1인)에서 캠페인을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친북교육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밝히며 허위기사를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6월 21일 끌레흐 알비 영화음악/다큐 감독 할머니 인터뷰
6월 22일 빠리침례교회 길원옥 할머니 증언대회, 1억인 서명/거리캠페인 진행
6월 23일 일드 프랑스 부의장 오찬면담, 프랑스 출판사 면담, 소르본대 강연회
6월 24일 프랑스 상원 여성권위원회 대표 및 의원단 조찬간담회, 국회의원교육기관 CIDEFE 방문 간담회, 나비의 꿈 유럽평화기행 참가자 간담회
6월 25일 1132차 수요시위 및 유럽평화캠페인(샤이오궁), 미셸 엉드헤 프랑스 상원의원 면담, 국제민주법률가협회 회원 강연회
* 탈북종업원 관련 보도에서 주장하는 정대협 지원은 사실이 아닙니다. 관련 자세한 사항은 민변 입장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minbyun.or.kr/?p=45395
-------------------
5.21_입장문_검찰 압수수색에 대해
정의기억연대는 2020년 5월 20일 오후부터 21일 이른 아침까지 12시간 넘게 진행된 검찰의 전격적 압수수색에 성실히 협조하였습니다. 회계 검증과정 절차를 기다리지 않고 이례적으로 진행된 압수수색에 성실히 협조한 것은 공정한 수사와 신속한 의혹 해소를 기대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변호인들은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께서 생활하시는 마포 쉼터에 있는 자료에 대해 임의제출하기로 검찰과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는 할머니의 명예와 존엄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수사과정에서 할머니들의 명예를 보호해 달라고 다시 한 번 간곡히 부탁드린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변호인들과 활동가들이 미처 대응할 수 없는 오전 시간에 길원옥 할머니께서 계시는 쉼터에 영장을 집행하러 온 검찰의 행위는 일본군’위안부’ 운동과 피해자들에 대한 심각한 모독이며 인권침해 행위입니다.
검찰의 이 같은 반인권적 과잉 수사를 규탄하며 이후 수사과정에서 오늘과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히 요구합니다.
[추가 질의에 대한 설명]
1. 외부 회계감사 등 관련
한국공인회계사회를 통한 외부감사절차를 추진 중에 있었으나 검찰의 어제(5.20)와 오늘(5.21) 무리하게 진행된 검찰의 압수 수색으로 ≪한국공인회계사회≫로부터 ‘수사기관의 수사, 형사소송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업무 수행이 곤란하여 추천이 안 된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회계 관련 증빙자료가 없는 상황이기에 현재 상황에서는 감사의뢰 자체가 불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또한 공시나 회계 등 관련 사항에 대한 언론의 질의는 회계자료들이 압수되었고 검찰 수사 중인 상황이므로 답변이 불가함을 안내드립니다.
2.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언론접촉 관련
최근 피해자 할머니들과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언론의 접촉이 빈번한 상황임이 확인되었습니다. 고령의 피해자들의 건강상황 등을 고려하여 피해자 할머니들과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취재를 자제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020년 5월 2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9_입장문_중앙일보 김준희 기자 [단독] ‘아미’가 기부한 패딩... 이용수.곽00 할머니 못 받았다 거짓보도
정의연은 지난 5월 11일 기자회견 이후 연일 쏟아지는 언론의 문제제기에 대해 설명 자료 배포를 통해 성실히 응대하기 위해 노력을 다했습니다.
하지만 중앙일보 김준희 기자는 해당 의혹에 대해 곽00 할머니의 양딸 이000씨의 통화를 근거로 사실관계 확인도 없이 기자윤리에 어긋나는 보도행태를 보였습니다.
해당 기사에 대해 사과와 함께 삭제하지 않으면 법적으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정의연은 2018년 12월 21일 조카 000씨와 간병인이 같이 있는 상황에서 곽00 할머니께 방탄소년단에 대한 설명과 함께 패딩을 전달해드렸습니다. 당일 전달과정은 내부 공유를 위해 촬영한 동영상에 담겨있습니다.
이용수 할머니께는 방문 전달이 어려워 2018년 12월 27일 택배 발송하였습니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중 병상에 누워계신 생존자를 제외한 피해자 16명에게 직접 또는 택배 발송을 하였음을 밝힙니다.
2020년 5월 19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9_입장문_안성 힐링센터 중간평가 / 김복동센터 / 미국 활동 지원 / 임대사무실 / 사업비 지출 / 마포 쉼터 이전 / 인건비 지급 / 김동희 계좌 운영 / 왜곡 보도
언론에서 공시 및 회계 관련 부분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설명자료와 5월 13일 수요시위에서 밝힌 것처럼 외부회계감사를 받기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니 감사결과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일부 언론에서 질문주신 “이사와 출연기업과의 관계 없음” 부분은 공시 기재 실수임을 회계사를 통해 확인하였고 위의 감사 결과에 따른 재공시 과정에서 수정반영하겠습니다.
안성 힐링센터 매각과 관련하여 “계약일자는 4월 23일이지만 주요 일간지에 보도된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일은 5월 7일 이었음에도 마치 기자회견 다음날 계약을 한 것으로 보도하는 등” 언론의 의혹을 부풀리는 방식의 보도에 대해 유감을 표명합니다.
1. 안성 힐링센터 중간평가결과 관련
어제 설명 자료를 준비하는 과정 중 언론에서 주로 추진과 매입과정에 대한 질문을 주었기에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을 담았습니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중간평가 관련 보도가 나오고 있어 우선 중간평가 결과 회계 처리 부분의 미숙했던 점에 사과드리며 관련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주요 경과> * 이전 경과에 대해서는 5월 18일 설명자료 참조
- 2013. 8.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기탁사업 배부신청서 제출”
- 2013. 9. 5.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전체 사업비 입금
- 2013. 10. 16. 계약완료, 소유권 이전
- 2013. 11. 25. 안성 힐링센터 개소식 개최 (할머니들, 현대중공업, 모금회, 동네주민 등 참석)
- 2014.~ 힐링센터 프로그램 사업 진행
- 2015. 7. 24. 중간결과보고서 제출 : 고령인 상황에서 이동 등 진행상 어려움으로 인해 2015. 6.까지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이후 관련 프로그램은 마포 쉼터에서 진행하고 있음을 중간결과보고서에 포함
- 2015. 9.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현장점검 및 중간평가 안성 힐링센터에서 개최, 관련 사업 진행이 원활히 되지 못하니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정대협에 요청
- 2015. 9. 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운영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진행사업 중지 정대협에 전달
- 2015. 10. 23. 정대협 실행위원회에서 힐링센터 관련 상황 논의를 진행하고 힐링센터 매매 등에 대한 토론
- 2015. 12. 3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문(지정배분-2015-10974) 통해 평가결과(사업:C, 회계:F)를 정대협에 통보하고 사업비 잔액 반납 요청함
- 2016. 1. 7. 정대협 이사회 논의를 통해 힐링센터 사업비 잔액 반납 결의
- 2016. 1. 8. 안성 힐링센터 사업지원금 집행잔액 반납
(집행잔액 : 120,392,850원. 이자 : 320,811원 총 120,713,661원)
※ 위의 상황에 대해 정대협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을 수신인으로 하여 “2012 현대중공업 지정기탁사업에 관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입장” 공문(정대협 2016-43, 2016. 10. 31.) 전달
- 이후 관련 매각 추진을 위한 노력을 진행하였고, 2020년 4월 23일 매매계약 추진에 이름
2. 김복동센터 추진 관련
- 정의연(정대협)은 2012년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 기자회견을 통해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 등의 뜻에 따라 설립된 ‘나비기금’ 사업으로 콩고민주공화국, 베트남, 우간다의 전쟁/분쟁 중 성폭력 생존자들을 정기적으로 지원하고, 그 외 지역의 생존자들을 일시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18년부터 정기지원을 시작한 우간다의 경우 1986년부터 2008년 무렵 내전이 종료되었으나 LRA 반군으로부터 성노예 피해를 겪은 피해자들이 많은 상황에서 내전 후반부에 지원활동을 벌였던 국제NGO들이 철수하였고, 내부 정치적 상황 등으로 인해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이 전무한 상황임을 2019년 2월 현지방문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 정의연은 열악한 상황에 쳐해 있는 우간다의 내전 성폭력 생존자를 위한 생존자를 위한 우간다 현지 쉼터 건립을 포함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운영위원회를 통해 논의하여 한편,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과 전시성폭력 재발방지를 위한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바, 유엔이 세계전시성폭력 추방의 날(2015년 채택)인 6월 19일에 맞춰 세계교사워크숍과 생존자들의 증언을 듣는 국제심포지엄을 2019년 6월 개최합니다.
- 우간다 현지에 우간다 내전 생존자 지원을 위한 우간다 쉼터 ‘김복동센터’ 건립을 6월 행사에서 공표하고 이용수 할머니께서도 함께 하시겠다는 의지를 밝힙니다.
- 우간다 김복동센터 건립을 위한 모금계좌를 공개하고 모금활동을 진행하는 한편 워낙 우간다 현지 파트너단체인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와 함께 협의하여 우선 건립을 위한 부지를 마련합니다. 부지는 10에이커 규모이며 매입비는 약 1,200만원이었습니다.
- 구체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2019년 11월 정의연은 현장방문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우간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면담과정에서 ‘일본’이라는 단어와 ‘김복동’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을 문제삼으며 쉼터건립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 등을 문제삼고 내전 성폭력 생존자이자 현지 단체의 대표의 피해사실 증언에 대한 신빙성을 제기하면서 신변에 위협을 가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 정부 면담 후 우간다 현지 단체 대표의 건강상황이 악화되고 현지 활동가들의 신변에 대한 위협이 계속됨에 따라 우간다 현지 단체의 요청에 따라 정의연은 논의를 통해 우간다 쉼터 ‘김복동센터’건립 사업 중단을 결정하고, 2019년 12월 운영위원회를 통해 상황을 보고하고 ‘김복동센터’를 우간다에서 미국 워싱턴 지역으로 변경하는 계획안을 논의합니다.
- 2020년 1월 운영위원회를 통해 우간다 매입 부지를 현지단체에 기부하는 것을 결정합니다.
- 2020년 1월 29일 1,424차 수요시위를 통해 정의연을 포함한 주요 추진단체들과 함께 미국 워싱턴 지역에 ‘김복동센터’ 건립을 공표합니다.
- 이후 센터 건립을 위해 미국 현지의 연대단체들과 논의를 통해 건립부지를 물색하고, 미국 김복동센터 운영을 위해 미국 현지에서 비영리법인(1023-EZ 2020. 2. 25.)을 설립하는 등 사업추진을 준비하였습니다.
- 2020년 2월 사업추진을 위해 미국 현지 방문을 추진하던 중 국내와 미국의 코로나 19 발생상황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부지물색 등은 중단되었고, 애초 계획했던 2020년 11월 25일 개소식은 무기한 연기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 김복동센터 건립목적으로 모아진 기부금 43,818,344원(2019년 결산기준)은 목적기금 <김복동센터기금>으로 적립되어 있습니다.
3. 피해자 할머니 미국 활동 지원 관련
- 언론에서 윤 前 대표 개인모금으로 피해자 해외 활동 모금을 진행했다고 보도된 건은 2014년 길원옥 할머니 유럽캠페인입니다. 유럽캠페인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서 공모한 프로젝트로 진행하였는데, 항고권 구입이 이코노미석 기준으로 책정되었기 때문에 항공료 등 추가적인 활동비가 필요하여 개인 모금을 하였습니다. 모금한 돈은 관련 사업비로 충당하였으며, 개인 모금 관련 부분은 이후 윤 前 대표 측에서 설명할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 또한 일부 언론에서 미국 캠페인 진행당시 미국 현지단체가 모금하여 비용을 충당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나 길원옥 할머니를 모시고 간 미국 캠페인에서는 정대협의 비용부담을 원칙으로 진행했습니다.
- 피해자들의 해외 캠페인 활동과 여러 인권회복 활동과정에서 소홀함이 있었다면 더욱 성찰하고 후원자들의 소중한 기부금이 목적에 맞게 집행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4. 정의연 임대사무실 전대차 계약 관련
- 2015년 1월 경 사업비기금으로 정대협은 전세로 현재의 정의연 사무실 공간으로 이전하고, 2015년 12월 28일 한일합의 발표 후 한국정부는 재단설립추진을 발표합니다. 정대협은 2016년 1월 실행이사회를 통해 2015한일합의 무효화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재단설립을 결의합니다.
- 2016년 1월 정의기억재단 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2016년 6월 9일 ‘정의기억재단’ 설립을 선포합니다. 2016년 10월 1일부터 별도의 사무처를 두고 ‘정의기억재단’운영을 시작하게 되면서 정대협의 사무실 공간을 분할하여 정의기억재단에 무상임대로 사무실공간을 제공합니다.
- 정의연의 주요사업 중 교육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방문교육을 위한 공간이 문제가 되어 현재 사무실 공간 바로 옆에 공실이 나와 정대협 사업비 기금으로 2018년 6월 추가 전세계약을 체결하게 되었습니다.
- 이 과정에서 전세권 설정기간이 만료된 현재 정의연 사무실(2015. 1. 정대협 전세계약)의 전세권과 2018년 6월 계약한 교육관에 대한 전세권 설정을 동시에 진행하게 됩니다.
5. 대표지급처 기재 사업비 지출 관련
- 5월 12일 설명 자료부터 반복적으로 질문이 들어와 다시 설명드립니다.
- 공시에 기재된 지급처는 수많은 지급처 중 한곳을 정해 대표지급처 한 곳만을 기재도록 되어있고 지출총액 역시 수많은 지급처에 제공된 사업비 총액이 기재되어 있는 것입니다.
- 설명자료에 충분히 소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언론에서 대표 지급처로 기재되어있는 개별업체 또는 단체에 연락을 취하고 있어 해당 업체 또는 단체의 활동에 피해를 주고 있는 상황임이 확인됩니다. 관련한 취재와 보도는 자제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6. 윤 前 대표 마포 쉼터 주소지 이전 관련
- 윤 前 대표 주소지 이전에 대해서는 5월 18일 설명자료에서 상세히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관련하여 별도 문의가 많아 다시 한 번 설명드립니다.
- 설명처럼 마포 쉼터는 ‘시설’이 아니라 피해자들의 ‘생활공동체’로 운영되었던 일반거주지입니다. 하여 시설장이나 동장 등이 사망신고를 할 수 있는 기관이 아닙니다.
- 이런 이유로 부득이하게 국민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쉼터 소장은 주소이전이 불가하여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2017년 4월 이순덕 할머니 별세 이후 이전을 진행하게 된 것입니다.
-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지만, 일부 언론에서 나오는 ‘위장전입’과 같은 개념으로 접근하여 말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7. 윤 前 대표 인건비 지급 관련
윤 前 대표는 정대협의 상임대표로 활동하다가 2017년 2월부터 정의기억재단의 상임이사로 활동하였습니다. 정의기억재단은 2017년 2월부터 정대협과의 통합선언을 하기 이전인 2018. 6. 까지, 윤 전 대표가 정대협 상임대표로 지급받은 월 급여액을 정대협과 일정 비율로 나누어 공동으로 부담하였고, 2018. 7. 이후에는 정의연(정의기억재단)만 부담하였습니다.
8. 정의기억재단 출범당시 김동희 당시 정대협 처장명의 계좌 운영 관련
- 2016년 1월 정대협 실행이사회 논의를 통해 정부가 추진한 재단 설립에 대응하기 위해 ‘정의기억재단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설립하고, 모급을 신속하게 진행하고자 김동희 당시 사무처장이 2016년 1월 15일 ‘김동희(정의기억재단)’ 명의의 예금계좌를 개설했습니다.
고유번호증 발급을 위한 절차도 별도로 진행하여 2016년 1월 22일 고유번호증을 발급받고 2016년 1월 26일 ‘일본군위안부정의와기억재단설립추진위원회’ 명의의 계좌를 개설했습니다.
- 설립추진위원회는 2016년 6월 12일까지 이미 공지된 김동희(정의기억재단) 명의의 계좌와 설립추진위원회 계좌로 모금을 진행하다가, 2016년 7월 13일 ‘김동희(정의기억재단)’ 계좌에 입금된 모금 총액 87,887,675원(2016년 1월 15일부터 7월 13일까지)을 2016년 7월 13일 위 설립추진위원회 계좌로 이전해서 통합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 2015한일합의 발표 이후 급박하게 대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세심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사과드립니다.
9. 정의연 현 상황에 대한 제 단체들의 연대 성명발표에 대한 왜곡 보도 관련
- 정의연, 정대협의 운동은 어느 한 개인 또는 사무처에 속한 활동가들이 만들어 온 운동이 아닙니다. 1990년 정대협 결성이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해 진행되어 온 운동의 과정은 김학순 할머니의 첫 증언 이후 이에 응답하는 국내외 시민들 그리고 시민단체들의 연대와 참여로 이어져 왔습니다.
-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모르는 혹은 외면하는 일부 언론에서 5월 11일부터 발표된 174개 단체 31개 성명에 대하여 ‘알고 보니 정의연 이사회 단체들’이라고 보도하며 30년 간 이어져 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운동의 역사를 지키고자 마음을 보낸 한국사회의 많은 시민사회단체의 연대 활동을 왜곡하여 많은 분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고 있습니다.
- 이러한 보도행태를 중단하여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
5.18_입장문_마포 쉼터•안성 힐링센터 시기중첩 / 안성 힐링센터 운영비•기부금 / 평화의우리집 관련 / 2019 홍보•국제연대 지출 / 2018 무퀘게
1. 마포 쉼터와 안성 힐링센터 시기중첩 등 관련
-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생활공동체로서 정대협은 2003년부터 서대문에 전세로 쉼터 <우리집>을 운영하였으나, 환경이 매우 열악하였고 재개발 등의 이유로 안정적인 쉼터 공간 마련이 필요했습니다.
- 2011년 김복동 할머니가 정몽준 전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도 박물관 옆에 집을 마련해서 아이들도 만나고 또 교육도 하고 우리도 쉬는 그런 곳을 만들면 좋겠다”고 서대문 쉼터 이전을 위한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 정몽준 전 의원측에 요청한 사항의 진행이 지체되면서 안정적인 쉼터 공간 마련이 급박한 상황에서 명성교회에 지원요청을 했고, 2012년 1월 1일 신년예배 시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는 지원을 공표합니다.
- 2012년 1월 말 명성교회에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며 쉼터 공간 물색을 진행하게 되었고 3월 명성교회측이 현재 마포 쉼터에 대한 계약을 진행하고 10월 22일 서대문에서 마포 쉼터로 이사를 진행하고, 비공개 쉼터로 피해자들의 공동거주공간으로서 기능을 하게 됩니다.
- 한편 현대중공업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한 기부절차를 계속 진행하였는데, 정대협은 마포에 쉼터가 마련되었지만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사업을 꼭 추진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주었습니다. 이에 정대협은 사업목적을 5월 17일 설명자료에 포함된 내용처럼 피해자들의 치유와 쉼, 네트워크 등으로 변경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기부 받게 됩니다.
- 박물관 건립과 함께 피해자들의 치유와 함께 박물관 연계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한 별도의 힐링센터 공간마련에 대한 논의가 정대협에서 진행되었던 상황이었기에 애초 염두에 두었던 박물관 인근에 위치한 공간을 매입하고자 했습니다.
- 하지만 10억원으로는 박물관 인근은 물론 서울시내에서 마땅한 공간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러한 상황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설명하였습니다.
- 이에 5월 17일 설명자료와 같은 사업목적과 부지기준을 선정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협의 후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건물을 매입하였고, 이후 상황에 대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보고하고 현재 매각절차를 진행중에 있는 것입니다.
2. 안성 힐링센터 2014년~2019년 운영비 지출 관련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직접 활동가들이 관리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정대협 당시 운영위원회 논의를 통해 윤 前 대표 부친이 관리를 맡게 된 것입니다.
운영비 사용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건비 7,742만7,470원, 관리비(전기세 수도세 재산세 등) 1,560만9,980원
3. 안성 힐링센터 기부금 관련
현재 정대협 공시에 근거하여 안성 힐링센터에 대한 후원금이 있었는가를 묻는 언론들이 있습니다. 안성 힐링센터에 대한 기부금은 없었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연대단체 대여에 따른 사용료 수입이 전부이며, 횟수도 연 5회~7회로 많지 않았습니다.
앞서 여러 차례 밝힌 것처럼 정의연(정대협)은 회계처리 오류, 공시 오류 등이 발생한 점에 대해 인정하였고, 이 부분에 대해선 외부회계감사 진행 이후 재공시 절차를 통해 바로잡도록 하겠습니다.
4. 마포 쉼터 ‘평화의우리집’ 운영 관련
비공개 시설로 할머니들의 생활공동체로 만들어진 마포 쉼터는 명성교회로부터 거주하는 할머니들 사망시까지 무상임대로 지원받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나눔의 집과 같은 노인보호요양시설이 아니라 해당 쉼터는 생활공동체로서 일반 주거지입니다.
현재 ‘평화의우리집’에는 길원옥 할머니 1분께서 거주하고 계십니다.
소장과 요양보호사 3인(주중1인, 저녁1인, 주말1인)이 24시간 돌봄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5. 윤미향 前 대표 마포 쉼터 ‘평화의우리집’ 주소지 이전 관련
2017년 4월 이순덕 할머니 사망 이후 《고인과 동거하고 있는 친족이거나 사망 장소를 관리하는 사람 등》이 사망신고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주민등록상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 두 분만의 주소가 쉼터로 되어 있어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여 주소지 이전에 대해 논의했고, 쉼터 소장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로서 주소를 이전할 수 없는 이유로 윤 前 대표가 주소를 이전하게 되었습니다.
6. 정의연 2019년 12월 홍보사업, 국제연대사업 외 215건 5,294만7,509원 지출 관련
5월 12일 정의연 설명 자료에 말씀드렸던 것처럼 12월 홍보사업, 국제연대사업 외의 지급처로 기재된 업체는 <대표지급처>로 기재된 곳이며, 해당 지출은 아래의 영상제작을 포함하여 기지촌여성인권연대 활동, 미주지역 캠페인사업 등 총215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9년 하반기 ‘반일종족주의’ 출간 이후 유튜브와 온라인 상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에 대한 역사왜곡이 확대 재생산 되는 상황에서 대응의 시급성이 있어 8편의 영상 기획, 제작을 진행하여 게시하였고, 총 지급비용은 650만원입니다.
7. 정의연 2018년 결산공시 무퀘게 재단 지급 관련
5월 12일 설명자료에 말씀드린 것과 같이 무퀘게재단이 <대표지급처>로 기재된 것으로 유엔 대응활동과 국내외 연대활동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사업에 지출된 총액입니다. 이미 5월 12일 대표지급처 부분에 대해 설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언론에서 대표지급처인 무퀘게 재단에 모든 지출 총액이 지급된 것처럼 보도되고 있는 점에 유감을 표명합니다.
2020년 5월 1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8_입장문_경기도 안성 힐링센터 부지 3곳
어제 5.17 경기도 안성 힐링센터 매입 등 관련 정의연 설명자료에 나온 최종 선정부지 3곳(강화도 1곳,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1곳,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1곳)에 대한 부지정보에 대한 문의가 많아 부지정보를 공개합니다. 해당 정보는 2013년 6월 정대협 긴급 실행이사회에 보고된 자료이며, 공인중개사를 통해 제공받은 자료임을 알립니다.
언론요청에 성실히 응하기 위해 제공되는 자료입니다. 사유지임을 감안하여 해당 부지 소유자에 대한 추가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시길 당부 드립니다.
추가 설명 자료는 금일 5시경 배포될 예정입니다.
<당시 제공받은 3곳의 정보>
1. 강화도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선두리 404
- 면적
대지면적 1,010㎡(305.525평)/ 연면적 189.85㎡(57.4평)
- 건축물 현황 : 면적 149.01㎡(45.10평) - 목조건물
지상1층 - 145.13㎡(43.9평) / 지상2층 - 44.72㎡(13.5평)
- 지역 : 관리지역
- 매매가 : 7억 (공시지가 105,000원)
- 허가일자 09년8월 28일 / 착공일자 09년 10월 10일 / 사용승인일자 08년 11월 21일
- 교통상황 : 박물관에서 1시간 20분 소요, 강화도 초지대교에서 10분 거리
- 부지 정보 : 동네 주택가, 마당조경이 잘 꾸며져 있어, 부지는 넓으나 조경이 되어 있어, 이외 다른 건물의 증축은 어려워 보임. 내부인테리어는 최고급을 사용하였으나 1층 방이 1개이며, 2층은 작은 방이 3개 있으나 많이 협소함.
2.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 133-12외 8필지
- 면적 : 총 4,535㎡(1,371평)
주택(714평) : 대지 1,727㎡(522평) 133-12번지 / 임야 633㎡(191평) 133-13번지
토지(508.5평) : 임야 1,541㎡(466평), 140㎡(42평)
도로(149.4평) : 도로 8㎡(2.4평), 100㎡(30평), 102㎡(30.8평), 115㎡(34.7평), 169㎡(51.1평)
- 건축물 현황 : 면적 209.11㎡(평) - 목조건물
지상1층 - 170.51㎡(51평) / 부속건물(보일러실) - 33.6㎡(10평)
- 지역 : 자연녹지지역
- 매매가 : 9억 (원 금액 10억, 부동산 조정)
공시지가 58,500원(대지), 12,300원(임야), 29,700원(도로)
- 허가일자 06년8월 25일 / 착공일자 09년 9월 3일 / 사용승인일자 12년 8월 07일
- 교통상황 : 박물관에서 1시간 30분 소요, 일죽IC에서 5분 거리
- 부지 정보 : 주택이 산으로 올라가는 도로 끝지점에 있음. 뒤편에는 작은 야산이 있으며, 야산 절반까지가 주택의 소유임. 주택이 1층이며, 각 방별로 붙박이장이 있음. 주택 아래 밭은 건축이 가능한 대지가 있음.
3.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441-3
- 면적
대지면적 800㎡(242평)/ 연면적 195.98㎡(59.3평)
- 건축물 현황 : 면적 159.78㎡(48평) - 스틸 하우스 구조,
지상1층 - 156.03㎡(47.03평) / 지상2층 - 39.95㎡(12평)
- 지역 : 보전관리지역
- 매매가 : 7억5천 (공시지가 55,600원)
- 허가일자 10년8월 27일 / 착공일자 10년 09월 03일 / 사용승인일자 11년 07월 22일
- 교통상황 : 박물관에서 2시간 소요
- 부지 정보 : 부지 내 냇가가 있으며, 이는 토지에는 포함되지 않는 국유지임. 외부 경치는 3곳 중에 가장 나음. 안성시내 스틸하우스 제작업자가 자가주택으로 건축하였으나, 사업상의 어려움으로 매매함. 매매를 목적으로 현재까지 내부 바닥공사 및 화장실 공사, 보일러 등은 진행하지 않았고 매매자의 맞춤으로 진행이 가능함. 도보 5분 거리에 안성까지 운행하는 버스정류장이 있고 등산객들을 위한 편의점이 있음.
2020년 5월 1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7_입장문_경기도 안성 힐링센터 매입 등 관련
1. 왜 서울에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안성에 힐링센터를 매입했나
- 정대협은 건물매입을 위해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인근의 주택을 알아보았으나, 10억 예산(2012.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부지 주택 매입가 15억)으로 구입할 수 없었고, 박물관 인근의 건물주 역시 건물 매도에 대한 의사가 없었음을 확인했습니다.
- 해당 상황은 정대협 긴급 실행이사회(2013. 4. 26.)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보고되었습니다. 모금회는 사업이 서울지역에만 국한하지 않으며 계속 진행되기를 희망하였습니다. 이에 실행이사회에서는 (피해자 할머니들의 피해후유증을 치유하고 공동체 프로그램을 통해 외로움과 고립감을 서로 나눔으로써 극복, 피해자들과 젊은세대, 국내외 활동가들의 만남/연대의 장을 제공하여 세대를 넘나드는 네트워크 형성 등의 사용목적을 갖고) 다음과 같이 의결하였습니다.
<부지선정 기준>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지대금이 10억으로 책정되어 있는 관계로 부지 내 건물은 수리를 하지 않고도 들어갈 수 있는 만큼의 허가받은 지 얼마 안 되는 건물 중심으로 서울 외 지역 포함 진행
2) 대지는 300평 이상으로, 건축물은 40평이상
3) 단체 20 여명 정도가 숙박할 수 있는 건물
- 이후 정대협은 이 기준에 따라 부지선정을 위해 강화도 8곳, 경기도 용인 4곳, 경기도 안성 5곳을 부동산 관계자들과 답사를 진행했고, 2013. 6. 11. 다시 실행 이사회를 개최하여 답사한 부지 중 최종 선정된 3곳(강화도 1곳,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1곳,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1곳)에 대해 보고하였고, 최종적으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주택>을 후보지로 선정했습니다.
- 이에 대해 정대협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기부처인 현대중공업에 이와 관련한 내용을 송부했습니다.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주택 선정이유
① 접근성 : 힐링센터 후보지는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자연친화적인 공간이면서도 버스정류장과 도보로 5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용이함
② 공간성 : 대지면적 242평, 건축연면적 80평으로 여타 지역의 주택보다는 큰 평수로써 20여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임
③ 효율성(에너지절감) : 2011년 사용승인을 받은 후보지는 스틸하우스로 건축되어 자연친화적이며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는 공법을 사용한 관계로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음
④ 친환경성 : 친환경적 소재를 사용하여 시공함
⑤ 공간활용성 : 사용허가는 받았으나 실제 거주하지 않고 있어 힐링센터에 맞게 내부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용이함
2. 현지 시세보다 비싸게 매입했나
힐링센터 세부정보
· 대지면적 : 800㎡(242평) + 도로점용부분 약 40평
· 건물규모 : 지상2층, 외부창고
· 건축물 대상 건축연면적 : 195.98㎡(59.3평)
· 실건축 연면적 : 본동 264.25㎡(80평) + 외부창고 23.14㎡(7평)

면적(㎡/평)
공간 구조
1층
185.08㎡/56.08평
현관입구2개, 거실, 방 3개, 주방, 다용도실, 화장실 3개,
보일러실, 창고
2층
79.17㎡/23.68평
방3개, 화장실1개
· 건폐율 : 19.97% / 용적율 : 24.5%
· 건축구조 : 스틸스터드 프레임 하우스
· 외부마감 : 치장벽돌(수퍼샤론스톤)
· 지붕마감 : 금속기와
· 지붕재 : OSB 합판지붕
· 시공 : 금호스틸하우스
· 허가일자 2010. 8. 27, 착공일자 2010. 9. 3, 사용승인일자 2011. 7. 22
· 원 건물주 제공 자료 “건축비 3.3㎡(1평당) 600만원”
최종적으로 매매가 7억 5천만원으로 매입함.
※ 최종 3곳의 후보지 답사를 통해 유사한 조건의 건축물의 매매시세가 7~9억임을 확인하여 실행 이사회에 보고함.
3. 압류 상황 관련
· 2013. 6. 11. 등기부등본상 압류에 대한 사항이 없음을 확인함
· 2013. 9. 12. 1차 계약 체결
· 2013. 10. 16. 계약완료 및 소유권이전등기 완료
제기되고 있는 압류관련 사항(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압류)은 계약체결 이전과 계약체결 당시 확인한 등기부등본상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압류등기 시점은 최종계약 완료 3일 전인 2013. 10. 8. 이었고 3일 뒤인 2013. 10. 11. 해제되었습니다.
4. 지인건물 매입 관련
원 건물주는 보도와 같이 안성신문 운영위원은 맞으며, 힐링센터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윤 前 대표 남편의 지인인 안성신문 사장에게 소개를 받은 것은 사실이나 1.의 설명과 같이 안성은 힐링센터 예정지 여러 곳 중 한 곳이었으며, 원 건물주는 2013. 6. 예정지 답사 과정 중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5. 힐링센터 구입 후 1억 상당의 인테리어 공사 관련
위 건물을 매수한 뒤 피해자의 쉼과 치유 등 목적에 따른 사업 진행을 위하여 추가 인테리어 공사와 물품 등을 구입하였으며, 건물 매입에 소요된 총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공사비(가스연결,CCTV설치,전기증설,관리목적컨테이너설치,벽난로설치) :
34,7550,00원
2) 물품구입비(냉난방기,청소기,빔프로젝트 등) : 14,361,700원
3) 소모품비(침구,주방기기,블라인드,싱크대,식기 등) : 29,377,500원
4) 주택매입비 : 750,000,000원
5) 매입세금 : 35,655,570원
6) 초기 운영비(난방비,개소식진행비 등) : 3,291,800원
---
5.16_입장문_안성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이하 힐링센터) 관련
1. 사업목적과 활용 내용, 매각 절차에 관해
2013년 8월 28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정대협이 제출한 ‘정기기탁 사업 배분신청서’에 명시된 ‘힐링 센터’ 사업목적, 매입 후 5개년 활용방안, 장기 활용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목적
1. 편안한 안식처로 느낄 수 있도록 쉼의 공간으로 제공
2.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위안부' 후유증을 치유하고, 공동체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노인으로서 갖기 쉬운 외로움, 고립감을 서로 나눔으로써 극복
3.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과 젊은 세대들의 만남, 연대의 장을 제공하여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한 '세대를 넘나드는 네트워크 형성'을 도모
❍ 5개년 활용방안

❍ 장기 활용방안
1. 교육 프로그램 운영
․평화 프로그램 - 중고생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본군‘위안부’문제까지 아우르는 평화 관련 단기(1박2일) 워크샾을 개발하고 힐링센터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치유 프로그램 - 성폭력 관련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삶과 활동을 소개하여 자긍심과 임파워먼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 해외 활동가 프로그램 운영
한국을 방문한 해외 활동가들에게 일본군‘위안부’문제, 생존자들의 활동, 한국의 여성폭력방지를 위한 활동 등 전반적인 활동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제시했듯, 힐링센터는 할머니들의 쉼과 치유라는 주 목적 이외에, 일본군‘위안부’의 문제를 알리고 인권과 평화가치 확산을 위한 미래세대의 교육과 활동지원의 공간이기도 하였습니다. 기지촌할머니와의 만남의 장, 정대협자원활동가와함께하는 모임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수요시위 참가, 증언활동 등 할머니들의 활동이 지속되고 있어 사실상 안성에 상시 거주가 어려웠습니다. 기타 사업 또한 사무처 인력으로 진행하기 어려워 목적에 따른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모금회와 협의를 통해 사업중단을 결정하고 논의를 진행해 2016년 이후부터 매각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현재 반납절차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변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의 요인으로 매각이 이루어지지 않던 중, 2020년 4월 23일에서야 매매를 위한 계약체결이 이루어지고 이를 모금회에 유선으로 보고하였습니다.
사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다만 매각과 관련,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성실하게 협의하였음을 밝힙니다.
2. 매매과정과 매입금, 매각금의 차이에 대해
힐링센터건물(신축) 매입은 당시 형성된 시세대로 구입하였습니다. 오랫동안 주변 부동산업소 등에 건물을 내놓았으나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시간이 흐르면서 건물가치의 하락과 주변 부동산 가격의 변화로 현재의 시세로 결정되었습니다. 매도계약은 현지 부동산 공인중개사를 통해 이루졌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기부금에 손실이 발생하게 된 점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3. 힐링센터 관리인에 대해
힐링센터에는 사람이 상주하지 않아 관리 소홀의 우려가 있었습니다. 건물의 일상적 관리를 위해 교회 사택 관리사 경험이 있던 윤미향 전 정대협대표의 부친께 건물관리 요청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이에 윤 전 대표의 부친은 부득이 근무하던 식품공장을 그만두고 힐링센터 뒷마당 한 켠에 마련된 작은 컨테이너 공간에 머물며 수원에 있는 본인의 집을 오가며 최근까지 성실하게 건물관리를 맡아주셨습니다. 주・야간 경비와 건물관리, 청소는 물론 시설수리, 정원관리 등을 모두 도맡아 주셨습니다.
정대협은 이러한 일을 맡아주신 윤 전대표 부친에게 관리비와 인건비 명목으로 2014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기본급과 수당을 합해 월 120만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이후 사업운영이 매우 저조해지기 시작한 2018년 7월부터 2020년 4월까지는 관리비 명목으로 월 50만원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친인척을 관리인으로 지정한 점은 사려 깊지 못했다고 생각하며 사과드립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2020년 5월 16일
---
5.16_입장문_김복동 할머니 장례식 / 정대협·정의연 법인 운영 / 류석춘 교수 고소장 / 국고보조금 2016~2018 0원 기재
1) 김복동 할머니 장례식 진행관련
조의금 수입은 2억 2,726만520원으로, 내역은 빈소방문 조의금, 계좌이체 조의금과 여성가족부 장례지원비 300만원, 서울시장례지원 100만원 등입니다.
조의금은 노제를 포함한 장례비 일체에 9,703만6,400원이 사용되었고, 김복동 할머니 49재와 김복동 유지 계승활동비로 1억650만원이 사용되었습니다.
김복동 유지 계승활동비는 장례위원회와 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11개 시민사회단체 후원금으로 2,200만원(2020년 2월 3일 기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자녀(25명)를 위한 김복동 장학금으로 5,000만원 (2020년 4월 17일 수요시위 시상식 진행) 등이 전달되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 기록집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 참조 (정의연 홈페이지 게시)
2) 정대협과 정의연 법인 운영 관련
① ‘정대협’과 2015한일합의 무효화를 위해 설립된 ‘정의기억재단(현 정의연)’은 운영목적과 활동이 중첩되어 운영되었습니다.
② 한국정부의 2015한일합의에 대한 입장표명 등 객관적인 조건이 변화되었고 중첩운영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정대협은 2018년 2월 13일 대표자회의(정기총회)에서 《정의기억재단과 조직 통합운영 안건》을 상정, 논의하였고 이를 승인하여 이후 두 차례의 임시총회와 실행이사회를 거쳐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을 확정하고 조직통합을 준비했습니다.
③ 정의기억재단은 2018년 2월 1차 이사회를 통해 조직통합운영을 승인하고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을 확정하였습니다.
④ 이후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은 3회(2018. 3. 2., 5. 1. 5. 24)에 걸쳐 통합추진위원회 회의를 진행합니다.
⑤ 정대협은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대협 해산의 행정적인 진행절차에서 나설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었고, 2018년 정대협 2차 임시총회(2018. 5. 23.)에서 ‘정대협을 행정적으로 해산하지 않는다’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⑥ 정의기억재단은 2018년 5월 24일 2차 이사회를 통해 정대협과 통합운영에 따른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로의 명칭변경 등을 포함한 정관변경을 승인하였습니다.
⑦ 2018년 7월 11일 정의기억연대 1차 이사회를 개최하고,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의 실질적인 사무처 통합운영, 조직개편과 사업계획을 의결하고 사무처를 통합운영하게 되었으며, 정대협의 운영과 관련한 사항은 정의연 이사회에 위임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⑧ 통합이후 정대협의 정기후원회원을 정의연으로 이전하기 위해 후원회원들과 정의연으로의 통합결정 이전에 게시되어있던 정대협 후원계좌를 통해 후원을 이어가는 분들에 대한 후원 이전 동의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이메일, 문자 등을 통해 진행하였으나, 이전이 완전히 완료되지 못하였습니다 .
⑨ 이후 정의연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안정적인 운영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박물관 운영법인 설립의 필요성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2019년 12월 운영위원회를 통해 《정대협의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운영법인화》를 결정하고, 정관 변경 등 관련절차를 완료하여 2020년 4월 정대협 관리감독 기관인 외교부에 이를 보고하고 승인받았습니다.
3) 류석춘 교수 고소장 관련 내용
2019년 9월,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류석춘 교수의 발전사회학 수업 중 《1) 정대협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조종하여 허위사실을 증언하도록 하였다 2) 정대협 핵심간부들이 통진당 간부이고 대한민국을 망가뜨리려고 하는 단체이며, 순수한 단체가 아니고 북한을 추종하는 단체이다 3) 할머니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정대협에 알량한 정의감으로 달라붙어 사회정의를 이루겠다고 난리치는 데 한심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직접 당사자만 소송제기가 가능하여 행정적으로 법인설립증이 유효한 정대협 명의로 고소고발진행)는 2019년 10월 1일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류석춘 교수를 형법 제307조(명예훼손)과 제311조 모욕으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해당사건은 2020년 4월 1일 경찰조사를 거쳐 제307조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되었습니다.
4) 국고보조금 공시 최종사업비용 중 2016~2018 보조금 항목 0원 기재
일본군'위안부'관련 공모사업 보조금은 별도의 전용계좌(‘e 나라도움’예탁금 형식 또는 지급)로 수령과 사용이 이루어집니다. 사용하고 남은 금액은 그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까지 포함해서 공모사업 시행기관에 반환하며, 수입지출에 대한 관리와 결과보고는 사업종료 후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보조금법)》에 따라 3억 이상의 공모사업에 대해서는 별도의 회계감사를 진행하여 최종보고서를 공모사업 시행기관에 제출합니다.
공모사업 시행기관의 사업을 정의연이 대신 수행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위의 보조금은 정의연의 수입지출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정의연의 수입.지출견산서에 수입과 지출에 포함시키지 못하였으나, 후에 이러한 방식의 보조금 사업 집행내역도 정의연의 회계처리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여 2019년부터 결산에 반영하게 된 것입니다. 2016년의 경우 정의연이 수행한 공모사업이 없었으며, 2017~2018년 보조금 수입 0원 기재는 정의연의 회계처리 오류로서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회계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일부 언론에서 질문하신 정의연 국고보조금 사업으로 제기한 《2017~2018 전시성폭력실태조사, 학술행사홍보 및 국제협력활동 공모 8,500만원, 피해자지원법 제5조의 2에 의거한 여가부 운영비용 지원금 사업 2017 (마포쉼터)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보호시설 운영비 지원 1,500만원》 은 정대협이 수행한 사업이며, 위의 이유와 같은 회계처리 오류로서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회계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도록 하겠습니다.
---
5.15_입장문_회계 관련 의혹들에 대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기억연대)는 ‘한국공인회계사회’로부터 추천받은 회계기관으로부터 객관적인 회계검증을 받겠습니다.
- 정의기억연대는 지난 수요시위에서 밝혔듯, 최근 언론이 무차별 제기하고 있는 회계 관련 의혹들에 대해 외부 회계검증을 통해 그 투명성을 검증받고자 합니다.
- 감사기관 선정 절차에서부터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회계기관을 정의기억연대가 지정하지 않고 ‘한국공인회계사회’로부터 추천받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5월 15일 정의기억연대는 한국공인회계사회에 공익법인 감사 회계기관 추천 요청 공문을 발송하였습니다.
- 공시입력이나 회계처리 오류에 대한 지적은 겸허히 받아들이며, 회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겠습니다. 그러나 사실관계에 기초하지 않은 ‘개인 횡령 의혹’ 등 악의적인 보도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겠습니다.
-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의기억연대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용기 있는 증언과 활동으로 시작된 30년 운동의 과정을 다시 한 번 성찰하고, 여러분들과 함께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회복,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0년 5월 1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5_입장문_언론보도에 대한 정의기억연대 설명자료
1. 지금까지 저희 단체가 언론이 제기한 의혹에 대하여 해명하였지만 계속해서 말도 안되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공익법인을 전문으로 하는 회계 기관을 통해 검증을 받으려고 합니다. 공인된 기관의 추천을 받아 진행하고자 합니다.
2. 국가보조금 관련
저희의 결산자료에 국고보조금은 최종 사업비용을 수익과 비용으로 작성 처리하고 있습니다. 여가부 보조금사업은 여가부가 정한 절차에 따라 회계처리하며 외부 회계감사를 진행하여 이를 여성가족부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3. 곽예남 할머니 장례 관련
정의연은 곽예남할머니의 부고소식을 유가족이 아니라 여성가족부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즉시 할머니의 조문보를 만들고 조문하였으며, 장례기간 내내 정의연실무자들이 장례식장과 이후 추모회는 물론 입관시까지 동행하였습니다. 장례비는 여성가족부 별도 지원기준이 있으며 그 사업을 집행하는 정의연은 그 기준에 따라 유가족에게 장례비를 지원하였습니다.
4. 정대협 쉼터 관련
정대협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부터 지정기부받은 쉼터자산은 주무관청에 보고되고 있습니다. 쉼터는 그 사업의 목적이 종료되거나 더 이상 사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협의하여 반납하거나 재지정할 수 있습니다.
정대협 쉼터 매각의 필요성은 2~3년 전부터 제기되어 내부논의를 꾸준히 진행해 온 사항으로 적합한 의사결정과정을 거쳐 현재 매매계약 체결단계에 있습니다. 이 사안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도 충분한 협의를 거쳐서 진행해 왔습니다.
5. 제무재표 상 2018년과 2019년 수요시위 사업비용 차이 관련
수요시위는 연초에 1년 사업비용(무대.음향비용)이 집행됩니다. 2018년에는 정대협에서 집행되었기에 발생한 차액입니다.
2020년 5월 1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4_입장문_언론보도에 대한 정의연 설명자료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입니다.
어제 개최된 제1,439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온라인 수요시위에 2,500여명이 넘는 시민들께서 온라인으로 함께 참여하셔서 정의연이 30년 동안 만들어 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운동에 많은 지지와 연대를 보여주셨습니다.
하지만 일본군성노예제의 역사적 진실을 부정하고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를 훼손하는 상황이 무분별한 일부 언론보도 등을 통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언론보도 중 정의연에서 답변을 드릴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붙임과 같이 설명을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붙임>
1. 2019년 김복동 할머니 장례 조의금 윤미향 前 대표 계좌사용 관련
2019년 1월 28일 여성인권운동가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께서 영면에 드셨습니다. 정의연과 노동,시민,여성단체 대표 등으로 시민장례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윤미향 前 대표는 喪主의 자격으로 장례를 치렀습니다.
정의연은 1월 29일 오전 빈소를 마련하고 시민장례위원 모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통상 다른 단체들이 진행하는 것처럼 조의금을 받기 위한 喪主의 계좌를 공개한 것입니다. 시민들은 직접 빈소를 찾아 조의금을 전달하거나 계좌이체를 통해 조의금을 전달하였습니다.
그렇게 喪主의 계좌로 모금된 조의금으로 발인 당일 노제를 포함한 모든 장례를 치르고, 5월 11일 기자회견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남은 조의금에 대해서는 평소 고인의 뜻에 따라 시민단체기부와 장학금전달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정의연 홈페이지에 게시되어있는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 기록집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김복동 할머니 장례조의금과 2018년 안점순 할머니 조의금(상임장례위원장이었음)은, 금원의 성격상 기부금으로 볼 수 없고, 모금된 금액도 1000만원 미만이므로 기부금품법 위반 문제가 없습니다.
2. 이용수 할머니 인터뷰관련
5월 7일 입장문과 5월 11일 기자회견에서 공개된 입장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동지로 30년의 세월을 같이 보냈던 윤미향 前 대표가 곁에 있지 않는 상황에 대한 서운함과 상실감, 문제해결을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하라는 말씀으로 이해합니다.
정의연은 문제해결을 위해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우리 문제를 알아줬으면 좋겠어요.”라고 말씀하셨던 세상을 떠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강덕경 할머니의 말씀처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역사적 진실을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활동하겠습니다.
2020년 5월 14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3_입장문_1439차 수요시위에서 발표한 정의연 입장과 언론질의에 대하여
2020년 5월 11일(월) 기자회견 이후에도 일부 언론에서 제기하고 있는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 관련 ‘의혹’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정의연에서 개인적 자금 횡령이나 불법 유용은 절대 없습니다.
매년 변호사와 공인회계사로부터 회계 감사를 받아왔으며 매번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받아왔습니다.
국세청 시스템의 공시 입력 과정에서의 일부 실수에 대해서는, 국세청 재공시 명령에 따라 바로잡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정의연은 우리의 투명성을 다시 한번 증명하고, 악의적 왜곡 보도에 대한 정면 대응을 위해 공신력 있는 외부 공인회계사들에게 기부금 사용 내역에 검증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과 관련된 불필요한 의혹들을 해소하겠습니다.
정의연은 기부금 사용에 있어서 불법적인 유용이나 횡령이 없었음을 다시 한 번 명확히 말씀드립니다.
시민들께 호소드립니다.
현재 정의연을 향해 이루어지고 있는 일부 언론의 악의적 왜곡 보도는 인권·평화·여성단체들에 대한 탄압이며 시민 사회 전반에 대한 탄압이며,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종결 시도입니다.
우리는 반민족·반인권·수구·적폐 세력과 일부 매국 언론에 똑똑히 경고합니다.
이 자리에서 30여 년간 이어온 할머니들과 활동가들의 진정성 있는 헌신과 끈끈한 연대를 훼손하려 하지 마십시오.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이 장소, 눈이 오나 비가 오나 29년간 지켜졌던 수요시위, 평화와 인간 존엄을 바라던 할머니들의 가르침, 그리고 우리의 역사를 지키기 위해, 정의연은 더욱 크게 연대하여 행동할 것입니다.
시민들은 함께 행동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20년 5월 13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위한 정의기억연대
5.13_입장문_언론질의에 대한 설명자료
1. 서울시 조성 기억의 터 조형물에 설치된 피해자 247명에 대하여
당시 한국정부에 등록된 일본군‘위안부’피해자와 중국에 거주하시던 피해자들 중 국적회복이 되지 못해 한국정부에 피해자로 등록되지 못한 피해자들, 그리고 피해사실을 공개하고 활동하였으나 피해자 지원법이 제정되기 이전에 사망하셔서 피해자등록이 되지 못한 분을 포함해여 산정한 인원입니다.
2. 국세청 공시 자료 중 태양상조 1,174만원 지출 관련
5월 11일자 정의연에서 제공한 설명처럼 대표지급처 1곳을 기재해야 하는 사유로 태양상조를 지급처로 기재한 것입니다. 따라서 1,174만원 모두가 태양상조로 지급된 것이 아닙니다.
태양상조는 오래전부터 할머니들이 돌아가셨을 때 장례절차를 성심껏 대행해 왔고, 장례비용중 일부를 매 장례식마다 기부하였습니다. 기부 항목은 의전 및 입관용품, 수의 등에 해당합니다.
기부는 이 비용을 태양상조가 정의연에 무상 제공하는 방식이었으며, 따라서 정의연은 태양상조에 이 금액에 해당하는 기부를 지정기부 수입으로 처리하고, 회계처리 방식에 따라 다시 장례지원 지출로 처리하였습니다.
국세청 공시에는 현금과 물품의 금액을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되어있었으나 입력하는 과정에서 물품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것을 현금으로 묶어서 잘못 처리하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3. 정의연(정대협) 신문 편집 디자인 업체 관련
정의연은 1년에 한 번씩 창립월인 11월에 그 해의 활동을 보고하는 신문을 발행합니다. 2019년 정의연은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수원시민신문을 포함하여 4개 업체에 견적을 확인하였고, 최저금액을 제시한 수원시민신문에 신문 편집.디자인을 맡긴 것입니다.
4. 공시자료에 있는 안점순 할머니 4억 7천여만원의 회계처리 관련하여
5월 11일자 정의연에서 제공한 설명처럼 대표지급처 1곳을 기재해야 하는 사유로 안점순 할머니를 지급처로 기재한 것이며, 해당 비용은 안점순 할머니에게 지급된 병원비용을 포함한 정의연에서 진행한 사업비 지출총액입니다.
---
5.12_입장문_현 상황에 대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입장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과 함께 만들어 온 30년 정의실현 운동의 역사를 훼손하고,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를 훼손하며 악의적 왜곡을 조장하는 세력에 맞서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힙니다.
어제(5월 11일) 정의연은 기자회견을 개최해 실체 없는 의혹 제기와 허위·왜곡보도를 바로 잡고자 구체적인 사업 내용과 재정지출 내역 등 명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해 드린 바 있습니다.
하지만 조선을 필두로 한 중앙, 동아, 한경 등 일부 언론은 기자회견에서 충분히 설명된 내용조차 맥락을 삭제한 채, 또 다시 왜곡하거나 각색해 보도함으로써 정의연에 마치 심각한 도덕적 문제가 있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굴욕적인 ‘2015 한일합의’의 기만적 추진과정에 가장 큰 책임자인 박근혜 정권 하 관료들의 제보를 인용해, 피해자와 활동가들의 분열을 획책하고 있습니다. 해당 보도는 피해자 명절, 어버이날 등 ‘의례적인 방문’과 ‘진전 없다’는 성의 없는 답변밖에 듣지 못했던 정부의 의견수렴 과정 생략에 항의하고자 정의연(정대협)이 요청했던 면담을, ‘15회에 걸친 피해자 의견수렴’으로 호도하며 윤미향 전 대표를 거짓말쟁이로 몰아 본인들의 책임을 전가하고 있습니다.
정의연은 5월 11일, 기자회견 이후 해당 보도에 대한 정정보도와 왜곡보도 중단을 요청하는 입장을 두 차례에 걸쳐 밝혔지만, 일부 언론의 문제적인 보도행태는 그 도를 넘어 ‘술값,’ ‘기부금 사용 의혹’ 등 추가적인 허위사실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습니다.
정의연은 이러한 언론행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으며, 명명백백한 진실규명을 통해 사실을 바로잡고자 합니다(<붙임자료> 참고).
정의연은 현 상황에 대해 피해자의 증언을 흠집 내고 일본군성노예제의 역사적 진실을 부정하는 국내외 세력과 이미 진실이 밝혀진 굴욕적인 ‘2015한일합의’의 주역들인 적폐세력이 30년 운동의 회한이 담긴 피해자의 ‘말’을 의도적으로 악용해 ‘진실공방’으로 사태의 본질을 호도하여, 정의연과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30년 운동을 무력화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는 인권운동 전체에 대한 탄압으로 규정합니다.
1990년 11월 16일 37개 여성단체의 힘으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결성 된 이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진실을 규명하고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해 노력해 온 정의연은, 지금까지 가해국 일본정부의 범죄부정과 역사왜곡, 이에 동조하는 국내외의 극우·역사수정주의자들의 방해와 공격으로 단 하루도 편안한 날이 없었습니다.
피해자들이 한 분이라도 더 생존해 계실 때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가해국 일본정부에 책임이행과 진실규명을 촉구하는 운동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피해자의 명예와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몰역사적이고 반인권적인 집단에 맞서며 고단한 싸움의 시간을 보내야 했습니다.
최근에는 식민지 지배책임과 전쟁책임, 일본군‘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일본의 역사수정주의자들과 공명하는 국내 연구자들과 극우세력들은 피해자들의 증언을 부정하며 인권을 침해하고 운동을 폄훼해 왔으며, 급기야 인권과 평화의 장, 세대연대의 장으로 29년째 운영되고 있는 수요시위 현장에 나와 방해와 비방을 일삼으며 중단을 요구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습니다.
정의연은 이들의 행태와 공명하는 현 상황을 엄중하게 직시하고 있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연은, 때로는 ‘지지’로 때로는 ‘꾸짖음’으로 지난 30년 운동을 만들고 지키며 성장시켜 왔던 국내외 시민들의 연대와 지지를 마음속에 깊이 새기며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회복을 최우선에 두고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입니다.
2020년 5월 12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붙임자료>
1) 『단독, 하룻밤 3,300만원 사용 정의연의 수상한 술값』 보도 등 기부금품 지출명세서 지급처와 수혜인원 표기 관련
정의연은 매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_의무공시』를 국세청에 제출합니다.
기부금품의 모집 및 지출 명세서 2. 기부금품 지출 명세서 표는 ①(대표)지급처명(성명/단체명) ②주민등록번호(사업자등록번호) ③지출목적 ④수혜인원(단체)수 ⑤지출액 등을 기록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 중 해당표 ①과 ②에는 대표적인 지급처 한 곳(명)만을 기록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해당보도에 나온 3,300만원은 50개 지급처에 지급된 모금사업비 지출 총액이고, 사업비 지출금액이 가장 큰 후원의 밤 사업비용(9,654,000원) 지급처인 디오브루잉주식회사를 (대표)지급처명으로 입력한 것입니다.
기부금품의 지출명세서 구분 코드는 수혜자(단체)에 지출하는 11(장학), 12(학술), 13(사회복지), 14(문화), 15(기타)와 각종경비로 지출되는 31(인건비), 32(임대료), 33(기타)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정의연 사업 중 코드 특정이 가능한 장학사업을 제외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정의연의 모든 사업비용 지출은 33(기타)에 해당합니다. 위의 경우와 같이 수혜인원 9999명 기재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비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식입니다.
2) 『22억원 증발 정의연 회계처리 오류』 보도 관련
이는 회계처리의 오류가 아니라 회계감사를 마친 회계자료를 국세청 공시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이 발생한 것입니다. 국세청도 밝힌 것처럼 의도적 누락은 아닌 것으로 국세청의 재공시 명령에 따라 이후 절차를 진행할 것입니다.
3) 나눔의 집 관련
나눔의 집과 정의연은 다른 단체입니다.
나눔의 집은 1992년 10월 불교인권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설립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보호시설이었고, 1998년 8월 일본군‘위안부’기념관 개설 이전까지 정의연(정대협)과 같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1999년 10월 경기도 광주군으로부터 설립승인을 받고 현재 『노인주거복지시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4) 통합운영에도 불구하고 정대협 법인 존치 등 관련
2018년 7월 11일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은 운동의 통합하여 출범했으나 정대협의 법적 해산 등에 대한 행정조치를 진행하는 과정이 지체되었습니다.
2019년 정대협 부설기관인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독자적 운영을 결정하고 운영법인설립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아직 법적으로 남아있는 정대협을 박물관 운영법인으로 하는 것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후 2020년 4월 박물관 운영법인의 기능으로 정관변경을 주무관청인 외교부에 제출하여 승인받았습니다.
*5월11일 정의기억연대 기자회견 자료 바로가기(pdf자료)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725&mod=document&pageid=1
*5월8일 [공지] 이용수 할머니 기자회견에 대한 정의연 입장 바로가기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697&mod=document&pageid=1
*5월 11일 조선일보는 정의연이 개최한 ‘현 상황에 대한 기자회견’에 대한 악의적 왜곡보도 즉각 중단하라!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739&mod=document&pageid=1
*5월 11일 한국경제신문은 악의적 허위보도/왜곡보도를 중단하라!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745&mod=document&pageid=1
9.15 검찰수사결과 발표에 대한 정의기억연대 입장문
2020년 9월 14일, 검찰은 “정대협·정의연 관련 고발사건 수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검찰 수사의 계기가 된 이른바 ‘정의연 회계부정 의혹’은 대부분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보조금 및 기부금 유용’ 등 지난 4개월 간 무차별적으로 제기된 의혹들이 근거 없는 주장에 불과함이 밝혀진바, 다시 한 번 허위 보도 등에 대한 언론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합니다.
그럼에도 검찰이 억지 기소, 끼워 맞추기식 기소를 감행한 데 대해서는 유감을 표명합니다.
특히 일생을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에 헌신하며 법령과 단체 내부규정 등이 정한 절차에 따라 정당한 활동을 전개해온 활동가를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등으로 기소한 점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스스로 나서서 해명하기 어려운 사자(死者)에게까지 공모죄를 덮어씌우고 피해생존자의 숭고한 행위를 ‘치매노인’의 행동으로 치부한 점에 대해서는 강력한 유감을 표합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 전반은 물론, 인권운동가가 되신 피해생존자들의 활동을 근본적으로 폄훼하려는 저의가 있다고 밖에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회계부정’이란 프레임을 씌워 정의연을 범죄 집단으로 만들고 각종 의혹을 사실로 둔갑시켜 가짜 뉴스를 양산해 온 일부 언론이, “제기된 의혹 대부분 기소”라는 프레임으로 다시 정의연을 매도하고 있음에 통탄을 금할 길 없습니다.
정의연은 이미 수차례 밝혔듯, 함께 해온 국내외 시민들과 피해생존자들의 뜻을 받들어 운동의 숭고한 정신과 역사를 계승하는 동시에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습니다. <성찰과비전위원회>를 구성하고 내부진단과 외부자문을 통해 발전적 논의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흔들림 없는 지지와 연대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20년 9월 15일
정의기억연대
9.8_입장문_언론상대 민사소송 제기
정의연, 언론 허위보도 관련 조선(TV조선, 조선일보)과 동아(채널A, 신동아)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억 명예훼손 소장 접수!
-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9월 8일, 허위사실에 기초한 보도로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한 TV조선, 조선일보, 채널A, 신동아와 해당 기사의 기자들을 상대로 총 1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장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접수했음을 밝힙니다.
- 이에 정의연은 국내 언론사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할 의무, 보도 대상자의 명예를 훼손하지 아니하여야 할 의무가 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대해 해당 언론사와 기자들에게 응당한 법적책임을 끝까지 물을 것입니다.
2020년 9월 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9.4_입장문_정대협 공시 관련 조선일보 기사에 대해
조선일보 김정환 기자는 오늘(9월4일)자 기사 “[단독] 정대협, 없던 돈 8억이 어디서 생겼을까?”에서 “‘회계 부실’ 논란이 일었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지난달 31일 국세청 홈페이지에 재공시한 회계 내역에서 예전 공시 자료에 없던 돈 8억여원의 뭉텅이 돈이 갑자기 추가된 것으로 3일 확인됐다.”고 하면서 “일각에선 “정대협이 숨겨둔 비자금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말씀드리며, 조선일보에 정정보도를 강력히 촉구합니다.
- 국세청 공시 서식은 비영리단체에서 적용해왔던 회계기준 및 내부적인 결산방법과 다르기 때문에, 국세청 공시자료를 작성할 때 일부 오류나 누락이 있었고, 이에 대하여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나 국세청 공시에 재공시된 금액은 결산자료에는 누락 없이 계속 반영돼 있었으므로, 회계상 누락된 금액은 아니라는 점 또한 일관되게 해명해 왔습니다.
- 정의연과 달리 이전 정대협의 회계처리는 단식부기 방식이며, 일반회계와 사업용도별로 구분한 특별회계단위로 각각 구분하여 결산서를 작성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총회에 보고하는 결산서도 일반회계와 각각의 특별회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정대협이 지난번 국세청 시스템에 결산서를 공시하는 과정에서는 일반회계만 공시하였습니다. 기사에서 ‘갑자기 추가된’ 것으로 지칭한 금액은 일반회계와는 다른 특별회계로서 특별회계 결산서가 공시에서 누락되었다가, 이번에 수정 공시하면서 각각 구분된 특별회계의 기금들을 모두 통합해서 보고한 것입니다. 즉, 지난번 공시 과정에 포함시키지 않았던 특별회계 기금들이 포함되었기에 지난번 공시보다 이월 잔고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 그동안 정의연 회계와 관련하여 수많은 언론의 의혹보도가 최근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정정보도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겠습니다. 국세청 공시에 재공시된 금액은 회계상 누락된 금액이 아닙니다. 이를 ‘숨겨둔 비자금’ 운운하며 관련 사전 취재 없이 또다시 ‘아니면 말고’ 식의 의혹을 제기하는 보도가 반복된다면 강력하게 법적대응하겠습니다.
2020년 9월 4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9.1_입장문_헌법재판소 위헌 결정 9주년을 맞아
김창록(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의기억연대 법률자문위원)
지난 8월 30일은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가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관해 부작위 위헌결정을 선고한 때로부터 만으로 9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의 ‘한일회담 문서공개 후속대책 관련 민관공동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일본의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인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1965년의 “청구권협정에 의하여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고,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이 남아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정부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묻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그래서 헌법재판소가 2011년 8월 30일에 그 부작위가 위헌이라고 선고했습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묻기는커녕, 피해자들과 전 세계 시민들이 30년간의 가열찬 노력을 통해 이룩한 성과조차 크게 손상시키는 「2015년 합의」를 맺어버렸습니다. 이후 아베 신조 정부는, 그 합의를 빌미삼아, ‘전부 끝났다. 더 이상 입에 담지도 말라’고 억지를 쓰며 윽박질렀습니다.
다시 한 번 확인합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피해 사실의 명확한 인정, 그에 터 잡은 사죄와 배상, 지속적인 진상규명과 역사교육과 위령, 그리고 책임자 처벌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해결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1990년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출범할 때부터 내세운 방향이며, 국제사회의 수많은 인권문서들을 통해 확인된 원칙입니다. 문제의 본질과 역사를 알지 못하는 양국 정부의 밀실담합으로 묻어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문재인 정부는, ‘「2015년 합의」 검토 TF’를 통해 그 합의가 잘못된 것임을 확인한 후, “2015년 합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진정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우리 정부의 예산으로 일본 정부로부터 온 10억엔에 해당하는 103억원을 여성가족부의 양성평등기금에 출연하고,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도 2011년 헌재 결정이 선언한 ‘부작위 위헌’의 상태는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때마침 아베 정부가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새로운 정부는 이제라도 진정한 해결의 길로 나와야 합니다. 또한 문재인 정부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물어야 합니다.
2020년 9월 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8.28_입장문_TV조선_MBN_YTN_방송통신심의위원회_법정제재
쉼터 평화의우리집 고(故) 손영미 소장의 사망 소식을 취재하며, 자택 열쇠 구멍으로 집 내부를 촬영해 방송한 TV조선, MBN, YTN 에 법정제재가 추진된다는 소식은 너무나 합당한 결정이다.
고인은 생전에 과열된 취재 경쟁으로 큰 고통을 겪으셨고 죽음마저 뉴스의 자료화면으로 전락해 열쇠구멍 안의 이미지로 남았다. 이에 누가 어떤 책임을 질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되는 뉴스는 아무리 짧은 시간이었다 한들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므로 막강한 책임감을 느끼고 보도에 임해야 한다. 실제로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각종 의혹제기를 마치 사실인 양 말하고 사라진 가짜뉴스에 대해 시청자들은 지금까지도 진실로 믿고 있는 경우가 많다.
언론에게 부여된 고유의 기능은 국민의 알권리와 진실에 대한 추구일 것이다. 정의기억연대 또한 방송사에 이런 상식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다. 고인의 자택 열쇠구멍에 카메라를 들이대어 촬영하여 자료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국민의 알권리라고 판단한 언론은 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TV조선, MBN, YTN이 주장한 '데스킹 부족' 등은 옹색한 핑계거리에 불과하다. 다른 방송사들은 게이트키핑 과정을 거쳐 해당 영상을 쓰지 않았다. 어떤 것이 기사가 될 지 말지에 대해 제대로 판단을 못했다면 방송사로서의 자질 부족을 증명한 것이다. 그에 대해 심각한 후과가 나타났다면 합당한 책임을 지면 되는 것이지 "열심히 취재하다 빚어진 일"이라는 TV조선의 해명은 그 자체로 방송사로서의 자질 부족을 증명할 뿐이다.
정의기억연대는 TV조선, MBN, YTN이 손 소장의 죽음에 대해 방송사에 부여된 사회적 책임과 기본적인 취재윤리조차도 방기하고 악의적 의도로 자극적인 방송을 내보낸 것에 대해 공식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 부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사태에 합당한 법정제재를 내려서 국민의 상식적 기대에 부응하고 기자 취재윤리에도 경종을 울려줄 것을 기대한다.
2020년 8월 2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8.3_입장문_언론중재위원회 조정 결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국민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등 9개 언론사 13개 기사에 대해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에 신청한 바 있으며, 11건의 기사에 대해 기사삭제, 정정보도, 반론보도, 제목수정 등으로 조정성립 혹은 강제조정 판결을 받았습니다.
조정불성립된 기사 및 유사 기사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민사소송 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중간 정리 차원으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하니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방송사의 허위·왜곡 보도에 대해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도 추후 청구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기가 막힌 사실은 언론중재위가 정정보도와 반론보도의 조처를 취한 <한국경제> 기사(‘하룻밤 3300만원 사용…정의연의 수상한 '술값')로 해당 기자는 ‘사내 기자상’을 수여한 바 있으며, 중앙대언론동문회로부터 ‘제8회 의혈언론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는 사실입니다. 한국 언론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수상이 취소되어야 함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2020년 8월 3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7.16_입장문_서울경제 한국경제 뉴데일리 언론중재위원회 조정 결과
2020년 7월 16일, 언론중재위원회는 정의기억연대 관련 3개 언론사 기사에 대해 조정성립 및 강제조정을 결정하였습니다. 서울경제는 조정이 성립되어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 한국경제는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로 강제조정, 뉴데일리는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로 강제조정되었음을 알립니다.
-----------------------------------------------------------------------------
◆ 서울경제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
- 6월 1일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단독]인쇄업체에서 유튜브 제작했다? .. 정의연 ‘제2옥토버훼스트’ 의혹”
☞ 정의기억연대는 보도에서 언급된 소규모 인쇄 업체에 유튜브 영상 제작을 맡긴 사실이 없으며, 국세청신고 양식에 따라 대표 지급처 1곳을 기재한 것임. 이에 서울경제 기사는 명백한 허위보도이므로, 정정보도와 정의연 입장의 반론보도 게재로 조정됨.
◆ 한국경제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게재>
- 5월 11일 한국경제 양길성/김남영/김보라 기자의 “[단독] 하룻밤 3300만원 사용…정의연의 수상한 ‘술값’”
☞ 정의기억연대는 하룻밤 3300만원을 술값으로 사용한 적이 없으며, 국세청신고 양식에 따라 대표 지급처 1곳을 기재함. 해당 기사는 명백히 허위사실에 기초한 보도로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함. 이에 정정보도와 정의연 입장을 반영한 반론보도 게재로 강제조정됨.
◆ 뉴데일리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뉴데일리 이도영 기자의 “여가부 지원사업 심의위원에 윤미향… 정의연 '셀프 심사' 거쳐 10억 받았다”
☞ 정의기억연대 이사는 여성가족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자사업선정위원회’에 참여하여 16억1400만원의 보조금을 셀프로 심사하고 수령한 사실이 없음. 해당 기사는 명백히 허위보도로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히 훼손함. 이에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로 강제조정됨.
2020년 7월 16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7.15_입장문_조선일보/조선비즈/중앙일보 정정보도문 관련
정의기억연대는 지난 7월 9일 언론중재위원회에 출석하여 3개 언론사에 대한 조정을 신청하였습니다. 그 결과, 조선일보와 조선비즈는 정정보도문 게재, 중앙일보는 제목수정 및 정정보도문을 게재하였기에 다음과 같이 알립니다.
-----------------------------------------------------------------------------
◆ 조선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조선일보 김형원 기자의 “[단독] 윤미향이 심사하고 윤미향이 받은 지원금 16억”
☞
[바로잡습니다] 6월 16일 '[단독] 윤미향, 여가부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다' 기사에서
조선일보
입력 2020.07.11 07:41
본지는 지난 6월 16일 최초판에 ‘[단독]윤미향이 심사하고 윤미향이 받은 지원금 16억’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정의기억연대 이사는 여성가족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자사업선정위원회’에 참여하여 16억1400만원의 보조금을 셀프로 심사하고 수령한 사실이 없으므로 이를 바로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1/2020071100401.html
◆ 조선비즈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조선비즈 김민우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
[바로잡습니다] 6월 18일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기사에서
조선비즈 김민우 기자 입력 2020.07.15. 14:30
본지는 지난 6월 18일자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정의기억연대 이사는 여성가족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자사업선정위원회'에 참여하여 16억1400만원의 보조금을 셀프로 심사하고 수령한 사실이 없으므로 이를 바로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5/2020071502341.html
◆ 중앙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제목수정 및 정정보도 게재>
- 6월 19일 중앙일보 박현주 기자의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
☞
[바로잡습니다]후원자 25명, 나눔의집·정대협 상대로 기부금 반환 소송 낸다
[중앙일보] 입력 2020.07.11. 17:50
본 신문은 지난 6월 19일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기부금 반환 소송을 내겠다고 밝힌 후원자 25명은 나눔의집 및 정대협 후원자로서 정의연과는 관계가 없어, 기사제목을 '후원자 25명, 나눔의집·정대협 상대로 기부금 반환 소송 낸다'로 수정하였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22451
---
7.13_입장문_언론중재위원회 조정 신청 중간 결과 보고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는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경종을 울리고, 보다 책임감 있고 성숙한 대한민국 언론인의 자세를 요청하는 심정으로 지난 6월 15일 7개 언론사의 8개 기사, 6월 25일 4개 언론사의 5개 기사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원회(이하 언론중재위)에 신청한 바 있습니다.
1차 언론중재위 조정 결과, 2건은 기사삭제와 정정보도문 게재, 기사삭제로 각각 조정 성립, 3건은 정정보도문 게재, 반론보도문 게재, 제목수정 등으로 각각 강제 조정되었고 기타 기사들에 대한 조정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2차 언론중재위 조정 결과, 3건은 정정보도문 게재, 제목수정 등으로 조정 성립, 기타 기사들은 다음 기일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간보고를 드립니다.
-----------------------------------------------------------------------------
[언론사별 조정 결과 안내]
◆ 조선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정정보도 게재>
- 6월 16일 조선일보 김형원 기자의 “[단독] 윤미향이 심사하고 윤미향이 받은 지원금 16억” / 6월 16일 조선비즈 김민우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 여성가족부의 「위안부 피해자 지원·기념사업 심의위원회」와 「보조사업자선정위원회」는 그 구성과 역할이 다름. 또한 정의연 이사가 국고보조사업 수행기관을 결정하는 「보조사업자선정위원회」에 참여한 바 없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일보는 ‘셀프’ 심의, ‘셀프’ 수령 등의 프레임으로 허위사실을 보도함으로써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함. 이에 정정보도 게재로 조정이 성립됨.
◆ 중앙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제목수정 및 정정보도 게재>
- 6월 19일 중앙일보 박현주 기자의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
☞ 소송에 참여한 원고들은 “나눔의 집” 후원자 23명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후원자 2명으로 정의연 후원자는 없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의연 후원자가 후원금 반환소송을 주도하는 것처럼 기사를 작성함. 정의연이 후원자들에게 감사편지를 쓴 날은 소송 제기일도 아님. 중앙일보는 허위사실과 왜곡된 사실을 악의적으로 섞어 보도함으로써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히 훼손함. 이에 해당 기사의 제목수정과 정정보도 게재로 조정이 성립됨.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정정보도 게재>
- 5월 19일 중앙일보 김준희 기자의 “[단독]"'아미'가 기부한 패딩···이용수·곽예남 할머니 못 받았다"”
☞ 정의연은 입장문을 통해 해당 패딩을 당사자에게 전달했음을 이미 입증한 바 있음. 허위기사로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일보는 ‘양딸의 제보’라는 명목으로 허위보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해 옴. 이에 언론중재위에 의해 정정보도로 강제 조정됨.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반론보도 게재>
- 6월 10일 중앙일보 한영익 기자의 “"정의연은 운동권 물주"…재벌 뺨치는 그들만의 일감 몰아주기”
☞ 내부 소식지 디자인 수원신문사 발주비용과 ‘김복동 장학금’ 사업 내용이 ‘재벌회사의 일감 몰아주기’에 비유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일보는 사실을 왜곡해 보도함. 이에 반론보도 게재로 조정됨.
◆ 서울경제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기사삭제 및 정정보도 게재>
- 5월 21일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
☞ 서울경제는 여가부로부터 정의연이 받은 국고보조금 금액 관련 근거 없는 허위기사를 작성해 명예를 훼손함. 언론중재위의 조정으로 서울경제는 해당 기사 삭제와 자사 홈페이지에 정정보도를 게재하고,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도 관련 기사가 더 이상 열람·검색되지 않도록 함(2020년 7월 2일).
◆ 국민일보
언론중재위 조정성립 <기사삭제>
- 6월 9일 국민일보 권혜숙 기자의 ““후진국도 아니고, 정의연 장부도 없다니” 회계사회 회장 한탄”
☞ 정의연이 장부조차 두지 않고 불투명하게 회계를 처리하는 것처럼 인터뷰 내용과 다른 사실을 악의적으로 제목화해 보도함. 허위사실로 명예훼손이 명백한 바 기사삭제로 조정이 성립됨.
◆ 한국일보
언론중재위 강제조정 <제목수정>
- 5월 19일 한국일보 박경우 기자의 “‘아미’가 할머니 숫자 맞춰 기부한 패딩… 이용수 할머니 못 받아”
☞ 정의연은 입장문을 통해 해당 패딩을 당사자에게 전달했음을 이미 입증한 바 있음. 허위기사로 드러났으므로 정의연이 잘 전달했다는 취지의 제목 수정으로 강제 조정됨.
---
7.3_보도자료_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대구 죽평찻집에서 일본군'위안부' 관련 전국의 지역단체 대표들과 함께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 만남
-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 이나영 이사장은 오늘 7월 3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 반까지 대구 남구 죽평찻집에서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을 뵙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오늘 만남에는 이경희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마.창.진시민모임 대표, 송도자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통영거제시민모임 대표, 서혁수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대표 등 일본군'위안부' 관련 전국의 지역단체 대표들이 함께 했습니다.
-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이 전하신 말씀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수요시위를 지지하지만 방식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하시며 피해자 생존 유무에 상관없이 단체가 있는 지역에 가서 수요시위를 하자고 하셨습니다. 상징적으로 지역 단체가 있는 창원, 부산, 통영 거제에서 우선 진행하고,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 참석 여부는 건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직접 참여 혹은 영상 참여로 함께 하시겠다고 하셨습니다.
- 둘째,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지지하시며 평화의 소녀상 세우기 운동을 계속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끝끝내 세우자”. “마지막에는 동경 한복판에 세워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셋째, 용어를 정확하게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로 써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마지막으로, 젊은 세대 교육과 한일 청년세대 교류를 위한 방법으로 지역별 ‘위안부’ 역사교육관 활성화, 건립, 연계, 교류를 원하시며, 현재 나눔의 집이라는 명칭을 <경기도 광주, 일본군‘위안부’ 역사관>으로 바꾸고 역사관에 교육관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께서 직접 말씀하신 내용 첨부
“여러분,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입니다. 데모를 안 하려고 하는 게 아니라 방식을 바꾸려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제가 꼭 데모 때 나가야 하지만 나이가 많아 힘이 듭니다. 여러분이 응원해 주시고 도와준 덕분에 건강하게 지냅니다. 방식을 바꾸는 방식에 대해서는 같이 힘을 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저도 있고 순옥이, 옥선이 등 여러 할머니 역할을 합니다. 평화의 소녀상을 지켜주시는 여러분이 너무 고맙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을 곳곳에 더 세워야 합니다. 빽빽하게 세우고 마지막에는 일본 복판에 세워 오가는 사람이 모두 사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여러분, 평화의 소녀상을 꼭 지켜주세요.”
- 정의연은 이용수 여성인권운동가님이 주신 말씀을 깊이 숙고하고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지역의 단체들과 함께 논의, 연대하여 더욱 열심히 활동해 나가고자 합니다.
2020년 7월 3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7.3_입장문_서울경제 정정보도문 관련
정의연은 지난 6월 15일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언론 조정 신청서를 접수한 바 있습니다. 어제 7월 2일 언중위에 출석, 조정을 진행하였고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 기사 관련, 기사 삭제와 정정보도문 게재가 결정되어 7월 3일자 서울경제 사회면에 정정보도문이 실렸습니다.
---------------
[정정보도]‘[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 기사 관련
본지는 지난 5월 21일 ‘[단독]정의연이 반환했다는 국고보조금, 장부보다 적은 3,000만원 어디로?’라는 제목의 보도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확인 결과 2019년 여가부로부터 정의연이 교부받은 국고보조금은 6억938만4,000원으로 확인돼 3,000만원이 증발됐다는 본지의 기사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이를 바로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
6.30_입장문_‘불법’으로 얼룩진 조선일보 보도
6월 30일, 조선일보 원우식 기자의 “정대협 길 할머니 꿈 현실 혼동보고서 쓰고도… 유언장 쓰게 했다” 기사 관련 설명
길원옥 인권운동가를 ‘치매노인’ 취급하고, 사실을 왜곡해 보도하는 조선일보 반성하라!
국회의원의 특권을 이용해 민감한 개인정보를 유출한 미래통합당 박성중 의원은 반성하라!
해당 기사는 정대협(정의연)이 “길 할머니의 유언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올린 것”을 확인했으며, ‘미래통합당 박성중 의원이 입수한 보고서’를 인용해 “이미 치매 상태”인 길원옥 인권운동가를 정대협(정의연)이 이용해 “기부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명백히 언론의 인권보도준칙을 위반한 행위이자, 생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거짓보도로 정의연(정대협)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이에 보도정정과 사과를 요청합니다.
1. 개인의 건강 정보는 헌법 제10조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서 도출되는 일반적 인격권과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의하여 보장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민감 정보에 해당하여 이를 다루는 사람은 인간의 존엄과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책무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미래통합당의 박성중 의원은 국회의원의 직책을 이용해 여가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언론에 무차별적으로 공개했습니다. 살아있는 당사자의 인격권에 대한 침해행위이자 명예훼손에 해당합니다.
2. 조선일보는 이를 당사자의 존엄과 사생활에 대한 어떠한 고려도 없이 공개하고 있습니다. 당사자의 인격권을 침해하고 한국기자협회의 인권보도준칙을 명백히 위반한 행위입니다. 무엇보다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그간의 활동을 폄훼하고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3. 길원옥 인권운동가는 고령과 지병으로 인하여 기억력 감퇴, 인지능력의 저하 등이 수년에 걸쳐 조금씩 진행된 측면이 있으나 정식으로 치매 등급을 받으신 적은 없습니다. 마지막 해외 활동이었던 2019년 미국 평화의 제막식 참석은 여가부에 제출한 보고서에도 분명히 나와 있듯, 다녀오셔도 아무 이상이 없다는 담당의사의 소견을 듣고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올해(2020년) 4월, 신체적 이상으로 8일간 병원에 입원하신 이후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급격히 저하되셨습니다. 거동이 불편하시고 건강이 좋지 않은 와중에도 길원옥 인권운동가는 평소의 의지에 따라 인권과 평화를 소망하며 기부활동을 하셨고 유엔을 비롯해 활발한 국내외 증언활동을 하셨습니다(관련 내용은 정의연 입장문 6월 18일자 참고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1039&mod=document&pageid=1). 조선일보의 기사는 이러한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숭고한 실천의 역사를 ‘치매노인’의 비의지적 행동으로 폄훼하는 악의적 행위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합니다.
4. 기사에는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유언 동영상을 올린 주체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정의연은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유언을 제작하여 올린 일이 없으므로명백한 허위사실에 기초한 기사입니다. 관련해 원우식 기자의 문자 문의에 이미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나 해당 기자를 이를 무시한 채 보도했습니다. 이는 명백히 한국기자협회 윤리강령 (4. 정당한 정보수집) 위반행위에 해당합니다.
5. 정의연은 피해자와 활동가(단체) 간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 각종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정정 보도 및 사과를 수차례 요청한 바 있지만, 조선일보는 지속적으로 무시하고 있습니다. 한국기자협회 윤리강령 (8. 오보의 정정), (9. 갈등·차별 조장 금지) 위반행위입니다. 이에 대한 법적·도덕적 책임은 온전히 조선일보에 있음을 경고합니다.
---
6.29_입장문_언론의 악의적 왜곡보도와 허위보도에 대해
1. 6월 29일, 조선일보 황지윤, 남지현 기자의 “[단독] 정의연의 수상한 자금 흐름… 행사비 7억 내고 2억 돌려받아” 기사에 대한 설명
조선일보 황지윤·남지현 기자는 해당 기사에서 “2013년부터 최근까지 A사에 각종 용역 대금 명목으로 7억4000만원을 지급”했으며, B씨가 “이렇게 지급받은 돈 중 2억5000여만원을 다시 세 단체 계좌로 송금”했다고 지적한 후 이를 “전형적인 리베이트와 관련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용역 대금을 부풀려 지급하고 그중 일부를 다시 돌려받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예단에 근거한 명백한 왜곡보도이자 명예훼손 행위입니다.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근거>
1) 정의연은 1년간 매주 진행하는 수요집회와 8.14 1400차 수요시위 진행 등에 대해 음향 계약을 진행하고 업체에 정상적인 계약절차에 따라 대금을 지불하였습니다.
2) 이와 별개로 해당 업체 대표는 평소의 소신대로 정의연을 비롯한 3개 단체에 후원 기부를 했으며, 이에 정의연은 후원금 납부에 대한 증빙도 공식적으로 처리한 바 있습니다.
3) 이 돈이 만약 리베이트라면 상식적으로 해당 업체 대표가 같은 계좌로 입금할리 만무합니다.
4) 조선일보는 자신들이 상상하기 어려운 선한 행동을 한 후원자를 범죄자로 몰고, 소중한 후원금 납부를 리베이트 비용인 것처럼 기사를 작성해 후원자는 물론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이에 대한 응당한 법적 책임을 질 준비를 하셔야 할 것입니다.
2. 6월 28일,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의 “[단독] 길할머니 1억, 1시간 새 1원도 안남기고 빠져나갔다” 기사에 대한 설명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는 해당 기사에서 길원옥 할머니 통장에서 “4차례에 걸쳐 전액 출금”되었고, “첫 500만원은 현금 인출,” “5000만원, 2000만원, 2500만원은 수표 출금”이었다고 지적한 후, “한꺼번에 350만~370만원이 현금 인출된 내역도 함께 확인”했다고 주장하며 “횡령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정의연이 입장자료 등을 통해 누누이 밝혀 온 내용을 부정한 사실왜곡· 허위보도이며, 정의연과 길원옥 인권운동가, 돌아가신 손영미 소장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근거>
1) 2017년 11월 25일(토), 정의기억재단은 <2017 동행의 날> 행사 1부에서 "100만 시민이 함께 하는 여성인권상 시상식"을 한 바 있습니다. 인권상 행사 관련 내용은 11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바 있습니다. 행사 당일인 25일은 토요일이라 은행업무를 하지 않고, 상금은 이미 11월 22일에 상금수여자에게 전달(입금)된 바 있습니다.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는 받으신 1억 원의 상금 중 5천 만원을 <길원옥여성평화기금>에 기부하셨습니다. 그 외 다른 부분, 길원옥 할머니의 개인 재산은 할머니께서 관리하신 것으로서 정의연 측으로서는 아는 바가 없습니다. 특히 개인 계좌와 관련된 내역 또한 알 길이 없습니다. (길원옥 할머니 관련 입장 자료 ...참고)
2) 이상과 같은 내용을 이미 수차례 밝혔음에도 조선일보는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의 숭고한 뜻과 그간의 활동을 폄훼하는 기사를 일방적으로 작성했을 뿐 아니라 거짓내용을 보도합니다. 조유진 기자는 2020.06.28. 오후 1:28에 기사를 송출하면서 “정의연 측은 본지의 해명 요청에 대한 답변을 거부했다”라고 작성한 후 1시 47분과 1시 46분에 정의연 이나영 이사장과 한경희 총장에게 해명을 요구하는 문자를 형식적으로 발송했습니다. 한경희 사무총장은 2시50분에 이에 대해 답신을 보낸 바 있으며, 이나영 이사장은 오후 2시에 오프더레코드로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가 길원옥 할머니 통장 내역 입수 경위’를 질문한 바 있습니다. 이후 일방적 수정내용에 항의하며 삭제를 요청한 바 있으나 적절히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해명을 요청하지도 않고 답변을 받기도 전에 마치 확인한 것처럼 거짓으로 기사를 쓰는 행위는 명백히 취재윤리에 반하는 행위입니다.
3) 오히려 정의연은 되묻고 싶습니다. 조선일보 조유진 기자는 어떻게 생존자의 개인계좌 내역을 입수하게 되었는지요? 개인정보를 무차별적으로 공개하는 행위를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는 알고 계신지요? 당사자로부터 허락은 구한 것인지요? 구체적으로 밝히십시오.
4) 길원옥 인권운동가는 그간의 정부지원금, 활동으로 인해 받은 상금 등을 기부해 소외된 이들을 돕고자 하셨던 분입니다. 조선일보는 일방적 주장을 통해 길원옥 여성인권운동가, 정의연과 고 손영미 소장님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사과하십시오.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3. 6월 25일, 헤럴드경제의 이원율 기자의 “강기윤, ‘정의연, 서울시 보조금 일부 ‘밥·커피 값’으로 썼다” 기사에 대한 설명
헤럴드경제 이원율 기자는 해당 기사에서 미래통합당 강기윤 의원실의 말을 인용해 정의연이 서울시로부터 수령한 ‘위안부’ 기림비 설치사업, 성평등기금 사업비용을 ‘유용’했거나 ‘부적절하게 집행’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이는 명백히 허위사실에 기초한 명예훼손 행위이며,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근거>
1) 해당 사업들은 적법한 절차를 거쳐 선정되고 진행되었습니다.
2) ‘기림비 설치사업(8천5백만원)’ 은 설치비(성평등기금)로 3천5백만원, 제막식 행사 비용 등으로 5천만원(민간경상사업보조비)이 집행된 바 있습니다.
3) 의혹으로 제기된 ‘식비와 다과비’등은 필요경비로 보조금사업 기준단가에 따라 적법하게 집행된 것입니다.
4) 관련해 상세한 설명은 이미 6월 25일,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이 설명자료를 낸 바 있으니 아래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www.seoul.go.kr/news/news_explanation.do?selmenu=M00000111#view/319510
제공일자 : 2020년 6월 25일

담당부서 : 여성가족정책실 여성정책담당관
시 보조금 중 일부를 “기림비 설치사업에는 아예 쓰이지 않고, 식비와 간식비 등으로 썼다”는 기사 내용과 관련
○ 서울시는 ‘기림비 설치사업’을 위해 ①기림의날 사업 공모 → ②사업자 선정(심의회 심의 등) →③사업협약 및 사업계획서에 따라 추진함.
- 협약서 상 사업범위는 ▲‘위안부’ 기림비 설치, ▲제막식행사 개최, ▲홍보 뿐만 아니라, ▲ 시민사회참여 역사프로그램 개발 등이 포함되었음
○ ‘기림비 설치사업(8천5백만원)’ 은 설치비(성평등기금)로 3천5백만원, 제막식 행사 비용 등으로 5천만원(민간경상사업보조비) 집행함.
※ 세부 집행내역
○ 이 중, 식비·다과비 등은 ‘기림비 설치 사업’ 일환으로 추진한 시민사회참여역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경비로, 보조금사업 기준단가(식비 8,000원, 다과비 4,000원)에 맞추어 적법하게 집행한 것임.
---
6.25_입장문_2차 언론 조정 신청서 제출
정의기억연대는 일부 언론의 지속적인 허위·왜곡 보도로 회복되기 어려울 정도의 심각한 명예훼손을 입고 있습니다. 이에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경종을 울리고 책임감 있고 한층 성숙된 언론의 자세를 요청하는 심정으로 조선일보, 중앙일보, 뉴데일리, 서울경제 등 총 4개 언론사, 5개 기사를 상대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원회에 신청하게 되었음을 알립니다.
언론의 불공정하고 편파적인 보도, 허위사실에 기초한 ‘가짜뉴스’ 양산, 짜깁기를 통한 교묘한 사실왜곡이 한국사회에 끼치는 폐해가 지대한 바, 정의연의 이번 언론조정 신청이 표현의 자유 제고는 물론, 한국 언론 발전의 밑거름이 되길 바랍니다.
2020년 6월 25일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이나영
---
6.25_입장문_언론은 ‘허위보도’와 ‘왜곡보도’를 중단하라! 정의연에 대한 심각한 명예훼손이 초래되는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언론은 ‘허위보도’와 ‘왜곡보도’를 중단하라!
정의연에 대한 심각한 명예훼손이 초래되는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합니다.
1. 서울경제 허진 기자의 2020년 6월 1일 기사, “[단독]인쇄업체에서 유튜브 제작했다? ...정의연 ‘제2 옥토버훼스트’ 의혹”
해당 기사는 “영상물과 거리가 먼 인쇄 업체에 홍보용 유튜브 제작을 맡긴 것처럼 국세청에 부실 신고한 정황이 확인”되었다고 주장
☞ 허위사실에 기초한 기사로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한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정의연은 인쇄업체에 홍보용 유튜브 제작을 맡긴 적이 없음.
2) 해당 인쇄업체는 대표 지급처 한곳을 기재하게 되어 있는 국세청 공시 절차에 따라 신고된 업체임.
3) 국세청 공시 관련 사실은 정의연 설명 자료와 언론 보도를 통해 수차례 이미 확인해 준 바 있음(참고: bit.ly/정의연입장문).
4) 그럼에도 해당 기사는 “제2의 옥토버훼스트 의혹”으로 프레임화해 정의연에 심각한 회계 부정이 있는 것처럼 보도해 정의연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함.
2. 조선일보 6월 16일, 김형원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뉴데일리 6월 16일, 이도영 기자의 “여가부 지원사업 심의위원에 윤미향… 정의연 '셀프 심사' 거쳐 10억 받았다”; 조선비즈 6월 16일, 김민우 기자의 “그렇게 피해 다니더니…정부지원금 16억원, 윤미향이 심의해서 정의연에 줬다” 등의 기사
위 기사는 공히 “여성가족부가 위안부 피해자 지원·기념사원 심의위원회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옛 정대협)이사들을 포함시켰”다고 주장하면서, 정의연이 정부 지원금을 ‘셀프로 심의’하고 ‘셀프로 수령’했다는 의혹을 제기
☞ 이상의 기사는 명백한 허위사실에 기초한 것으로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한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지원 및 기념사업 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원회’)와 국고보조사업수행기관을 결정하는「보조사업자선정위원회」(이하 ‘선정위원회’)는 구성과 역할이 다름.
- ‘심의위원회*’는 개별적인 보조사업자의 선정이 아닌 기념사업의 전반적인 추진방안을 심의하는 위원회이고, ‘선정위원회**’는 보조금법 제17조에 따라 사업별로 구성되는 위원회입니다. 해당 보조사업과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위원 대상에서 배제됨
2)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정의연, 정의기억재단 이사는 보조사업자 선정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한 바 없음
3) 이상의 내용은 여성가족부 보도설명자료(2020. 6. 16.(화)권익정책과 작성,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6&bbtSn=707084)와 더불어민주당, 정부, 청와대의 당·정·청 협의회(6월 22일)에서 확인된 바 있음(관련 보도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76307&ref=A 등).
4) 이에 허위사실을 사실로 호도한 것이 밝혀진 바, 정정보도와 허위사실에 기초한 명예훼손에 대한 책임을 촉구함.
3. 중앙일보 6월 19일 박현주 기자의 기사, “정의연 감사편지 쓴 날…후원자 25명, 기부금 반환 소송”...“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후원자들이 정대협과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상대로 후원금 반환 소송을 제기한다.”
☞ 해당 기사는 내용과 다른 제목을 통해 사실을 왜곡하고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한 바,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해당 기사는 본문에서 “나눔의집 후원자 23명과 정대협 후원자 2명이 참여”한 소송을 다루고 있음.
2) 나눔의집과 정대협은 명백히 다른 단체이며 소송 주체 또한 다름. 심지어 소송 참여자들은 정의연 후원자들도 아님.
3) 정의연이 후원자들에게 감사편지를 쓴 날짜는 6월 19일 낮 12시 무렵이며, 기사에 제기된 후원금 반환소송과 무관함.
3) 그럼에도 기사는 내용과 다른 제목과 소제목으로 달아 정의연 후원자들이 대거 기부금 반환소송을 진행하는 것처럼 사실을 호도함.
4. 아시아경제 6월 11일, 이지은 기자의 “곽상도 ‘고 손영미 소장, 사인 불분명해...정확한 사인 밝혀야”; 머니투데이 6월 11일, 구단비 기자의 “곽상도 ‘쉼터 소장 사망, 샤워기·개인 계좌 모금 등 조사해야”; 조선비즈 6월 12일, 김민우 기자의 “곽상도,’수사기관, 쉼터 소장 사망 경위 철저히 밝혀야”; 스타뉴스 6월 12일, 박소영 기자의 “곽상도, ’쉼터 소장 사망, 미리 결론 내놓고 조사하는 것 아닌지...의문점 多”; 레이더 P 6월 11일, 고재만 기자의 “곽상도, ‘손영미 쉼터소장 사망 납득 어렵다...경찰 철저히 조사해야”; 뉴스1 6월 11일, 성동훈 기자의 “곽상도 고(故) 손소장, 샤워기 줄 목에 감고 앉은 채 사망...정확한 사인 밝혀야”; 뉴데일리 6월 11일 장세곤 기자의 “[영상] 곽상도 ’앉은 채 스스로 목을 메...납득 안된다”; 아시아타임즈 6월 12일, 김지호 기자의 “쉼터소장 죽음 논란...곽상도 ‘문재인 정부 의문사’ 갈 수도”; 팬엔드마이크 6월 11일, 김민찬 기자의 “곽상도 ‘평화의집 소장인 앉은 채 스스로 목졸라 죽었다고? 이게 납득이 되나”; 뉴데일리 6월 11일, 심교근 기자의 “자기가 자기 목을 졸랐다?...곽상도 ’정의연 쉼터 소장 사망 이상하다: 위안부 할머니 계좌서 고액 인출 의혹...문 정부 의문사로 갈 수 있어‘ 기자회견”; 아시아타임즈 6월 12일, 김지호 기자의 “부장검사 출신 곽상도 의원, ‘경찰 제시 쉼터 소장 사망 시간 불분명”; 데일리안 6월 15일, 이슬기 기자의 “’쉼터‘ 소장 사망시점 의혹...곽상도 ’정의연, 부검 전에 어떻게 알았나” 등의 기사
이상의 기사들은 고(故) 손영미 <평화의우리집> 쉼터 소장의 사망 관련 곽상도 의원의 기자회견 등을 일방적으로 보도하면서, “조직적 은폐 시도,” “의문사,” “타살 의혹” 등을 제기해 정의연이 사인(死因)에 연루된 듯한 인상을 줌.
☞ 고인의 사인이 밝혀진 바, 정의연 명예훼손에 대한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함.
<근거>
1. 6월 7일, 경기도 파주경찰서는 “현재까지 수가 결과 타살 가능성을 낮은 것으로 보이”며, “집안에 다른 침입 흔적이 없으며,” “자해한 흔적도 나왔으나 정확한 사망 원인은 시신부검을 통해 규명될 것”이라 밝히고, 6월 8일 고인에 대한 부검을 진행한다고 알림.
2. 6월 23일, 경기도 파주경찰서는 국과수 부검 결과(‘목멤사로 최종 회신’)를 확인하고 ‘범죄 혐의점 없어 사건을 내사 종결함’을 밝힘.
2020년 6월 2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18_입장문_ ‘일부’ 언론은 고인이 되신 쉼터 소장님과 길원옥 인권운동가, 정의기억연대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를 당장 중단하십시오!
길원옥 할머니의 양아들과 며느리의 일방적 주장을 근거로, 6월 17일 조선일보 원우식 기자의 “[단독] ‘길원옥 할머니 통장서 돈 빠져… 이유 묻자 쉼터소장 무릎 꿇더라,’” 6월 17일 중앙일보 이우림·정진호 기자의 “[단독] 길원옥 할머니 가족 "뭉터기로 돈 빠져나갔다" 檢진술”, 6월 18일 조선일보 원우식·조유진 기자의 “2000만원, 500만원… 치매 길원옥 할머니 통장서 뭉칫돈 나가,” 6월 18일 조선일보 사설 “[사설] ‘뭉칫돈’ 해명 요구에 무릎 꿇었다는 쉼터 소장, 너무 썩었다” 등 고인의 계좌 관련 기사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16년간 정성과 헌신으로 피해당사자들을 보살펴왔던 고(故) 손영미 소장님의 삶을 송두리째 부정하고 정의연을 비리집단으로 몰며, 인권운동가의 삶을 실천해 오신 길원옥 할머니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정의연은 몇 가지 사실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합니다.
1. 길원옥 할머니 양아들의 법적 양자 취득 시기는 아주 최근의 일입니다. 만약 조선일보 6월 18일 보도대로 할머니가 이미 “치매” 상태라면, 지난 5월, 길원옥 할머니의 도장과 주민등록증을 가져가 등록한 양아들의 법적 지위 획득 과정 또한 문제가 됩니다.
2. 양아들은 오랫동안 정기적으로 길원옥 할머니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고 있었습니다. 돌아가시기 전 고인은 물론 쉼터에서 할머니를 함께 보살피던 요양 보호사분들의 증언에 따르면, 할머니는 양아들에게 정기적으로, 방문 시, 때론 특별한 요청에 따라 현금을 제공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직접 방문이 어려워지자, 고인이 양아들의 은행 계좌로 송금하기도 했습니다. 6월 1일의 경우, 두 차례에 걸쳐 1,000만 원과 2,000만 원, 합계 3,000만 원이 양아들에게 지급되었습니다.
3. 그간 마포 쉼터에는 네 분의 요양보호사분들께서 돌아가며 길원옥 할머니를 돌봐 주셨습니다. 매월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지급되는 보조금만으로는 모자라 정대협도 추가 보조금을 지원했습니다. 2019년 한해만, 총 15,456,000원이 정대협 계좌에서 간병비로 지급되었습니다.
4. 길원옥 할머니는 인권운동가의 삶을 실천해 오셨습니다. 전 세계를 돌면서 증언활동을 하시고 다른 전쟁피해자들을 다독이며, 수요시위를 비롯해 다양한 장에서 젊은이들과 만나고 적극적인 기부활동을 통해 인권의 가치를 널리 퍼트리셨습니다. 이 모든 활동은 쉼터에서 함께 생활하던 고인께서 주야로 할머니의 건강과 정서적인 안정을 온전히 보살피셨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 2014년~2019년 길원옥 할머니 해외 증언활동 프랑스, 미국, 독일, 호주, 일본 등 13회
⇨ 2017년 <길원옥여성평화기금> 5,000만원 기부 등
⇨ 2019년~2020년 <김복동센터> 1,000만원 기부
⇨ 2019년~2020년 <김복동의희망>에 <길원옥장학금> 1,500만원 기부 및 매월 5만원 정기후원으로 현재까지 총 75만원 기부
5. 이중 <길원옥여성평화상>의 경우, 전적으로 길원옥 할머니의 기부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2015한일합의’ 이후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이 지불하는 1억원을 거부한 할머니는 2017년 시민들의 성금으로 모인 <여성인권상> 상금 1억원을 받으셨습니다. 이중 5,000만원을 정의연에 기부하시고 1,000만원은 양아들에게 지급했다고 합니다. 정의연은 할머니의 숭고한 뜻을 받아 <길원옥여성평화기금>을 조성하고, 이 기금으로 운영되는 <길원옥여성평화상>을 만들어 여성인권평화에 기여한 분들을 매년 선정해 상금을 수여해왔습니다. 길원옥 할머니의 기부금은 공시에서 별도로 표시되지 않았을 뿐 기부금 전체 금액에 포함되어 있으며, 정의연 결산서류에 정확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부 언론의 보도는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삶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행위이자, 당사자의 소신과 의지에 따른 여성·인권·평화 활동을 뿌리째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숭고한 뜻을 받들고자 개인의 삶조차 희생한 고(故) 손영미 소장님과 정의연을 ‘파렴치한’으로 매도하는 명예훼손 행위입니다.
2017년 5월 28일 길원옥 할머니는 독일 베를린 방문 중 진행된 IS성노예제 피해자 마르바 알-알리코씨와의 간담회에서 “내가 겪은 아픔은 마음으로 참되,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를 알고 해결을 위해 함께 할 수 있도록 계속 알리고 싸워야 해. 우리의 후손들은 나같은 피해를 당해서는 안돼. 힘들지만 함께 해요”라고 말씀하시며 피해자와 손잡고 위로하셨습니다. 남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명백합니다. 길원옥 인권운동가께서 손수 실천하신 숭고한 가치를 지키고 계승하는 일입니다.
언론에 요구합니다.
일방적인 주장에 기초한 악의적 보도를 당장 중단하고 사과하십시오. 길원옥 할머니의 명예와 존엄함에 더 이상 상처내지 말아 주세요. 그의 숭고한 실천정신에 감명 받아 새로운 희망을 품었던 수많은 여성들의 삶을 흔들지 말아 주세요.
길원옥 할머니의 가족들에게도 부탁드립니다.
더 이상 길원옥 인권운동가의 명예에 누가 되는 일을 하지 말아 주세요. 그의 삶을 빛나게 하며 그림자처럼 돌봤던 고(故) 손영미 소장님의 삶을 폄훼하지 말아 주세요. 부디 가족으로서 할머니의 건강과 안녕만 생각해 주세요. 할머니께서 쌓아온 업적과 명예가 훼손하지 않게 지켜 주세요.
길원옥 할머니의 몸과 정신의 강건함을 간절히 기원합니다. 고(故) 손영미 소장님의 평안한 영면을 기도합니다.
2020년 6월 1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15_입장문_언론 조정 신청서 제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6월 15일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언론 조정 신청서를 접수하였습니다.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4조는 ‘언론의 보도는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불공정하고 객관적이지 못한 언론은 언론 본연의 기능을 담당하지 못함은 물론, 표현의 자유와 언론 독립을 스스로 위협하는 요인이 됩니다. 불공정하고 객관적이지 못한 언론 보도의 피해는 특정인과 특정 집단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 전반의 커다란 위험요소가 됩니다.
정의기억연대는 악의적이고 왜곡된 각종 허위 보도들이 쏟아지는 분위기에 편승해, 사실관계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거나, 의도적으로 배제한 일부 언론의 허위보도로 심각한 명예훼손을 입고 있습니다. 그동안 각종 입장 자료를 통해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허위보도 및 왜곡 보도에 대한 정정요청을 드렸음에도 해당 언론사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정의기억연대는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경종을 울리고 한국 언론이 보다 발전하기를 바라는 심정으로 우선 조선일보사 등 7개의 언론사에 대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언론중재위에 신청하게 되었음을 알립니다. 정의기억연대는 명백한 허위사실 및 악의적 명예훼손 기사에 관해서는 모두 그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2020년 6월 1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정의기억연대 #정의연 #일본군성노예 #일본군위안부 #위안부 #언론중재위원회
---
6.11_입장문_곽상도 의원은 패륜적 정치공작을 당장 중단하고, 고인과 정의기억연대에 공개 사과하십시오!
故 손영미 <평화의우리집> 소장 사망 관련, 곽상도 의원의 기자회견과 보도 자료의 내용은 고인과 정의기억연대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습니다.
첫째, “이순덕 할머니 조의금은 손 소장 개인계좌로 받았다”는 출처불명의 인터넷 댓글을 인용해 “후원금을 개인 계좌로 모금한 과거 행적이 드러난 셈”, “개인 계좌 후원 및 위안부 할머니 계좌 돈 인출 같은 내용과 사망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런 내용도 함께 규명되어야 할 것”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
명백한 허위사실에 근거한 명예훼손이자, 정의기억연대를 ‘타살에 연루된 집단’으로 모함하는 행위입니다.
이순덕 할머니 조의금은 2017년 <평화의우리집>에 거주하시던 이순덕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당시, 정대협 실행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할머니를 모시고 있던 고인의 계좌를 열어 조의금을 받기로 한 것입니다. 조의금의 정산 또한 정대협 실행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둘째, “샤워기..” 등 고인의 사망 당시 정황을 세세하게 공개하면서 사망원인과 사망경위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유족과 주변인들이 고인의 급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한 충격에서 채 벗어나기도 전에, 국회의원이라는 신분을 이용해 사망 관련 정황 정보를 취득하고 유족 이외의 사람들이 알아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는 불필요한 정보를 공개하며 ‘음모론’ 유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 고인의 죽음과 주검을 세간의 ‘호기심거리’와 ‘볼거리’로 전락시키는 비인간적 패륜 행위입니다.
고인은 쉼터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과 반인권적인 취재행태 등으로 고통 받다 돌아가셨습니다. 고인의 죽음 뒤에도 여전히 자행되는 허위사실 유포, 모욕과 명예훼손 등이 대한민국 국회의원에 의해 자행되고 있다는 사실에 정의연은 그저 참담하고 비통할 따름입니다.
곽상도 의원에게 강력히 요구합니다.
출처도 불분명한 sns나 댓글을 근거로 한 정치공작을 중단하십시오.
죽음을 이용한 반인권적 패륜 행위를 당장 중단하십시오.
고인과 정의연에 정중히 사과하십시오.
2020년 6월 1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10_입장문_계속되는 언론의 ‘왜곡보도’와 ‘악의적 제목 달기’ 행태를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1. 2020년 6월 9일, 국민일보 권혜숙 기자의 ‘“후진국도 아니고, 정의연 장부도 없다니” 회계사회 회장 한탄’이라는 기사 관련
해당 기사의 제목은 인터뷰 내용을 빙자한 허위사실 유포행위입니다.
첫째, 권혜숙 기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인터뷰를 게재하면서 본문에는 “한국시민단체가 장부도 제대로 없고 그게 다 관행이라고...”라고 적고, 본문 내용과 다른 기사 제목을 달아 정의연을 ‘장부도 없’는 단체로 적시하고 있습니다.
둘째, 매년 정의연 홈페이지에 공시되는 재무제표와 운영성과표는 장부와 회계시스템 없이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정의연은 회계장부조차 없이 “불투명하게 운영”되는 단체가 아닙니다.
☞ 이에 정의연은 국민일보에 정의연의 명예를 훼손하는 허위 기사제목 삭제와 사실에 근거한 기사작성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2. 2020년 6월 9일, 중앙일보 사설 “시민단체가 정부 돈・요직의 통로가 된 비정상 사회” 내용 관련
해당 사설의 내용 중 “서울시는 남산에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를 세우며 정의연에 수천만원을 지급했는데, 비에 새겨진 명단에서 정의연과 불편한 관계에 있었던 피해자들 이름이 빠져 있는 것이 최근 확인됐다”는 명백히 허위사실입니다.
첫째, 남산의 기림비에는 ‘위안부’ 명단이 새겨져 있지 않습니다.
둘째, 2019년에 세워진 남산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서울시 중구 회현동 1가 100-266)는 2019년 샌프란시스코 교민 등의 모금으로 제작된 기림비를 서울시에서 기증받아 해당 장소에 설치했던 것으로 정의연은 기림비의 운송과 설치, 제막식 행사, 명칭공모와 기림비 홍보 사업을 진행했고 증빙을 갖추어 정산보고가 완료되었습니다.
셋째, 사설에 제시된 “명단”은 2016년에 만들어진 기억의 터(서울시 중구 퇴계로 26가길 6)에 있습니다. ‘기억의 터’는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 건립추진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조성되었으며, 당시 정대협은 상징적인 ‘위안부’명단만을 제공했을 뿐 해당 사업에 관여하지 않았고, 사업비도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 정의연은 명백히 허위사실에 근거한 중앙일보 사설 내용의 정정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3. 6월 10일, 중앙일보 한영익, 박해리, 김기정 기자의 “‘정의연은 운동권 물주’...재벌 뺨치는 그들만의 일감 몰아주기” 기사 관련
해당 기사는 “내부 소식지 디자인” “윤미향(전 정의연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남편 회사(수원시민신문)에 발주”와 “‘김복동 장학금’의 상당액”을 “진보계열 시민단체 활동가 자녀”가 받았다는 두 가지 사례를 “재벌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에 비유하면서, 진중권씨의 페이스북 내용을 인용해 정의연을 “운동권의 물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왜곡된 기사 내용과 악의적 기사제목으로 정의연에 대한 명백한 명예훼손입니다.
첫째, 정의연은 매년 한번 활동 보고를 위해 소식지 형태의 신문을 발행합니다. 2019년 정의연은 신문 디자인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4개 업체에 견적을 의뢰하였고, 당시 최저금액을 제시한 수원시민신문사에 신문 편집·디자인을 맡깁니다. 이때 지불한 금액은 3백7십여만원으로 2019년 정의연 총 사업비용의 0.26%입니다.
둘째, 기사에 제시된 ‘김복동 장학금’은 고(故) 김복동 인권운동가의 유지를 받들어, 장례를 치르고 남은 비용을 장례위원회와 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진행된 일시 사업이었습니다. 11개 시민사회단체 후원금으로 2,200만원(2020년 2월 3일 기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자녀(25명)에게 각 200만원씩 김복동 장학금으로 5,000만원(2020년 4월 17일 수요시위 시상식 진행) 등이 전달되었으며 해당 내용은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 기록집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정의연 홈페이지 게시)에 투명하게 공개한 바 있습니다.
셋째, ‘일감몰아주기’란 기업들이 자회사에 일감을 몰아줌으로써 대주주의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일감몰아주기’는 계열사 내부거래가 일정비율을 넘으면 과세대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위에서 제시한 내부 소식지 디자인 수원신문사 발주비용과 ‘김복동 장학금’ 사업 내용이 ‘재벌회사의 일감몰아주기’에 비유될 수 없다는 사실은 상식 있는 시민이라면 판단 가능한 일이라 봅니다.
☞ 정의연은 중앙일보의 왜곡된 보도 내용의 정정과 악의적 기사 제목의 삭제를 강력히 요청합니다.
2020년 6월 10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7_평화의 우리집 쉼터 소장님 부고 성명
먼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일본군‘위안부’ 생존자 쉼터인 ‘평화의 우리집’ 손영미 소장님께서 6월 6일 낮 파주 자택에서 영면에 드셨습니다. 고인을 갑작스레 떠나보내게 되어 너무나 비통한 마음입니다.
고인께서는 2004년부터 지금까지 쉼터 ‘평화의 우리집’ 일을 도맡아오셨습니다. 고인은 개인의 삶은 뒤로 한 채 할머니들의 건강과 안위를 우선시하며 늘 함께 지내오셨습니다. 기쁜 날에는 할머니들과 함께 웃고, 슬픈 날에는 할머니들을 위로하며 그렇게 할머니들의 동지이자 벗으로 그리고 딸처럼 16년을 살아오셨습니다. 지금도 함께 생활하시던 길원옥 할머니의 건강만을 생각하셨습니다.
심성이 맑은 분이셨고, 정성과 헌신으로 언제나 자신보다 할머니들이 우선이셨던 분입니다.
고인은 최근 정의연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상황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셨습니다. 특히 검찰의 급작스런 평화의 우리집 압수수색 이후 자신의 삶이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것 같다며 심리적으로 힘든 상황을 호소하셨습니다. 무엇보다 언론의 과도한 취재경쟁으로 쏟아지는 전화와 초인종 벨소리, 카메라 세례로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계셨습니다. 항상 밝게 웃으시던 고인은 쉼터 밖을 제대로 나가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이셨습니다.
한생을 피해자들에게 헌신한 고인을 위해서라도 불필요한 관심과 억측을 멈춰주십시오. 유족들과 주변인들, 정의연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고인의 자택 등을 향한 인권침해적인 무분별한 취재경쟁을 중단해주십시오. 고인의 명예를 위해 부디 카메라와 펜을 내려놓고 고인의 삶을 차분히 되돌아 봐주십시오.
정의기억연대는 유가족 측의 의견을 존중하며 명예롭고 정중하게 고인의 가시는 길에 예의를 다하겠습니다.
먼저 가신 고인의 부모님, 함께 생활한 이순덕, 김복동 할머니 등과 함께 하늘나라에서 생전의 미소 그대로를 보여주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020년 6월 7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6.5_입장문_언론은 교묘한 덧씌우기를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왜곡보도’를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부 언론의 정의연에 대한 ‘의혹 부풀리기,’ ‘의혹 덧씌우기,’ 해명된 ‘의혹’ 다시 제기하기, 사실관계 왜곡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정보도와 사실에 기초한 보도를 요청합니다.
◎ 6월 5일, 중앙일보 김홍범 기자의 “강제징용 문희상안, 윤미향이 반대해 무산시켰다”라는 기사는 사실과 다릅니다.
1.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이 소위 ‘문희상안 (2+2+@)’에 반대한 것은 맞습니다. 이유는 ‘2015한일합의’ 후속으로 만들어진 화해치유재단에 일본이 냈던 잔액 60억원이 문희상안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2.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과 정의연이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일본이 낸 화해·치유재단 지원금) 1억 원을 받지 말라고 한”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3. ‘문희상안’은 윤미향 전 이사장이 반대해 무산된 것이 아닙니다. 여러 가지 문제점 때문에 관련 단체들과 피해자당사자들은 물론, 민주당 내 다수의 국회의원들도 반대했으며, 심의조차 되지 못한 채 임기만료로 자동 폐기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X1B9T1C2P1U8D1V6G3N0A5L0O9W1W3
☞ 중앙일보 김홍범 기자의 기사 수정을 강력 요청하며, 정확한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위와 같은 보도가 다시는 생산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 6월 3일 국민일보 강보현, 정현수 기자의 “[단독] 일반참가자→가이드 둔갑, 정대협 수상한 ‘평화기행’” 이라는 기사는 사실이 아닙니다.
1. 본 기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가 지원하고, 대학생 단체 ‘희망나비’가 진행한 유럽평화기행 사업 수행 여행사의 회계 의혹을 지적하면서, 정대협의 ‘문제’인양 의혹 덧씌우기를 하고 있습니다.
2. 당시 사업은 서울시가 ‘희망나비’와 함께 진행한 것입니다. 사업비는 서울시가 관련업체에 직접 집행했으며, 정대협과 전혀 상관없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해당기자에게 설명하고 정정보도를 요청하였으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 국민일보 정우진 기자의 6월 2일, “할머니들께 죄송해요”…2030세대 잇단 후원금 반환소송 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다른 사안과 정의연을 교묘히 연결해 사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해당 후원금 반환소송은 정의연과 무관합니다. 소송 당사자의 목소리를 차용하는 형식으로 정의연에 문제제기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어, 심각한 명예훼손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나눔의 집과 정의연은 무관한 단체임을 다시 한 번 알립니다.
☞ 이상 두 건에 대해 국민일보의 정정보도와 사실관계에 기초한 기사 작성을 요청합니다.
------------
5.31_입장문_나비기금의 콩고민주공화국지원 관련 - 조선일보는 ‘정의연 추천’을 가장하여 윤리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취재원에게 접근하는 행위를 그만두십시오.
조선일보는 ‘정의연 추천’을 가장하여
윤리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취재원에게 접근하는 행위를 그만두십시오.
최근 조선일보 기자가 ‘정의연의 추천’이라며 콩고의 나비기금 수혜 단체 활동가에게 접근하였다 합니다. 정의연은 현지 활동가와 전화로 소통하는 가운데 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의연은 현지 단체에 조선일보를 추천한 일도, 조선일보에 현지 단체를 추천한 일도 없습니다. 사실관계 확인절차 없이 ‘정의연을 사칭’해 해외 활동가에게 접근하는 비윤리적인 취재 행위를 조선일보는 당장 중지하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내전 중인 국가와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취재 행태는 그 자체로 엄청난 인권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지금도 고통 받고 있는 성폭력 생존자의 인권과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콩고민주공화국에 지원되는 나비기금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omenandwar.net/kr/콩고민주공화국-활동-모음/
나비기금은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지원하는 정의연 기금사업입니다. 2012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께서 나중에 일본정부로부터 법적배상을 받으면 자신들과 같이 고통받고 있는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위해 기부하고 싶다는 숭고한 뜻에 따라 설립되었습니다. 나비기금의 첫 수혜단체는 콩고민주공화국 전시성폭력 피해 여성과 전쟁 피해 아동을 돕는 단체 압두드(APDUD)로 2012년 9월부터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우간다, 베트남 등 세계 전시성폭력 피해 여성과 아동들로 지원이 확대됩니다.
콩고민주공화국의 경우 압두드(APDUD)외에도 2015년부터 현지 단체 레메드(REMED)를 통해 전시성폭력 생존자들 자생모임인 유시리카(Ushirika)에 정기적인 지원을 시작합니다. 압두드의 경우는 단체 사정으로 인해 2016년부터 2019년 상반기까지 지원이 중단되었으나 2019년 하반기 레메드(REMED)를 통해 다시 지원이 개시됩니다.
레메드는 나비기금을 통해 피해 여성들을 위한 재봉훈련, 아이들에 대한 학비지원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반군에 의한 성폭력으로 어린 나이에 아이를 낳은 소녀들, 에볼라와 전쟁을 피해 마을에서 도망친 여성들이 나비기금의 혜택을 받고 있으며 그 여성들의 자녀에 대한 학비지원, 음식과 옷 등 기본 생존을 위한 지원도 진행됩니다. 성폭력 피해 여성에 대한 지원과 전쟁 피해를 입은 아이들에 대한 지원은 결코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레메드는 나비기금에 대한 활동보고와 사진자료 등을 보내주고 있으며, 정의연은 이를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레메드 활동가는 정의연이 개최한 2019 세계 전시성폭력 추방의 날 주간 행사 국제 심포지엄(6월 18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의 피해여성들과 전쟁고아 등 아동들의 심각한 상황을 소개하기도 하였습니다.
레메드를 통해 지원하는 나비기금에 대해 일부 오해가 있게 된 사례로 레메드 홈페이지에 저희가 지원하는 나비기금이 미국 나비기금 웹사이트로 연결되어 있는 오류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현지 활동가와의 통화를 통해 실수임을 확인하였으며, 수정하겠다는 답을 받았습니다.
2020년 5월 3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30_입장문_조선일보는 보도의 기본인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고 기사를 작성하십시오.
조선일보의 5월 30일자 “[단독] '위안부 전시회' 정부 보조금만 챙기고… 에 대한 입장입니다.
조선일보 기사 중.
- 정대협은 별다른 전시회 준비조차 하지 않다가, 이미 개최일을 넘긴 시점에 돌연 ‘일정을 연기할 것’이라고 통보
- 정부 측 승인 없이 시민단체가 일방적으로 사업 일정을 연기하는 것은 약정 위반에 해당
- 지난 15일에야 ‘코로나 사태로 인해 8월로 연기하겠다’는 취지의 사업변경계획서를 동북아역사재단 측에 전달.
조선일보의 위 기사는 정대협 측에 사실관계도 확인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박물관의 전시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작성한 기사입니다.
코로나 19 사태로 인하여 대부분의 공공 박물관들이 휴관 중에 있으며, 정대협 부설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이하 박물관) 또한 2020년 2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 휴관하였으며, 전염병 확산 정도에 따라 재개관과 휴관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전에 계획하였던 특별전시는 정상적으로 개최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사정으로 여러 논의를 거쳐 박물관 사무처는 4월 7일 회의에서 당초 5월 6일부터 개최하기로 했던 전시를 잠정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박물관은 4월 29일 사업계획변경 요청을 위해 사업약관 및 동북아역사재단 시민단체지원사업 규칙 제13조에 근거하여 동북아역사재단에(이하 동북아)에 ‘전시 변경에 대한 절차 등’을 문의하였고, 지속적으로 사업변경진행을 위해 문의 하였지만 동북아 측에서는 별도 회신이 없었습니다. 박물관에서는 5월 15일 사업기간변경요청 및 변경사업계획서를 동북아에 발송하였지만, 현재까지 동북아의 응신은 없는 상태입니다.
본 사업의 사업완료기간은 10월 31일까지이며 이 기간 내 사업에 대한 일체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박물관은 사업 약관을 엄정히 준수하여 특별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의 특별전시 연기는 최근 일련의 사건으로 인한 전시 연기가 아닌 코로나로 인한 전시 연기이며, 사업기한 역시 10월 말까지이므로 아직까지 전시 연기로 인한 사업 약관상 결격 사유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조선일보는 박물관 측에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체 기사를 게재한 후 같은 날 오후 12시 16분경 조선일보의 다른 기자를 통해 문자로 동북아역사재단 지원 전시회 연기관련해서 질의를 하고 있을 뿐입니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 및 경과를 알려드립니다.
◎ 2월 26일(수)~5월 11일(월) -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대응단계를 ‘심각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전시 개최 공간인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감염확산예방을 위해 휴관하였습니다.
◎ 이에 4월 7일- 5월 6일부터 2달간 개최하기로 한 특별전시는 4월 7일 박물관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감염확산예방을 위해 연기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이에 4월 29일 동북아 담당자에게 메일로 아래와 같이 질의를 하였습니다.
1. 약정서 교부 관련
- 본 단체는 2020년 3월 23일 사업 약정 체결을 위한 제반 서류를 귀 단체에 발송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지원금은 교부 받았으나, 2부 보내드린 약정서 중 1부는 교부 받지 못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약정서를 언제쯤 교부받을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2. 사업일정변경 관련
- 전시 사업은 5월 전시 오픈을 기획하였으나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하여 전시를 부득이하게 연기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8월 전시 오픈을 계획 중입니다. 약정서 상으로 사업기간은 3월 9월~10월 31일로 기재되어 있는데, 위에서 기술한 변동사항 발생시 어떤 절차를 거처야 하는지를 문의드립니다.
그런데 동북아는 그동안 사업담당자의 질의에 일체의 회신이 없었습니다. 동북아는 미교부했던 나머지 약정서 1부조차도 박물관의 재촉으로 5월 29일에야 회신하였을 뿐입니다.
◎ 5월 15일(금) – 박물관은 이메일로 사업기간변경요청 및 변경사업계획서를 동북아에 송부하였습니다. 동북아 담당자는 박물관이 위와 같이 이메일을 보내게 된 주 초(5월 11일 주)에야 박물관에 전화를 해서 사업기간 변경 사유 등에 대해 관련 서류를 제출할 것을 요청하여 박물관은 위와 같이 5월 15일 위 서류에 현재까지의 진행사항을 포함한 내용으로 이메일로 송부한 것입니다.
앞에서도 밝혔듯이 조선일보의 일정연기 통보, 약정위반 기재한 기사는 사실이 아니며 관련 절차를 준수하며 진행해 오고 있음을 거듭 알려드립니다.
---
5.28_입장문_국고보조금 사용에 관한 근거 없는 의혹이 보도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정의연은 국고보조금 사업을 목적에 맞게 성실하게 집행하였고, 그 결과를 주무관청에 투명하게 보고 완료하였습니다.
정의연은 국세청 공시 오류 등에 대하여 사과드린 바 있으며, 재공시를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결산과 공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동안 언론에서 제기했던 각종 의혹에 대하여 검찰수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의 노력과 수사 결과를 지켜봐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렸습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은 마치 정의연이 고의성을 갖고 회계 부정을 저지른 것인 양 관련 의혹을 연일 쏟아내고 있습니다. 특히 국고보조금의 일부 공시누락을 마치 보조금 유용인 양 보도하는 일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저희의 미흡함으로 인한 공시 오류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하지만 정의연이 그동안 수행한 국고보조금 사업은 성실하게 집행되고 투명하게 관리되었습니다. 국고보조금 사업은 주무관청의 목적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것으로 사업계획과 그 집행이 목적사업에 맞게 쓰여지도록 특정되어 있습니다.
일본군‘위안부’관련 공모사업은 국고보조금 통합관리시스템(e나라도움)을 통해 집행합니다. 보조금 교부부터 집행, 정산까지 예탁기관(한국재정정보원)에 예치하고 증빙 검증 후 집행합니다. 예산 항목의 변경이 필요할 시에는 주무관청의 승인을 사전에 받아야 하고 집행 후 남은 사업비 및 이자는 예탁계좌에서 공모사업기관에 반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12조 2> 에 따라 3억 원 이상의 공모사업은 별도의 감사인(회계)으로부터 정산보고의 적정성에 대하여 검증을 받아야 합니다.
더 이상 국고보조금 사용에 관한 근거 없는 의혹이 보도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2020년 5월 2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25_입장문_정신대·일본군'위안부'·성노예제 /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증언 채록 및 관리
안녕하세요 정의기억연대입니다.
오늘 기자회견을 안타까운 심정으로 지켜보았습니다. 마음이 아픕니다.
30년 운동을 함께 해왔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의 기자회견에 대해 입장을 내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몇 가지 부분에서 기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자료를 내고자 합니다.
1. 정신대와 일본군‘위안부’, 성노예제 관련
용어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간략히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신대’
- ‘근로정신대’의 줄임말.
- 소학교 고학년 정도 연령으로 일본의 군수공장 등으로 끌려가 군수품 등을 만드는 일을 강제당한 피해자임.
‘위안부’
- 일제에 의해 성노예를 강요당한 피해자를 일컬음.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0년대 초 활동을 시작할 당시에는 피해의 실상이 알려져 있지 않아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신대’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임. 실제 일제 식민지 하 제도상 혼용과 용어의 혼용이 존재했음.
- 정대협은 일관되게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해 활동해온 단체임.
- 정신대 피해자를 지원하는 단체는 별도로 존재하며, 활동가들은 혼동하지 않음.
- 정대협에 포함된 ‘정신대’는 운동의 역사적 산물에 불과함.
‘성노예’
- 일본군‘위안부’ 피해의 실상을 가장 잘 표현하는 개념으로 국제사회에서 정립된 것임. 1992년 초부터 영어 신문에는 sexual slavery로 기재되어 있음. 특히 1996년 인권위원회에 제출된 라디카 쿠마라스와미(Radhika Coomaraswamy) 보고서가 “전시하 군대 성노예제(military sexual slavery in wartime)”라고 명확히 규정한 것이 주요하게 기여함.
- ‘성노예’는 ‘자유를 박탈당한 채 성적 착취를 받은 피해자’를 의미하는 것일 뿐
- 피해자를 매도하기 위한 용어가 아닌 것은 물론이고, 오히려 피해의 실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학술적으로 구성된 개념임.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자세히 알지 못하는 이유로 지금까지 힌국의 언론 등에서는 정신대, 종군위안부, ‘위안부’ 등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2.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증언 채록 및 관리
<증언 채록과 증언집 발간의 배경>
1991년 8월 14일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김학순 할머니 공개 기자회견 이후 정대협은 같은 해 9월 피해자 신고전화를 개설하고 피해자 신고를 받습니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께서도 정대협의 신고전화를 통해 피해신고를 합니다.
한국정부는 1992년 2월 외무부 산하에 피해신고 전화를 개설하게 되면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신고는 정대협과 정부, 아시아태평양 전쟁 유족회 등에서 진행되게 됩니다. 정대협 운동의 결과, 1993년 피해자 지원법(일제하일본군위안부에대한생활안정지원법 (약칭: 위안부피해자법 ) [법률 제4565호, 1993. 6. 11. 제정. 즉일 시행]이 만들어 지면서 정부차원의 피해자 등록이 시작됩니다.
<증언 채록의 경과와 증언집 발간 상황>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증언은 증언집 1집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1990년대에는 정대협보다 몇 개월 먼저 만들어진 《한국정신대연구회》(이후 한국정신대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참여하여 증언의 채록이 이루어지고, 《정대협》과 《한국정신대연구소》 공동저작물로 증언집이 출간되기 시작합니다(당시에는 윤정옥 교수, 정진성 교수 등 정대협 구성원과 연구소 구성원이 겹침). 1993년부터 발간하기 시작한 증언집에는 〈피해자들의 피해사실〉 〈현재의 생활〉 〈한.일 정부에 바라는 점〉등이 담기게 됩니다. 피해자 증언집은 『강제로 끌려간 군위안부들』 1~6권까지 출간됩니다.
정대협은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담긴 증언집 발간을 통해 일본군‘위안부’문제의 역사적 진실을 정확히 알리고 가해자의 범죄인정과 그에 따른 책임 이행을 이루게 하고자 노력했습니다. 당시 증언집은 피해자의 존재를 알리며, ‘증거 문서부재’를 이유로 불법성을 부인하는 일본 정부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자료였습니다.
그래서 오늘 기자회견이 특히 더 마음이 아프게 다가왔습니다. 일본우익과 역사부정주의자들이 피해자의 증언을 부정하며,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의 인권과 명예를 훼손하는 행태를 보이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악용되고 공격받았던 분이 바로 이용수 할머니이기 때문입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은 사회적 맥락이 반영됩니다. 가해자들은 최초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이후 자신들의 책임을 부정하기에 급급했고 피해자들의 증언의 신빙성을 공격했습니다. 과정에서 피해자들은 자신들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 가해자들의 태도에 분노하는 한편 자신들의 피해성을 입증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일본군‘위안부’동원의 강제성과 불법성, 피해자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가해자에 맞서기 위해 피해자들의 증언 중 일부가 변화되는 과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본군‘위안부’로서 겪어야 했던 피해의 본질적인 내용은 결코 변한 적이 없습니다.
오늘 할머니께서 세세하게 피해사실을 말씀하신 것으로 압니다. 가해자들이 하루 빨리 자신들의 범죄사실을 인정하고 법적책임을 이행하여 더 이상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가 훼손당하지 않는 날이 올 수 있도록 정의연은 더욱 더 최선을 다해 활동하겠습니다.
2020년 5월 2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23_입장문_정의연이 수행하는 여가부 피해자지원사업에 대한 설명.
동아일보 등 일부 언론이 ‘정의연, 의료-주거 보조금 10억 타냈는데… 할머니들은 ‘임대 생활’ 등의 제목으로 보도한 의혹제기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지 않습니다. 정의연은 2019년과 2020년 여가부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건강치료 및 맞춤형 지원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어 사업목적에 맞게 성실하게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여가부에 사업수행 상세실적을 주 1회 문서로 보고하고 있고, 수시로 유선보고, 협의를 거쳐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포함되어 있는 ‘..임대생활’ 등은 본 사업의 목적과 내용에 포함된 것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이 2019년 정의연이 수행한 여가부의 [2019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건강치료 및 맞춤형 지원사업] 최종보고서의 일부 내용을 공개합니다. 마치 정의연이 보조금 사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처럼 호도하는 기사에 대한 정정보도를 요청하며,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3 사업 내용
□ 사업기간 : 2019. 1. 15. ~ 2019. 12. 31.
□ 사업예산 : 609,384,000원(금육억구백삼십팔만사천원)
□ 사업내용
1. 건강치료 지원
◦ 의료비 및 의료용품 지원
- 병원 비급여 치료비(외래진료비, 입원비, 약제비 등), 치과진료비, 한방치료비, 한약조제비, 상비약품비, 노인성 질환 관련 치료용품 지원
※ 치료비 이용 편의를 위해 ‘치료카드(직불카드)’ 전원 제공
- 암 투병 및 임종 등을 앞둔 피해자에 대한 호스피스 입원 및 치매, 와병상태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장기요양 의료기관(요양병원 포함) 입원․방문치료 비용 지원
- 기타 피해자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제공
2. 맞춤형 지원
◦ 일상생활 지원
- 활동 및 이동용 보조기구(휠체어, 실버카, 워커 등) 등 지원
- 틀니, 보청기 등 실생활에 필요한 의료용품 지원
- 앰뷸런스 이송료, 명예회복 활동 위한 교통비 지원
- 명절, 어버이날, 생신, 정기방문 선물 지원
- 기타 일상생활에 불편해소 지원
※ 건강도움식, 반찬, 일상생활 동행 등
◦ 환경개선 지원
- 안전하고 위생적인 주거환경을 위한 주택 개․보수 및 편의시설 보완, 청소 및 소독 등에 대한 지원
- 기타 주거 및 생활안정을 위해 필요 물품 지원
※ 주택 개·보수(벽·비중 누수, 문·창 수리, 벽지·장판 교체, 주택구조의 안전, 위생, 난방·보일러 설치 및 교체, 화장실 개·보수, 주방 환경개선, 생활불편 및 위험 환경개선을 위한 제반 개·보수)
※ 안전장치(안전바, 미끄럼 방지, 문턱제거, 안전손잡이 설치, 노인의 이동권 및 안전 보장을 위한 환경개선) 및 환경개선 물품 지원
※ 청소 및 소독(위생적이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주택 청소 및 소독 지원)
※ 주거환경 및 불편환경 개선을 위한 물품 지원(의료용 침대, 냉·난방기 등)
◦ 정서적 안정 지원
- 월 1회 정기방문과 명절 및 생신 등 방문하여 피해자 개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지원사항을 파악하고, 대화와 정서적 공감으로 심리적 안정과 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함
- 정기적인 건강상담과 문제적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피해자 거주지역 인근의 의료기관이나 양․한방 전문의와의 연계 지원
◦ 장례지원
- 장례비(500만원 내외 실비) 및 근조화환 지원
※ 사업운영지침 개정(‘19.4.23.)에 따라 300만원에서 500만원 내외로 상향
3. 네트워크 구축·협력 및 홍보
◦ 지자체 사례관리자 워크숍
- 피해자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지자체 담당 공무원 대상 워크숍 진행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필요시 빠르게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함
◦ 기타 그동안 피해자를 지원해 온 지역의 시민모임 등 관련단체 및 자원 활동가와 연계·협력하여 피해자의 일상생활 도움과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위한 비예산 사업 발굴·운영
Ⅱ사업 세부 실적
1 지원 실적(요약)
□ 지원 실적(건수)

2 건강치료비 지원
□ 의료비·비급여 의료비 지원 (총 1,383건 / 집행액 총 223,009,070원)
□ 호스피스·완화 의료 및 장기요양 입원·치료비 지원 (총 60건 / 집행액 총 13,435,150원)
3 맞춤형 지원
□ 일상생활 지원(총 316건 / 집행액 총 39,000,000원)
□ 환경개선 지원(총 39건 / 집행액 총 21,000,000원)
□ 장례비 지원(총 5건 / 집행액 총 19,038,500원)
4 네트워크 구축, 협력 및 홍보
□ 지자체 사례관리자 워크숍
□ 호스피스·완화 의료 지원 안내 책자 제작·배포
□ 비예산 사업 활동(물품 후원기관 및 품목)
Ⅳ 사업 정산 내역
□ 정산 총괄표

※사업수행인력 3인
---
5.22_입장문_기부금 공시 누락 관련
<상속세 및 증여세 법>에 근거하여 매년 법인 총 재산가액의 1% 혹은 2,000만원을 초과하는 기부금은 출연자와 금액을 반드시 기재해야 하나, 이러한 사항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여 기부금에 대한 공시가 누락되었습니다.
<정의연 홈페이지에 게시된 결산서에는 공시에 누락된 기부금 총액은 포함되어 있음>을 알려드리며, 기부금 공시를 포함하여 이전에 언론에서 지적한 공시누락에 대해서는 현재 전문회계사와 모든 공시를 검토 중에 있습니다.
최대한 빠른 시일안에 재공시 절차를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점 진심으로 송구하게 생각하며 추후 재발방지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관련 전문가 의견을 참고할 수 있도록 기사링크 첨부합니다. 고맙습니다.
http://www.in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1829
---
5.22_입장문_윤정옥 선생님 보도 / 여가부 2019 국고보조금 3,000만원 / 김복동센터 / 2014년 유럽캠페인 친북교육
5월 20일~21일 양일에 걸쳐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조사 중인 사안에 대해 일부 언론들이 사실관계에 기초하지 않은 보도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이에 정의연은 허위사실, 억측과 예단에 기초한 보도에 강력히 대응할 것을 알려 드리며, 몇 가지 제기된 사안에 대한 설명 자료를 배포합니다.
1. 윤정옥 선생님 《초기 정대협 선배들 입장문》 보도 관련
<초기 정대협 선배들 입장문>이 본인 동의를 받지 않았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5월 20일, 수요시위에서 발표된 위 입장문의 내용은 정대협 결성 초기 선배 선생님들께서 당사자 분들에게 한 줄 한 줄 읽어드리고 동의 받은 것으로 전달 받았습니다. 본인이 몰랐다는 점은 사실과 다르니 정정보도 요청합니다.
2. 여가부 2019년 국고보조금 3,000만원 증발 보도 관련
위 보도는 허위사실을 근거로 작성된 거짓보도입니다. 기사는 정의연이 2019년 여가부로부터 교부받은 보조금이 6억3,900만원이라고 적시하며 3,000만원이 증발되었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9년 정의연이 여성가족부로부터 교부받은 예산 총액은 6억9,384천원입니다. (교부결정 통보 붙임 자료 참고) 허위사실을 삭제해 주시고,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붙임-여성가족부 국고보조금 교부결정 통보 공문: 예산액 6억938만4천원]

3. 김복동센터 보도 관련
이미 5월 19일 《정의연 설명자료 2.》에 관련 내용을 담았으나 추가 질의가 많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자료 작성하여 제공합니다.
일부 언론에서 우간다 김복동센터 건립을 전혀 몰랐다고 주장하며 정의연 실무자가 전화통화로 상황을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현지 추진단체였던 골든위민비전의 아찬 실비아 인터뷰만을 인용하여 사실과 다른 보도를 했습니다.
해당 기사에 인터뷰이로 소개된 우간다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의 아찬 실비아씨(내전 성폭력 생존자)는 2019년 11월, 정의연 현지방문 당시 정부 관료들과의 면담과정에서 자신의 증언을 부정당하고, 욕설에 가까운 언어폭력을 당했으며, 신변의 안전까지 위협받았습니다.
정의연이 출장을 마치고 귀국한 당일에도 신원을 알 수 없는 사람으로부터 협박을 받아 모든 사업의 중단을 요청하는 연락을 주어 정의연은 상호간의 합의로 사업을 중단하고 사업목적과 계획을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피해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의연으로서는 마땅한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이러한 사항은 정의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증빙자료를 모두 보관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또한 5월 20일 아래와 같은 경과를 설명한 자료를 배포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로부터 신변위협을 받아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고통 받고 있는 내전 성폭력 생존자의 인권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의연 활동을 매도할 목적으로 생존자에게 접근하고, 그의 말을 부당하게 이용하는 보도를 중단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최초 보도했던 언론사는 허위기사를 삭제해 주시고,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 우간다 관련 활동은 http://womenandwar.net/kr/우간다-활동-모음/ 참고바람.
- 정의연은 2018년부터 우간다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아찬실비아 사무국장)를 포함하여 3개 단체에 분기별로 500달러 지원을 했습니다.
- 정의연은 2019년 지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2018년 말 각 단체로부터 차기년도 사업계획을 받았습니다.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이하 골든위민비전)》는 1억 7,500여만원 예산의 내전 성폭력 생존자와 자녀들을 위한 쉼터 건립계획을 보내옵니다.
- 정의연은 우간다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2월 20일부터 26일까지 활동가 2인이 현지방문을 진행하고 생존자들에 대한 개별인터뷰를 진행합니다.
- 출장이후 정의연 운영위원회에 출장결과를 보고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국제NGO들의 도움이 거의 없고 정부차원의 지원이 전무한 상황을 파악하였고 그에 따라 2019년 4월부터 지원액을 상향(월 500달러 x 3개 단체)합니다.
- 2019년 6월 19일 세계 전시성폭력 추방의 날을 맞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와 무력분쟁 중 성폭력 문제를 알리는 등의 취지로 우간다 3개 단체 대표들과 콩고민주공화국 지원단체 1개의 활동가, 유엔 前 여성폭력특별보고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우간다 내전 생존자 사진전을 포함하여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모두가 참석한 자리에서 우간다 내전 성폭력 생존자들을 위한 쉼터인 ‘김복동센터’ 추진을 선언합니다.
- 2019년 7월 공문을 통해 ‘김복동센터’ 부지마련에 대한 요청이 왔고 매입절차 등을 상호확인합니다. 그리고 우간다 《골든위민비전》 측으로부터 부지가 마련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7월 12일 부지매입비로 약 1,200만원을 송금하고 계약서 영수증도 받았습니다.
- 다만 부지매입과정에서 애초 상호 이야기했던 예산을 초과하는 비용이 발생했다는 연락을 받았으나 이메일 통해 상호 협의하여 그 금액은 부담 가능하다고 확인되어 《골든위민비전》에서 부담하였습니다.
- 그 이후 김복동센터 기금계좌로 모금을 진행하였습니다.
- 9월 경 《골든위민비전》에서 우간다 정부에 보고하는 문서에는 우간다 전쟁 생존자 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김복동기념공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관련 공간은 일단 빼고 자료실로 용도를 변경하여 제출하되 상호간에는 김복동센터로 인지하는 내용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할 것을 요청합니다.
- 이에 전쟁 성폭력 생존자 지원활동이 중요하기에 우간다 현지 단체의 판단을 존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11월 뉴스타파와 함께 관련 다큐 제작을 목적 생존자 인터뷰등을 진행하기 위해 실무자 2인이 먼저 우간다로 출발하고 이후 윤 전 대표, 사무총장, 건축자문을 맡은 에이텍 김희옥 소장 등이 결합합니다.
- 현지에서 우간다 아촐리 부족장 사무실의 사무국장과 면담을 진행했고 이 자리에서 사무국장은 자신들의 문화를 존중해주는 지원은 언제든지 환영이라는 이야기를 나눕니다.
- 11월 25일 김복동 할머니 얼굴이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생존자들과 함께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7월 매입한 부지를 둘러보게 됩니다. 부지소개 영상을 촬영하여 올렸고 기부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김복동센터라는 자막을 넣었습니다.
- 부지를 둘러보던 찰나 아찬실비아 대표는 시장으로부터 협박전화를 받고 긴급하게 정부관계자들과 면담을 진행하게 됩니다.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관계자들은 정의연과 아찬실비아를 포함한 《골든위민비전》 활동가들이 동석한 자리에서 2019년 6월 정의연 국제심포지엄 내용을 취재해 영역해서 나간 언론보도를 토대로 ‘7월에 일본 영사관 직원을 만났고 정의연이 우간다에서 뭔가 한다고 들었다’라고 말하며 ‘한일외교분쟁을 우간다로 가져오지 마라,’ ‘김복동기념 안 된다,’ ‘일본이라는 용어 들어간 사업 할 수 없다,’ ‘파트너단체를 잘못 골랐다’고 이야기하며 아찬 실비아의 증언을 공격하며 인권을 침해했습니다.
- 정부관계자 면담 후 정의연과 《골든위민비전》은 회의를 진행했고 정의연이 사업진행가능여부를 《골든위민비전》에 확인했습니다. 《골든위민비전》은 이 모든 것은 정치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업은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다는 입장을 피력합니다.
- 11월 25일 저녁 정의연은 나비기금으로 《골든위민비전》과 《웬드아프리카》 두 단체에 장학기금을 전달합니다.
- 11월 26일 《골든위민비전》에서 정부관계자와 간담회를 진행하고 추가 회의를 진행합니다. 한국에서는 김복동센터로 모금사업을 진행하고 우간다 현지 센터의 명칭은 전쟁생존자 지원센터로 하는 것을 합의하고 건축과 관련된 사항들을 현지 공사업자와 논의합니다.
- 11월 27일 한국으로 출발했고 한국에 도착한 저녁 날 아찬 실비아는 신원을 알 수 없는 정부관계자로부터 추가 협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간다에서 아무것도 하지 말아 달라고 정의연에 연락합니다.
- 이에 정의연은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우간다 김복동센터 건립 중단을 결정하고 우간다 현지 3개 단체가 공동으로 부지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현지단체들끼리 협의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 이에 대해 《골든위민비전》은 12월 4일 공문을 통해 3개 단체가 공동으로 부지를 운영.관리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어 《골든위민비전》이 독자적으로 운영·관리할 것이며 2021년~23년 3개년에 걸쳐 부지비용을 반환할 의사를 전해옵니다.
- 이에 정의연은 《골든위민비전》에 부지를 기부하는 대신 월 정기지원은 2020년부터 중단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하였고 《골든위민비전》도 이에 동의합니다.
- 정의연은 이런 상황에서 2020년 1월 말 수요시위를 통해 사업목적을 변경하여 김복동센터를 미국 워싱턴 지역으로 이전하여 추진할 것을 밝힙니다.
- 《골든위민비전》은 월 정기지원 중단이후 지속적으로 이메일을 통해 지원재개를 요청합니다. 이에 정의연 운영위원회는 전 세계적 코로나 사태 등으로 건강과 생존이 위협받는 현지인들의 사정을 고려해, 6개월 한시적으로 월 500달러 지원을 결정하였고 2020년 4월부터 한시적 지원을 재개합니다.
- 김복동센터 기금은 5월 11일 배포된 자료에 기재되었던 목적기금을 모두 적립되어 있음을 밝힙니다.
4. 2014년 유럽캠페인 친북교육 관련
2014년 6월 19일~28일 프랑스 파리(윤미향 前 대표, 길원옥 할머니, 실무자 1인)에서 캠페인을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친북교육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밝히며 허위기사를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추후 동일한 내용의 허위기사에 대해서는 법적조치를 취하겠습니다.
6월 21일 끌레흐 알비 영화음악/다큐 감독 할머니 인터뷰
6월 22일 빠리침례교회 길원옥 할머니 증언대회, 1억인 서명/거리캠페인 진행
6월 23일 일드 프랑스 부의장 오찬면담, 프랑스 출판사 면담, 소르본대 강연회
6월 24일 프랑스 상원 여성권위원회 대표 및 의원단 조찬간담회, 국회의원교육기관 CIDEFE 방문 간담회, 나비의 꿈 유럽평화기행 참가자 간담회
6월 25일 1132차 수요시위 및 유럽평화캠페인(샤이오궁), 미셸 엉드헤 프랑스 상원의원 면담, 국제민주법률가협회 회원 강연회
* 탈북종업원 관련 보도에서 주장하는 정대협 지원은 사실이 아닙니다. 관련 자세한 사항은 민변 입장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minbyun.or.kr/?p=45395
-------------------
5.21_입장문_검찰 압수수색에 대해
정의기억연대는 2020년 5월 20일 오후부터 21일 이른 아침까지 12시간 넘게 진행된 검찰의 전격적 압수수색에 성실히 협조하였습니다. 회계 검증과정 절차를 기다리지 않고 이례적으로 진행된 압수수색에 성실히 협조한 것은 공정한 수사와 신속한 의혹 해소를 기대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변호인들은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께서 생활하시는 마포 쉼터에 있는 자료에 대해 임의제출하기로 검찰과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는 할머니의 명예와 존엄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수사과정에서 할머니들의 명예를 보호해 달라고 다시 한 번 간곡히 부탁드린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변호인들과 활동가들이 미처 대응할 수 없는 오전 시간에 길원옥 할머니께서 계시는 쉼터에 영장을 집행하러 온 검찰의 행위는 일본군’위안부’ 운동과 피해자들에 대한 심각한 모독이며 인권침해 행위입니다.
검찰의 이 같은 반인권적 과잉 수사를 규탄하며 이후 수사과정에서 오늘과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히 요구합니다.
[추가 질의에 대한 설명]
1. 외부 회계감사 등 관련
한국공인회계사회를 통한 외부감사절차를 추진 중에 있었으나 검찰의 어제(5.20)와 오늘(5.21) 무리하게 진행된 검찰의 압수 수색으로 ≪한국공인회계사회≫로부터 ‘수사기관의 수사, 형사소송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업무 수행이 곤란하여 추천이 안 된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회계 관련 증빙자료가 없는 상황이기에 현재 상황에서는 감사의뢰 자체가 불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또한 공시나 회계 등 관련 사항에 대한 언론의 질의는 회계자료들이 압수되었고 검찰 수사 중인 상황이므로 답변이 불가함을 안내드립니다.
2.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언론접촉 관련
최근 피해자 할머니들과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언론의 접촉이 빈번한 상황임이 확인되었습니다. 고령의 피해자들의 건강상황 등을 고려하여 피해자 할머니들과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취재를 자제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020년 5월 21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9_입장문_중앙일보 김준희 기자 [단독] ‘아미’가 기부한 패딩... 이용수.곽00 할머니 못 받았다 거짓보도
정의연은 지난 5월 11일 기자회견 이후 연일 쏟아지는 언론의 문제제기에 대해 설명 자료 배포를 통해 성실히 응대하기 위해 노력을 다했습니다.
하지만 중앙일보 김준희 기자는 해당 의혹에 대해 곽00 할머니의 양딸 이000씨의 통화를 근거로 사실관계 확인도 없이 기자윤리에 어긋나는 보도행태를 보였습니다.
해당 기사에 대해 사과와 함께 삭제하지 않으면 법적으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정의연은 2018년 12월 21일 조카 000씨와 간병인이 같이 있는 상황에서 곽00 할머니께 방탄소년단에 대한 설명과 함께 패딩을 전달해드렸습니다. 당일 전달과정은 내부 공유를 위해 촬영한 동영상에 담겨있습니다.
이용수 할머니께는 방문 전달이 어려워 2018년 12월 27일 택배 발송하였습니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중 병상에 누워계신 생존자를 제외한 피해자 16명에게 직접 또는 택배 발송을 하였음을 밝힙니다.
2020년 5월 19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9_입장문_안성 힐링센터 중간평가 / 김복동센터 / 미국 활동 지원 / 임대사무실 / 사업비 지출 / 마포 쉼터 이전 / 인건비 지급 / 김동희 계좌 운영 / 왜곡 보도
언론에서 공시 및 회계 관련 부분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설명자료와 5월 13일 수요시위에서 밝힌 것처럼 외부회계감사를 받기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니 감사결과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일부 언론에서 질문주신 “이사와 출연기업과의 관계 없음” 부분은 공시 기재 실수임을 회계사를 통해 확인하였고 위의 감사 결과에 따른 재공시 과정에서 수정반영하겠습니다.
안성 힐링센터 매각과 관련하여 “계약일자는 4월 23일이지만 주요 일간지에 보도된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일은 5월 7일 이었음에도 마치 기자회견 다음날 계약을 한 것으로 보도하는 등” 언론의 의혹을 부풀리는 방식의 보도에 대해 유감을 표명합니다.
1. 안성 힐링센터 중간평가결과 관련
어제 설명 자료를 준비하는 과정 중 언론에서 주로 추진과 매입과정에 대한 질문을 주었기에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을 담았습니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중간평가 관련 보도가 나오고 있어 우선 중간평가 결과 회계 처리 부분의 미숙했던 점에 사과드리며 관련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주요 경과> * 이전 경과에 대해서는 5월 18일 설명자료 참조
- 2013. 8.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기탁사업 배부신청서 제출”
- 2013. 9. 5.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전체 사업비 입금
- 2013. 10. 16. 계약완료, 소유권 이전
- 2013. 11. 25. 안성 힐링센터 개소식 개최 (할머니들, 현대중공업, 모금회, 동네주민 등 참석)
- 2014.~ 힐링센터 프로그램 사업 진행
- 2015. 7. 24. 중간결과보고서 제출 : 고령인 상황에서 이동 등 진행상 어려움으로 인해 2015. 6.까지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이후 관련 프로그램은 마포 쉼터에서 진행하고 있음을 중간결과보고서에 포함
- 2015. 9.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현장점검 및 중간평가 안성 힐링센터에서 개최, 관련 사업 진행이 원활히 되지 못하니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정대협에 요청
- 2015. 9. 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운영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진행사업 중지 정대협에 전달
- 2015. 10. 23. 정대협 실행위원회에서 힐링센터 관련 상황 논의를 진행하고 힐링센터 매매 등에 대한 토론
- 2015. 12. 3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문(지정배분-2015-10974) 통해 평가결과(사업:C, 회계:F)를 정대협에 통보하고 사업비 잔액 반납 요청함
- 2016. 1. 7. 정대협 이사회 논의를 통해 힐링센터 사업비 잔액 반납 결의
- 2016. 1. 8. 안성 힐링센터 사업지원금 집행잔액 반납
(집행잔액 : 120,392,850원. 이자 : 320,811원 총 120,713,661원)
※ 위의 상황에 대해 정대협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을 수신인으로 하여 “2012 현대중공업 지정기탁사업에 관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입장” 공문(정대협 2016-43, 2016. 10. 31.) 전달
- 이후 관련 매각 추진을 위한 노력을 진행하였고, 2020년 4월 23일 매매계약 추진에 이름
2. 김복동센터 추진 관련
- 정의연(정대협)은 2012년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 기자회견을 통해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 등의 뜻에 따라 설립된 ‘나비기금’ 사업으로 콩고민주공화국, 베트남, 우간다의 전쟁/분쟁 중 성폭력 생존자들을 정기적으로 지원하고, 그 외 지역의 생존자들을 일시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18년부터 정기지원을 시작한 우간다의 경우 1986년부터 2008년 무렵 내전이 종료되었으나 LRA 반군으로부터 성노예 피해를 겪은 피해자들이 많은 상황에서 내전 후반부에 지원활동을 벌였던 국제NGO들이 철수하였고, 내부 정치적 상황 등으로 인해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이 전무한 상황임을 2019년 2월 현지방문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 정의연은 열악한 상황에 쳐해 있는 우간다의 내전 성폭력 생존자를 위한 생존자를 위한 우간다 현지 쉼터 건립을 포함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운영위원회를 통해 논의하여 한편,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과 전시성폭력 재발방지를 위한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바, 유엔이 세계전시성폭력 추방의 날(2015년 채택)인 6월 19일에 맞춰 세계교사워크숍과 생존자들의 증언을 듣는 국제심포지엄을 2019년 6월 개최합니다.
- 우간다 현지에 우간다 내전 생존자 지원을 위한 우간다 쉼터 ‘김복동센터’ 건립을 6월 행사에서 공표하고 이용수 할머니께서도 함께 하시겠다는 의지를 밝힙니다.
- 우간다 김복동센터 건립을 위한 모금계좌를 공개하고 모금활동을 진행하는 한편 워낙 우간다 현지 파트너단체인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와 함께 협의하여 우선 건립을 위한 부지를 마련합니다. 부지는 10에이커 규모이며 매입비는 약 1,200만원이었습니다.
- 구체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2019년 11월 정의연은 현장방문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우간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면담과정에서 ‘일본’이라는 단어와 ‘김복동’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을 문제삼으며 쉼터건립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 등을 문제삼고 내전 성폭력 생존자이자 현지 단체의 대표의 피해사실 증언에 대한 신빙성을 제기하면서 신변에 위협을 가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 정부 면담 후 우간다 현지 단체 대표의 건강상황이 악화되고 현지 활동가들의 신변에 대한 위협이 계속됨에 따라 우간다 현지 단체의 요청에 따라 정의연은 논의를 통해 우간다 쉼터 ‘김복동센터’건립 사업 중단을 결정하고, 2019년 12월 운영위원회를 통해 상황을 보고하고 ‘김복동센터’를 우간다에서 미국 워싱턴 지역으로 변경하는 계획안을 논의합니다.
- 2020년 1월 운영위원회를 통해 우간다 매입 부지를 현지단체에 기부하는 것을 결정합니다.
- 2020년 1월 29일 1,424차 수요시위를 통해 정의연을 포함한 주요 추진단체들과 함께 미국 워싱턴 지역에 ‘김복동센터’ 건립을 공표합니다.
- 이후 센터 건립을 위해 미국 현지의 연대단체들과 논의를 통해 건립부지를 물색하고, 미국 김복동센터 운영을 위해 미국 현지에서 비영리법인(1023-EZ 2020. 2. 25.)을 설립하는 등 사업추진을 준비하였습니다.
- 2020년 2월 사업추진을 위해 미국 현지 방문을 추진하던 중 국내와 미국의 코로나 19 발생상황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부지물색 등은 중단되었고, 애초 계획했던 2020년 11월 25일 개소식은 무기한 연기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 김복동센터 건립목적으로 모아진 기부금 43,818,344원(2019년 결산기준)은 목적기금 <김복동센터기금>으로 적립되어 있습니다.
3. 피해자 할머니 미국 활동 지원 관련
- 언론에서 윤 前 대표 개인모금으로 피해자 해외 활동 모금을 진행했다고 보도된 건은 2014년 길원옥 할머니 유럽캠페인입니다. 유럽캠페인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서 공모한 프로젝트로 진행하였는데, 항고권 구입이 이코노미석 기준으로 책정되었기 때문에 항공료 등 추가적인 활동비가 필요하여 개인 모금을 하였습니다. 모금한 돈은 관련 사업비로 충당하였으며, 개인 모금 관련 부분은 이후 윤 前 대표 측에서 설명할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 또한 일부 언론에서 미국 캠페인 진행당시 미국 현지단체가 모금하여 비용을 충당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나 길원옥 할머니를 모시고 간 미국 캠페인에서는 정대협의 비용부담을 원칙으로 진행했습니다.
- 피해자들의 해외 캠페인 활동과 여러 인권회복 활동과정에서 소홀함이 있었다면 더욱 성찰하고 후원자들의 소중한 기부금이 목적에 맞게 집행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4. 정의연 임대사무실 전대차 계약 관련
- 2015년 1월 경 사업비기금으로 정대협은 전세로 현재의 정의연 사무실 공간으로 이전하고, 2015년 12월 28일 한일합의 발표 후 한국정부는 재단설립추진을 발표합니다. 정대협은 2016년 1월 실행이사회를 통해 2015한일합의 무효화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재단설립을 결의합니다.
- 2016년 1월 정의기억재단 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2016년 6월 9일 ‘정의기억재단’ 설립을 선포합니다. 2016년 10월 1일부터 별도의 사무처를 두고 ‘정의기억재단’운영을 시작하게 되면서 정대협의 사무실 공간을 분할하여 정의기억재단에 무상임대로 사무실공간을 제공합니다.
- 정의연의 주요사업 중 교육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방문교육을 위한 공간이 문제가 되어 현재 사무실 공간 바로 옆에 공실이 나와 정대협 사업비 기금으로 2018년 6월 추가 전세계약을 체결하게 되었습니다.
- 이 과정에서 전세권 설정기간이 만료된 현재 정의연 사무실(2015. 1. 정대협 전세계약)의 전세권과 2018년 6월 계약한 교육관에 대한 전세권 설정을 동시에 진행하게 됩니다.
5. 대표지급처 기재 사업비 지출 관련
- 5월 12일 설명 자료부터 반복적으로 질문이 들어와 다시 설명드립니다.
- 공시에 기재된 지급처는 수많은 지급처 중 한곳을 정해 대표지급처 한 곳만을 기재도록 되어있고 지출총액 역시 수많은 지급처에 제공된 사업비 총액이 기재되어 있는 것입니다.
- 설명자료에 충분히 소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언론에서 대표 지급처로 기재되어있는 개별업체 또는 단체에 연락을 취하고 있어 해당 업체 또는 단체의 활동에 피해를 주고 있는 상황임이 확인됩니다. 관련한 취재와 보도는 자제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6. 윤 前 대표 마포 쉼터 주소지 이전 관련
- 윤 前 대표 주소지 이전에 대해서는 5월 18일 설명자료에서 상세히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관련하여 별도 문의가 많아 다시 한 번 설명드립니다.
- 설명처럼 마포 쉼터는 ‘시설’이 아니라 피해자들의 ‘생활공동체’로 운영되었던 일반거주지입니다. 하여 시설장이나 동장 등이 사망신고를 할 수 있는 기관이 아닙니다.
- 이런 이유로 부득이하게 국민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쉼터 소장은 주소이전이 불가하여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2017년 4월 이순덕 할머니 별세 이후 이전을 진행하게 된 것입니다.
-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지만, 일부 언론에서 나오는 ‘위장전입’과 같은 개념으로 접근하여 말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7. 윤 前 대표 인건비 지급 관련
윤 前 대표는 정대협의 상임대표로 활동하다가 2017년 2월부터 정의기억재단의 상임이사로 활동하였습니다. 정의기억재단은 2017년 2월부터 정대협과의 통합선언을 하기 이전인 2018. 6. 까지, 윤 전 대표가 정대협 상임대표로 지급받은 월 급여액을 정대협과 일정 비율로 나누어 공동으로 부담하였고, 2018. 7. 이후에는 정의연(정의기억재단)만 부담하였습니다.
8. 정의기억재단 출범당시 김동희 당시 정대협 처장명의 계좌 운영 관련
- 2016년 1월 정대협 실행이사회 논의를 통해 정부가 추진한 재단 설립에 대응하기 위해 ‘정의기억재단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설립하고, 모급을 신속하게 진행하고자 김동희 당시 사무처장이 2016년 1월 15일 ‘김동희(정의기억재단)’ 명의의 예금계좌를 개설했습니다.
고유번호증 발급을 위한 절차도 별도로 진행하여 2016년 1월 22일 고유번호증을 발급받고 2016년 1월 26일 ‘일본군위안부정의와기억재단설립추진위원회’ 명의의 계좌를 개설했습니다.
- 설립추진위원회는 2016년 6월 12일까지 이미 공지된 김동희(정의기억재단) 명의의 계좌와 설립추진위원회 계좌로 모금을 진행하다가, 2016년 7월 13일 ‘김동희(정의기억재단)’ 계좌에 입금된 모금 총액 87,887,675원(2016년 1월 15일부터 7월 13일까지)을 2016년 7월 13일 위 설립추진위원회 계좌로 이전해서 통합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 2015한일합의 발표 이후 급박하게 대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세심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사과드립니다.
9. 정의연 현 상황에 대한 제 단체들의 연대 성명발표에 대한 왜곡 보도 관련
- 정의연, 정대협의 운동은 어느 한 개인 또는 사무처에 속한 활동가들이 만들어 온 운동이 아닙니다. 1990년 정대협 결성이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해 진행되어 온 운동의 과정은 김학순 할머니의 첫 증언 이후 이에 응답하는 국내외 시민들 그리고 시민단체들의 연대와 참여로 이어져 왔습니다.
-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모르는 혹은 외면하는 일부 언론에서 5월 11일부터 발표된 174개 단체 31개 성명에 대하여 ‘알고 보니 정의연 이사회 단체들’이라고 보도하며 30년 간 이어져 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운동의 역사를 지키고자 마음을 보낸 한국사회의 많은 시민사회단체의 연대 활동을 왜곡하여 많은 분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고 있습니다.
- 이러한 보도행태를 중단하여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
5.18_입장문_마포 쉼터•안성 힐링센터 시기중첩 / 안성 힐링센터 운영비•기부금 / 평화의우리집 관련 / 2019 홍보•국제연대 지출 / 2018 무퀘게
1. 마포 쉼터와 안성 힐링센터 시기중첩 등 관련
-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생활공동체로서 정대협은 2003년부터 서대문에 전세로 쉼터 <우리집>을 운영하였으나, 환경이 매우 열악하였고 재개발 등의 이유로 안정적인 쉼터 공간 마련이 필요했습니다.
- 2011년 김복동 할머니가 정몽준 전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도 박물관 옆에 집을 마련해서 아이들도 만나고 또 교육도 하고 우리도 쉬는 그런 곳을 만들면 좋겠다”고 서대문 쉼터 이전을 위한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 정몽준 전 의원측에 요청한 사항의 진행이 지체되면서 안정적인 쉼터 공간 마련이 급박한 상황에서 명성교회에 지원요청을 했고, 2012년 1월 1일 신년예배 시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는 지원을 공표합니다.
- 2012년 1월 말 명성교회에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며 쉼터 공간 물색을 진행하게 되었고 3월 명성교회측이 현재 마포 쉼터에 대한 계약을 진행하고 10월 22일 서대문에서 마포 쉼터로 이사를 진행하고, 비공개 쉼터로 피해자들의 공동거주공간으로서 기능을 하게 됩니다.
- 한편 현대중공업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한 기부절차를 계속 진행하였는데, 정대협은 마포에 쉼터가 마련되었지만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사업을 꼭 추진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주었습니다. 이에 정대협은 사업목적을 5월 17일 설명자료에 포함된 내용처럼 피해자들의 치유와 쉼, 네트워크 등으로 변경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기부 받게 됩니다.
- 박물관 건립과 함께 피해자들의 치유와 함께 박물관 연계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한 별도의 힐링센터 공간마련에 대한 논의가 정대협에서 진행되었던 상황이었기에 애초 염두에 두었던 박물관 인근에 위치한 공간을 매입하고자 했습니다.
- 하지만 10억원으로는 박물관 인근은 물론 서울시내에서 마땅한 공간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러한 상황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설명하였습니다.
- 이에 5월 17일 설명자료와 같은 사업목적과 부지기준을 선정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협의 후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건물을 매입하였고, 이후 상황에 대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보고하고 현재 매각절차를 진행중에 있는 것입니다.
2. 안성 힐링센터 2014년~2019년 운영비 지출 관련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직접 활동가들이 관리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정대협 당시 운영위원회 논의를 통해 윤 前 대표 부친이 관리를 맡게 된 것입니다.
운영비 사용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건비 7,742만7,470원, 관리비(전기세 수도세 재산세 등) 1,560만9,980원
3. 안성 힐링센터 기부금 관련
현재 정대협 공시에 근거하여 안성 힐링센터에 대한 후원금이 있었는가를 묻는 언론들이 있습니다. 안성 힐링센터에 대한 기부금은 없었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연대단체 대여에 따른 사용료 수입이 전부이며, 횟수도 연 5회~7회로 많지 않았습니다.
앞서 여러 차례 밝힌 것처럼 정의연(정대협)은 회계처리 오류, 공시 오류 등이 발생한 점에 대해 인정하였고, 이 부분에 대해선 외부회계감사 진행 이후 재공시 절차를 통해 바로잡도록 하겠습니다.
4. 마포 쉼터 ‘평화의우리집’ 운영 관련
비공개 시설로 할머니들의 생활공동체로 만들어진 마포 쉼터는 명성교회로부터 거주하는 할머니들 사망시까지 무상임대로 지원받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나눔의 집과 같은 노인보호요양시설이 아니라 해당 쉼터는 생활공동체로서 일반 주거지입니다.
현재 ‘평화의우리집’에는 길원옥 할머니 1분께서 거주하고 계십니다.
소장과 요양보호사 3인(주중1인, 저녁1인, 주말1인)이 24시간 돌봄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5. 윤미향 前 대표 마포 쉼터 ‘평화의우리집’ 주소지 이전 관련
2017년 4월 이순덕 할머니 사망 이후 《고인과 동거하고 있는 친족이거나 사망 장소를 관리하는 사람 등》이 사망신고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주민등록상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 두 분만의 주소가 쉼터로 되어 있어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여 주소지 이전에 대해 논의했고, 쉼터 소장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로서 주소를 이전할 수 없는 이유로 윤 前 대표가 주소를 이전하게 되었습니다.
6. 정의연 2019년 12월 홍보사업, 국제연대사업 외 215건 5,294만7,509원 지출 관련
5월 12일 정의연 설명 자료에 말씀드렸던 것처럼 12월 홍보사업, 국제연대사업 외의 지급처로 기재된 업체는 <대표지급처>로 기재된 곳이며, 해당 지출은 아래의 영상제작을 포함하여 기지촌여성인권연대 활동, 미주지역 캠페인사업 등 총215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9년 하반기 ‘반일종족주의’ 출간 이후 유튜브와 온라인 상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에 대한 역사왜곡이 확대 재생산 되는 상황에서 대응의 시급성이 있어 8편의 영상 기획, 제작을 진행하여 게시하였고, 총 지급비용은 650만원입니다.
7. 정의연 2018년 결산공시 무퀘게 재단 지급 관련
5월 12일 설명자료에 말씀드린 것과 같이 무퀘게재단이 <대표지급처>로 기재된 것으로 유엔 대응활동과 국내외 연대활동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사업에 지출된 총액입니다. 이미 5월 12일 대표지급처 부분에 대해 설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언론에서 대표지급처인 무퀘게 재단에 모든 지출 총액이 지급된 것처럼 보도되고 있는 점에 유감을 표명합니다.
2020년 5월 1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8_입장문_경기도 안성 힐링센터 부지 3곳
어제 5.17 경기도 안성 힐링센터 매입 등 관련 정의연 설명자료에 나온 최종 선정부지 3곳(강화도 1곳,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1곳,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1곳)에 대한 부지정보에 대한 문의가 많아 부지정보를 공개합니다. 해당 정보는 2013년 6월 정대협 긴급 실행이사회에 보고된 자료이며, 공인중개사를 통해 제공받은 자료임을 알립니다.
언론요청에 성실히 응하기 위해 제공되는 자료입니다. 사유지임을 감안하여 해당 부지 소유자에 대한 추가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시길 당부 드립니다.
추가 설명 자료는 금일 5시경 배포될 예정입니다.
<당시 제공받은 3곳의 정보>
1. 강화도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선두리 404
- 면적
대지면적 1,010㎡(305.525평)/ 연면적 189.85㎡(57.4평)
- 건축물 현황 : 면적 149.01㎡(45.10평) - 목조건물
지상1층 - 145.13㎡(43.9평) / 지상2층 - 44.72㎡(13.5평)
- 지역 : 관리지역
- 매매가 : 7억 (공시지가 105,000원)
- 허가일자 09년8월 28일 / 착공일자 09년 10월 10일 / 사용승인일자 08년 11월 21일
- 교통상황 : 박물관에서 1시간 20분 소요, 강화도 초지대교에서 10분 거리
- 부지 정보 : 동네 주택가, 마당조경이 잘 꾸며져 있어, 부지는 넓으나 조경이 되어 있어, 이외 다른 건물의 증축은 어려워 보임. 내부인테리어는 최고급을 사용하였으나 1층 방이 1개이며, 2층은 작은 방이 3개 있으나 많이 협소함.
2.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 133-12외 8필지
- 면적 : 총 4,535㎡(1,371평)
주택(714평) : 대지 1,727㎡(522평) 133-12번지 / 임야 633㎡(191평) 133-13번지
토지(508.5평) : 임야 1,541㎡(466평), 140㎡(42평)
도로(149.4평) : 도로 8㎡(2.4평), 100㎡(30평), 102㎡(30.8평), 115㎡(34.7평), 169㎡(51.1평)
- 건축물 현황 : 면적 209.11㎡(평) - 목조건물
지상1층 - 170.51㎡(51평) / 부속건물(보일러실) - 33.6㎡(10평)
- 지역 : 자연녹지지역
- 매매가 : 9억 (원 금액 10억, 부동산 조정)
공시지가 58,500원(대지), 12,300원(임야), 29,700원(도로)
- 허가일자 06년8월 25일 / 착공일자 09년 9월 3일 / 사용승인일자 12년 8월 07일
- 교통상황 : 박물관에서 1시간 30분 소요, 일죽IC에서 5분 거리
- 부지 정보 : 주택이 산으로 올라가는 도로 끝지점에 있음. 뒤편에는 작은 야산이 있으며, 야산 절반까지가 주택의 소유임. 주택이 1층이며, 각 방별로 붙박이장이 있음. 주택 아래 밭은 건축이 가능한 대지가 있음.
3.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441-3
- 면적
대지면적 800㎡(242평)/ 연면적 195.98㎡(59.3평)
- 건축물 현황 : 면적 159.78㎡(48평) - 스틸 하우스 구조,
지상1층 - 156.03㎡(47.03평) / 지상2층 - 39.95㎡(12평)
- 지역 : 보전관리지역
- 매매가 : 7억5천 (공시지가 55,600원)
- 허가일자 10년8월 27일 / 착공일자 10년 09월 03일 / 사용승인일자 11년 07월 22일
- 교통상황 : 박물관에서 2시간 소요
- 부지 정보 : 부지 내 냇가가 있으며, 이는 토지에는 포함되지 않는 국유지임. 외부 경치는 3곳 중에 가장 나음. 안성시내 스틸하우스 제작업자가 자가주택으로 건축하였으나, 사업상의 어려움으로 매매함. 매매를 목적으로 현재까지 내부 바닥공사 및 화장실 공사, 보일러 등은 진행하지 않았고 매매자의 맞춤으로 진행이 가능함. 도보 5분 거리에 안성까지 운행하는 버스정류장이 있고 등산객들을 위한 편의점이 있음.
2020년 5월 18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7_입장문_경기도 안성 힐링센터 매입 등 관련
1. 왜 서울에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안성에 힐링센터를 매입했나
- 정대협은 건물매입을 위해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인근의 주택을 알아보았으나, 10억 예산(2012.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부지 주택 매입가 15억)으로 구입할 수 없었고, 박물관 인근의 건물주 역시 건물 매도에 대한 의사가 없었음을 확인했습니다.
- 해당 상황은 정대협 긴급 실행이사회(2013. 4. 26.)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보고되었습니다. 모금회는 사업이 서울지역에만 국한하지 않으며 계속 진행되기를 희망하였습니다. 이에 실행이사회에서는 (피해자 할머니들의 피해후유증을 치유하고 공동체 프로그램을 통해 외로움과 고립감을 서로 나눔으로써 극복, 피해자들과 젊은세대, 국내외 활동가들의 만남/연대의 장을 제공하여 세대를 넘나드는 네트워크 형성 등의 사용목적을 갖고) 다음과 같이 의결하였습니다.
<부지선정 기준>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지대금이 10억으로 책정되어 있는 관계로 부지 내 건물은 수리를 하지 않고도 들어갈 수 있는 만큼의 허가받은 지 얼마 안 되는 건물 중심으로 서울 외 지역 포함 진행
2) 대지는 300평 이상으로, 건축물은 40평이상
3) 단체 20 여명 정도가 숙박할 수 있는 건물
- 이후 정대협은 이 기준에 따라 부지선정을 위해 강화도 8곳, 경기도 용인 4곳, 경기도 안성 5곳을 부동산 관계자들과 답사를 진행했고, 2013. 6. 11. 다시 실행 이사회를 개최하여 답사한 부지 중 최종 선정된 3곳(강화도 1곳,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1곳,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1곳)에 대해 보고하였고, 최종적으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주택>을 후보지로 선정했습니다.
- 이에 대해 정대협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기부처인 현대중공업에 이와 관련한 내용을 송부했습니다.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주택 선정이유
① 접근성 : 힐링센터 후보지는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자연친화적인 공간이면서도 버스정류장과 도보로 5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용이함
② 공간성 : 대지면적 242평, 건축연면적 80평으로 여타 지역의 주택보다는 큰 평수로써 20여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임
③ 효율성(에너지절감) : 2011년 사용승인을 받은 후보지는 스틸하우스로 건축되어 자연친화적이며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는 공법을 사용한 관계로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음
④ 친환경성 : 친환경적 소재를 사용하여 시공함
⑤ 공간활용성 : 사용허가는 받았으나 실제 거주하지 않고 있어 힐링센터에 맞게 내부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용이함
2. 현지 시세보다 비싸게 매입했나
힐링센터 세부정보
· 대지면적 : 800㎡(242평) + 도로점용부분 약 40평
· 건물규모 : 지상2층, 외부창고
· 건축물 대상 건축연면적 : 195.98㎡(59.3평)
· 실건축 연면적 : 본동 264.25㎡(80평) + 외부창고 23.14㎡(7평)
면적(㎡/평)
공간 구조
1층
185.08㎡/56.08평
현관입구2개, 거실, 방 3개, 주방, 다용도실, 화장실 3개,
보일러실, 창고
2층
79.17㎡/23.68평
방3개, 화장실1개
· 건폐율 : 19.97% / 용적율 : 24.5%
· 건축구조 : 스틸스터드 프레임 하우스
· 외부마감 : 치장벽돌(수퍼샤론스톤)
· 지붕마감 : 금속기와
· 지붕재 : OSB 합판지붕
· 시공 : 금호스틸하우스
· 허가일자 2010. 8. 27, 착공일자 2010. 9. 3, 사용승인일자 2011. 7. 22
· 원 건물주 제공 자료 “건축비 3.3㎡(1평당) 600만원”
최종적으로 매매가 7억 5천만원으로 매입함.
※ 최종 3곳의 후보지 답사를 통해 유사한 조건의 건축물의 매매시세가 7~9억임을 확인하여 실행 이사회에 보고함.
3. 압류 상황 관련
· 2013. 6. 11. 등기부등본상 압류에 대한 사항이 없음을 확인함
· 2013. 9. 12. 1차 계약 체결
· 2013. 10. 16. 계약완료 및 소유권이전등기 완료
제기되고 있는 압류관련 사항(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압류)은 계약체결 이전과 계약체결 당시 확인한 등기부등본상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압류등기 시점은 최종계약 완료 3일 전인 2013. 10. 8. 이었고 3일 뒤인 2013. 10. 11. 해제되었습니다.
4. 지인건물 매입 관련
원 건물주는 보도와 같이 안성신문 운영위원은 맞으며, 힐링센터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윤 前 대표 남편의 지인인 안성신문 사장에게 소개를 받은 것은 사실이나 1.의 설명과 같이 안성은 힐링센터 예정지 여러 곳 중 한 곳이었으며, 원 건물주는 2013. 6. 예정지 답사 과정 중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5. 힐링센터 구입 후 1억 상당의 인테리어 공사 관련
위 건물을 매수한 뒤 피해자의 쉼과 치유 등 목적에 따른 사업 진행을 위하여 추가 인테리어 공사와 물품 등을 구입하였으며, 건물 매입에 소요된 총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공사비(가스연결,CCTV설치,전기증설,관리목적컨테이너설치,벽난로설치) :
34,7550,00원
2) 물품구입비(냉난방기,청소기,빔프로젝트 등) : 14,361,700원
3) 소모품비(침구,주방기기,블라인드,싱크대,식기 등) : 29,377,500원
4) 주택매입비 : 750,000,000원
5) 매입세금 : 35,655,570원
6) 초기 운영비(난방비,개소식진행비 등) : 3,291,800원
---
5.16_입장문_안성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이하 힐링센터) 관련
1. 사업목적과 활용 내용, 매각 절차에 관해
2013년 8월 28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정대협이 제출한 ‘정기기탁 사업 배분신청서’에 명시된 ‘힐링 센터’ 사업목적, 매입 후 5개년 활용방안, 장기 활용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목적
1. 편안한 안식처로 느낄 수 있도록 쉼의 공간으로 제공
2.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위안부' 후유증을 치유하고, 공동체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노인으로서 갖기 쉬운 외로움, 고립감을 서로 나눔으로써 극복
3.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과 젊은 세대들의 만남, 연대의 장을 제공하여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한 '세대를 넘나드는 네트워크 형성'을 도모
❍ 5개년 활용방안

❍ 장기 활용방안
1. 교육 프로그램 운영
․평화 프로그램 - 중고생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본군‘위안부’문제까지 아우르는 평화 관련 단기(1박2일) 워크샾을 개발하고 힐링센터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치유 프로그램 - 성폭력 관련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삶과 활동을 소개하여 자긍심과 임파워먼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 해외 활동가 프로그램 운영
한국을 방문한 해외 활동가들에게 일본군‘위안부’문제, 생존자들의 활동, 한국의 여성폭력방지를 위한 활동 등 전반적인 활동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제시했듯, 힐링센터는 할머니들의 쉼과 치유라는 주 목적 이외에, 일본군‘위안부’의 문제를 알리고 인권과 평화가치 확산을 위한 미래세대의 교육과 활동지원의 공간이기도 하였습니다. 기지촌할머니와의 만남의 장, 정대협자원활동가와함께하는 모임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수요시위 참가, 증언활동 등 할머니들의 활동이 지속되고 있어 사실상 안성에 상시 거주가 어려웠습니다. 기타 사업 또한 사무처 인력으로 진행하기 어려워 목적에 따른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모금회와 협의를 통해 사업중단을 결정하고 논의를 진행해 2016년 이후부터 매각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현재 반납절차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변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의 요인으로 매각이 이루어지지 않던 중, 2020년 4월 23일에서야 매매를 위한 계약체결이 이루어지고 이를 모금회에 유선으로 보고하였습니다.
사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다만 매각과 관련,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성실하게 협의하였음을 밝힙니다.
2. 매매과정과 매입금, 매각금의 차이에 대해
힐링센터건물(신축) 매입은 당시 형성된 시세대로 구입하였습니다. 오랫동안 주변 부동산업소 등에 건물을 내놓았으나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시간이 흐르면서 건물가치의 하락과 주변 부동산 가격의 변화로 현재의 시세로 결정되었습니다. 매도계약은 현지 부동산 공인중개사를 통해 이루졌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기부금에 손실이 발생하게 된 점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3. 힐링센터 관리인에 대해
힐링센터에는 사람이 상주하지 않아 관리 소홀의 우려가 있었습니다. 건물의 일상적 관리를 위해 교회 사택 관리사 경험이 있던 윤미향 전 정대협대표의 부친께 건물관리 요청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이에 윤 전 대표의 부친은 부득이 근무하던 식품공장을 그만두고 힐링센터 뒷마당 한 켠에 마련된 작은 컨테이너 공간에 머물며 수원에 있는 본인의 집을 오가며 최근까지 성실하게 건물관리를 맡아주셨습니다. 주・야간 경비와 건물관리, 청소는 물론 시설수리, 정원관리 등을 모두 도맡아 주셨습니다.
정대협은 이러한 일을 맡아주신 윤 전대표 부친에게 관리비와 인건비 명목으로 2014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기본급과 수당을 합해 월 120만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이후 사업운영이 매우 저조해지기 시작한 2018년 7월부터 2020년 4월까지는 관리비 명목으로 월 50만원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친인척을 관리인으로 지정한 점은 사려 깊지 못했다고 생각하며 사과드립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2020년 5월 16일
---
5.16_입장문_김복동 할머니 장례식 / 정대협·정의연 법인 운영 / 류석춘 교수 고소장 / 국고보조금 2016~2018 0원 기재
1) 김복동 할머니 장례식 진행관련
조의금 수입은 2억 2,726만520원으로, 내역은 빈소방문 조의금, 계좌이체 조의금과 여성가족부 장례지원비 300만원, 서울시장례지원 100만원 등입니다.
조의금은 노제를 포함한 장례비 일체에 9,703만6,400원이 사용되었고, 김복동 할머니 49재와 김복동 유지 계승활동비로 1억650만원이 사용되었습니다.
김복동 유지 계승활동비는 장례위원회와 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11개 시민사회단체 후원금으로 2,200만원(2020년 2월 3일 기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자녀(25명)를 위한 김복동 장학금으로 5,000만원 (2020년 4월 17일 수요시위 시상식 진행) 등이 전달되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 기록집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 참조 (정의연 홈페이지 게시)
2) 정대협과 정의연 법인 운영 관련
① ‘정대협’과 2015한일합의 무효화를 위해 설립된 ‘정의기억재단(현 정의연)’은 운영목적과 활동이 중첩되어 운영되었습니다.
② 한국정부의 2015한일합의에 대한 입장표명 등 객관적인 조건이 변화되었고 중첩운영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정대협은 2018년 2월 13일 대표자회의(정기총회)에서 《정의기억재단과 조직 통합운영 안건》을 상정, 논의하였고 이를 승인하여 이후 두 차례의 임시총회와 실행이사회를 거쳐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을 확정하고 조직통합을 준비했습니다.
③ 정의기억재단은 2018년 2월 1차 이사회를 통해 조직통합운영을 승인하고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을 확정하였습니다.
④ 이후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은 3회(2018. 3. 2., 5. 1. 5. 24)에 걸쳐 통합추진위원회 회의를 진행합니다.
⑤ 정대협은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대협 해산의 행정적인 진행절차에서 나설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었고, 2018년 정대협 2차 임시총회(2018. 5. 23.)에서 ‘정대협을 행정적으로 해산하지 않는다’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⑥ 정의기억재단은 2018년 5월 24일 2차 이사회를 통해 정대협과 통합운영에 따른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로의 명칭변경 등을 포함한 정관변경을 승인하였습니다.
⑦ 2018년 7월 11일 정의기억연대 1차 이사회를 개최하고,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의 실질적인 사무처 통합운영, 조직개편과 사업계획을 의결하고 사무처를 통합운영하게 되었으며, 정대협의 운영과 관련한 사항은 정의연 이사회에 위임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⑧ 통합이후 정대협의 정기후원회원을 정의연으로 이전하기 위해 후원회원들과 정의연으로의 통합결정 이전에 게시되어있던 정대협 후원계좌를 통해 후원을 이어가는 분들에 대한 후원 이전 동의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이메일, 문자 등을 통해 진행하였으나, 이전이 완전히 완료되지 못하였습니다 .
⑨ 이후 정의연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안정적인 운영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박물관 운영법인 설립의 필요성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2019년 12월 운영위원회를 통해 《정대협의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운영법인화》를 결정하고, 정관 변경 등 관련절차를 완료하여 2020년 4월 정대협 관리감독 기관인 외교부에 이를 보고하고 승인받았습니다.
3) 류석춘 교수 고소장 관련 내용
2019년 9월,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류석춘 교수의 발전사회학 수업 중 《1) 정대협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조종하여 허위사실을 증언하도록 하였다 2) 정대협 핵심간부들이 통진당 간부이고 대한민국을 망가뜨리려고 하는 단체이며, 순수한 단체가 아니고 북한을 추종하는 단체이다 3) 할머니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정대협에 알량한 정의감으로 달라붙어 사회정의를 이루겠다고 난리치는 데 한심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직접 당사자만 소송제기가 가능하여 행정적으로 법인설립증이 유효한 정대협 명의로 고소고발진행)는 2019년 10월 1일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류석춘 교수를 형법 제307조(명예훼손)과 제311조 모욕으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해당사건은 2020년 4월 1일 경찰조사를 거쳐 제307조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되었습니다.
4) 국고보조금 공시 최종사업비용 중 2016~2018 보조금 항목 0원 기재
일본군'위안부'관련 공모사업 보조금은 별도의 전용계좌(‘e 나라도움’예탁금 형식 또는 지급)로 수령과 사용이 이루어집니다. 사용하고 남은 금액은 그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까지 포함해서 공모사업 시행기관에 반환하며, 수입지출에 대한 관리와 결과보고는 사업종료 후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보조금법)》에 따라 3억 이상의 공모사업에 대해서는 별도의 회계감사를 진행하여 최종보고서를 공모사업 시행기관에 제출합니다.
공모사업 시행기관의 사업을 정의연이 대신 수행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위의 보조금은 정의연의 수입지출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정의연의 수입.지출견산서에 수입과 지출에 포함시키지 못하였으나, 후에 이러한 방식의 보조금 사업 집행내역도 정의연의 회계처리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여 2019년부터 결산에 반영하게 된 것입니다. 2016년의 경우 정의연이 수행한 공모사업이 없었으며, 2017~2018년 보조금 수입 0원 기재는 정의연의 회계처리 오류로서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회계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일부 언론에서 질문하신 정의연 국고보조금 사업으로 제기한 《2017~2018 전시성폭력실태조사, 학술행사홍보 및 국제협력활동 공모 8,500만원, 피해자지원법 제5조의 2에 의거한 여가부 운영비용 지원금 사업 2017 (마포쉼터)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보호시설 운영비 지원 1,500만원》 은 정대협이 수행한 사업이며, 위의 이유와 같은 회계처리 오류로서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회계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도록 하겠습니다.
---
5.15_입장문_회계 관련 의혹들에 대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기억연대)는 ‘한국공인회계사회’로부터 추천받은 회계기관으로부터 객관적인 회계검증을 받겠습니다.
- 정의기억연대는 지난 수요시위에서 밝혔듯, 최근 언론이 무차별 제기하고 있는 회계 관련 의혹들에 대해 외부 회계검증을 통해 그 투명성을 검증받고자 합니다.
- 감사기관 선정 절차에서부터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회계기관을 정의기억연대가 지정하지 않고 ‘한국공인회계사회’로부터 추천받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5월 15일 정의기억연대는 한국공인회계사회에 공익법인 감사 회계기관 추천 요청 공문을 발송하였습니다.
- 공시입력이나 회계처리 오류에 대한 지적은 겸허히 받아들이며, 회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겠습니다. 그러나 사실관계에 기초하지 않은 ‘개인 횡령 의혹’ 등 악의적인 보도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겠습니다.
-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의기억연대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용기 있는 증언과 활동으로 시작된 30년 운동의 과정을 다시 한 번 성찰하고, 여러분들과 함께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회복,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0년 5월 1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5_입장문_언론보도에 대한 정의기억연대 설명자료
1. 지금까지 저희 단체가 언론이 제기한 의혹에 대하여 해명하였지만 계속해서 말도 안되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공익법인을 전문으로 하는 회계 기관을 통해 검증을 받으려고 합니다. 공인된 기관의 추천을 받아 진행하고자 합니다.
2. 국가보조금 관련
저희의 결산자료에 국고보조금은 최종 사업비용을 수익과 비용으로 작성 처리하고 있습니다. 여가부 보조금사업은 여가부가 정한 절차에 따라 회계처리하며 외부 회계감사를 진행하여 이를 여성가족부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3. 곽예남 할머니 장례 관련
정의연은 곽예남할머니의 부고소식을 유가족이 아니라 여성가족부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즉시 할머니의 조문보를 만들고 조문하였으며, 장례기간 내내 정의연실무자들이 장례식장과 이후 추모회는 물론 입관시까지 동행하였습니다. 장례비는 여성가족부 별도 지원기준이 있으며 그 사업을 집행하는 정의연은 그 기준에 따라 유가족에게 장례비를 지원하였습니다.
4. 정대협 쉼터 관련
정대협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부터 지정기부받은 쉼터자산은 주무관청에 보고되고 있습니다. 쉼터는 그 사업의 목적이 종료되거나 더 이상 사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협의하여 반납하거나 재지정할 수 있습니다.
정대협 쉼터 매각의 필요성은 2~3년 전부터 제기되어 내부논의를 꾸준히 진행해 온 사항으로 적합한 의사결정과정을 거쳐 현재 매매계약 체결단계에 있습니다. 이 사안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도 충분한 협의를 거쳐서 진행해 왔습니다.
5. 제무재표 상 2018년과 2019년 수요시위 사업비용 차이 관련
수요시위는 연초에 1년 사업비용(무대.음향비용)이 집행됩니다. 2018년에는 정대협에서 집행되었기에 발생한 차액입니다.
2020년 5월 15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4_입장문_언론보도에 대한 정의연 설명자료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입니다.
어제 개최된 제1,439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온라인 수요시위에 2,500여명이 넘는 시민들께서 온라인으로 함께 참여하셔서 정의연이 30년 동안 만들어 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운동에 많은 지지와 연대를 보여주셨습니다.
하지만 일본군성노예제의 역사적 진실을 부정하고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를 훼손하는 상황이 무분별한 일부 언론보도 등을 통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언론보도 중 정의연에서 답변을 드릴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붙임과 같이 설명을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붙임>
1. 2019년 김복동 할머니 장례 조의금 윤미향 前 대표 계좌사용 관련
2019년 1월 28일 여성인권운동가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께서 영면에 드셨습니다. 정의연과 노동,시민,여성단체 대표 등으로 시민장례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윤미향 前 대표는 喪主의 자격으로 장례를 치렀습니다.
정의연은 1월 29일 오전 빈소를 마련하고 시민장례위원 모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통상 다른 단체들이 진행하는 것처럼 조의금을 받기 위한 喪主의 계좌를 공개한 것입니다. 시민들은 직접 빈소를 찾아 조의금을 전달하거나 계좌이체를 통해 조의금을 전달하였습니다.
그렇게 喪主의 계좌로 모금된 조의금으로 발인 당일 노제를 포함한 모든 장례를 치르고, 5월 11일 기자회견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남은 조의금에 대해서는 평소 고인의 뜻에 따라 시민단체기부와 장학금전달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정의연 홈페이지에 게시되어있는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 기록집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김복동 할머니 장례조의금과 2018년 안점순 할머니 조의금(상임장례위원장이었음)은, 금원의 성격상 기부금으로 볼 수 없고, 모금된 금액도 1000만원 미만이므로 기부금품법 위반 문제가 없습니다.
2. 이용수 할머니 인터뷰관련
5월 7일 입장문과 5월 11일 기자회견에서 공개된 입장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동지로 30년의 세월을 같이 보냈던 윤미향 前 대표가 곁에 있지 않는 상황에 대한 서운함과 상실감, 문제해결을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하라는 말씀으로 이해합니다.
정의연은 문제해결을 위해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우리 문제를 알아줬으면 좋겠어요.”라고 말씀하셨던 세상을 떠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강덕경 할머니의 말씀처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역사적 진실을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활동하겠습니다.
2020년 5월 14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5.13_입장문_1439차 수요시위에서 발표한 정의연 입장과 언론질의에 대하여
2020년 5월 11일(월) 기자회견 이후에도 일부 언론에서 제기하고 있는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 관련 ‘의혹’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정의연에서 개인적 자금 횡령이나 불법 유용은 절대 없습니다.
매년 변호사와 공인회계사로부터 회계 감사를 받아왔으며 매번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받아왔습니다.
국세청 시스템의 공시 입력 과정에서의 일부 실수에 대해서는, 국세청 재공시 명령에 따라 바로잡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정의연은 우리의 투명성을 다시 한번 증명하고, 악의적 왜곡 보도에 대한 정면 대응을 위해 공신력 있는 외부 공인회계사들에게 기부금 사용 내역에 검증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과 관련된 불필요한 의혹들을 해소하겠습니다.
정의연은 기부금 사용에 있어서 불법적인 유용이나 횡령이 없었음을 다시 한 번 명확히 말씀드립니다.
시민들께 호소드립니다.
현재 정의연을 향해 이루어지고 있는 일부 언론의 악의적 왜곡 보도는 인권·평화·여성단체들에 대한 탄압이며 시민 사회 전반에 대한 탄압이며,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종결 시도입니다.
우리는 반민족·반인권·수구·적폐 세력과 일부 매국 언론에 똑똑히 경고합니다.
이 자리에서 30여 년간 이어온 할머니들과 활동가들의 진정성 있는 헌신과 끈끈한 연대를 훼손하려 하지 마십시오.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이 장소, 눈이 오나 비가 오나 29년간 지켜졌던 수요시위, 평화와 인간 존엄을 바라던 할머니들의 가르침, 그리고 우리의 역사를 지키기 위해, 정의연은 더욱 크게 연대하여 행동할 것입니다.
시민들은 함께 행동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20년 5월 13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위한 정의기억연대
5.13_입장문_언론질의에 대한 설명자료
1. 서울시 조성 기억의 터 조형물에 설치된 피해자 247명에 대하여
당시 한국정부에 등록된 일본군‘위안부’피해자와 중국에 거주하시던 피해자들 중 국적회복이 되지 못해 한국정부에 피해자로 등록되지 못한 피해자들, 그리고 피해사실을 공개하고 활동하였으나 피해자 지원법이 제정되기 이전에 사망하셔서 피해자등록이 되지 못한 분을 포함해여 산정한 인원입니다.
2. 국세청 공시 자료 중 태양상조 1,174만원 지출 관련
5월 11일자 정의연에서 제공한 설명처럼 대표지급처 1곳을 기재해야 하는 사유로 태양상조를 지급처로 기재한 것입니다. 따라서 1,174만원 모두가 태양상조로 지급된 것이 아닙니다.
태양상조는 오래전부터 할머니들이 돌아가셨을 때 장례절차를 성심껏 대행해 왔고, 장례비용중 일부를 매 장례식마다 기부하였습니다. 기부 항목은 의전 및 입관용품, 수의 등에 해당합니다.
기부는 이 비용을 태양상조가 정의연에 무상 제공하는 방식이었으며, 따라서 정의연은 태양상조에 이 금액에 해당하는 기부를 지정기부 수입으로 처리하고, 회계처리 방식에 따라 다시 장례지원 지출로 처리하였습니다.
국세청 공시에는 현금과 물품의 금액을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되어있었으나 입력하는 과정에서 물품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것을 현금으로 묶어서 잘못 처리하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3. 정의연(정대협) 신문 편집 디자인 업체 관련
정의연은 1년에 한 번씩 창립월인 11월에 그 해의 활동을 보고하는 신문을 발행합니다. 2019년 정의연은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수원시민신문을 포함하여 4개 업체에 견적을 확인하였고, 최저금액을 제시한 수원시민신문에 신문 편집.디자인을 맡긴 것입니다.
4. 공시자료에 있는 안점순 할머니 4억 7천여만원의 회계처리 관련하여
5월 11일자 정의연에서 제공한 설명처럼 대표지급처 1곳을 기재해야 하는 사유로 안점순 할머니를 지급처로 기재한 것이며, 해당 비용은 안점순 할머니에게 지급된 병원비용을 포함한 정의연에서 진행한 사업비 지출총액입니다.
---
5.12_입장문_현 상황에 대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입장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과 함께 만들어 온 30년 정의실현 운동의 역사를 훼손하고,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를 훼손하며 악의적 왜곡을 조장하는 세력에 맞서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힙니다.
어제(5월 11일) 정의연은 기자회견을 개최해 실체 없는 의혹 제기와 허위·왜곡보도를 바로 잡고자 구체적인 사업 내용과 재정지출 내역 등 명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해 드린 바 있습니다.
하지만 조선을 필두로 한 중앙, 동아, 한경 등 일부 언론은 기자회견에서 충분히 설명된 내용조차 맥락을 삭제한 채, 또 다시 왜곡하거나 각색해 보도함으로써 정의연에 마치 심각한 도덕적 문제가 있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굴욕적인 ‘2015 한일합의’의 기만적 추진과정에 가장 큰 책임자인 박근혜 정권 하 관료들의 제보를 인용해, 피해자와 활동가들의 분열을 획책하고 있습니다. 해당 보도는 피해자 명절, 어버이날 등 ‘의례적인 방문’과 ‘진전 없다’는 성의 없는 답변밖에 듣지 못했던 정부의 의견수렴 과정 생략에 항의하고자 정의연(정대협)이 요청했던 면담을, ‘15회에 걸친 피해자 의견수렴’으로 호도하며 윤미향 전 대표를 거짓말쟁이로 몰아 본인들의 책임을 전가하고 있습니다.
정의연은 5월 11일, 기자회견 이후 해당 보도에 대한 정정보도와 왜곡보도 중단을 요청하는 입장을 두 차례에 걸쳐 밝혔지만, 일부 언론의 문제적인 보도행태는 그 도를 넘어 ‘술값,’ ‘기부금 사용 의혹’ 등 추가적인 허위사실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습니다.
정의연은 이러한 언론행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으며, 명명백백한 진실규명을 통해 사실을 바로잡고자 합니다(<붙임자료> 참고).
정의연은 현 상황에 대해 피해자의 증언을 흠집 내고 일본군성노예제의 역사적 진실을 부정하는 국내외 세력과 이미 진실이 밝혀진 굴욕적인 ‘2015한일합의’의 주역들인 적폐세력이 30년 운동의 회한이 담긴 피해자의 ‘말’을 의도적으로 악용해 ‘진실공방’으로 사태의 본질을 호도하여, 정의연과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30년 운동을 무력화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는 인권운동 전체에 대한 탄압으로 규정합니다.
1990년 11월 16일 37개 여성단체의 힘으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결성 된 이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진실을 규명하고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해 노력해 온 정의연은, 지금까지 가해국 일본정부의 범죄부정과 역사왜곡, 이에 동조하는 국내외의 극우·역사수정주의자들의 방해와 공격으로 단 하루도 편안한 날이 없었습니다.
피해자들이 한 분이라도 더 생존해 계실 때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가해국 일본정부에 책임이행과 진실규명을 촉구하는 운동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피해자의 명예와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몰역사적이고 반인권적인 집단에 맞서며 고단한 싸움의 시간을 보내야 했습니다.
최근에는 식민지 지배책임과 전쟁책임, 일본군‘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일본의 역사수정주의자들과 공명하는 국내 연구자들과 극우세력들은 피해자들의 증언을 부정하며 인권을 침해하고 운동을 폄훼해 왔으며, 급기야 인권과 평화의 장, 세대연대의 장으로 29년째 운영되고 있는 수요시위 현장에 나와 방해와 비방을 일삼으며 중단을 요구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습니다.
정의연은 이들의 행태와 공명하는 현 상황을 엄중하게 직시하고 있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연은, 때로는 ‘지지’로 때로는 ‘꾸짖음’으로 지난 30년 운동을 만들고 지키며 성장시켜 왔던 국내외 시민들의 연대와 지지를 마음속에 깊이 새기며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회복을 최우선에 두고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입니다.
2020년 5월 12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붙임자료>
1) 『단독, 하룻밤 3,300만원 사용 정의연의 수상한 술값』 보도 등 기부금품 지출명세서 지급처와 수혜인원 표기 관련
정의연은 매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_의무공시』를 국세청에 제출합니다.
기부금품의 모집 및 지출 명세서 2. 기부금품 지출 명세서 표는 ①(대표)지급처명(성명/단체명) ②주민등록번호(사업자등록번호) ③지출목적 ④수혜인원(단체)수 ⑤지출액 등을 기록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 중 해당표 ①과 ②에는 대표적인 지급처 한 곳(명)만을 기록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해당보도에 나온 3,300만원은 50개 지급처에 지급된 모금사업비 지출 총액이고, 사업비 지출금액이 가장 큰 후원의 밤 사업비용(9,654,000원) 지급처인 디오브루잉주식회사를 (대표)지급처명으로 입력한 것입니다.
기부금품의 지출명세서 구분 코드는 수혜자(단체)에 지출하는 11(장학), 12(학술), 13(사회복지), 14(문화), 15(기타)와 각종경비로 지출되는 31(인건비), 32(임대료), 33(기타)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정의연 사업 중 코드 특정이 가능한 장학사업을 제외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정의연의 모든 사업비용 지출은 33(기타)에 해당합니다. 위의 경우와 같이 수혜인원 9999명 기재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비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식입니다.
2) 『22억원 증발 정의연 회계처리 오류』 보도 관련
이는 회계처리의 오류가 아니라 회계감사를 마친 회계자료를 국세청 공시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이 발생한 것입니다. 국세청도 밝힌 것처럼 의도적 누락은 아닌 것으로 국세청의 재공시 명령에 따라 이후 절차를 진행할 것입니다.
3) 나눔의 집 관련
나눔의 집과 정의연은 다른 단체입니다.
나눔의 집은 1992년 10월 불교인권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설립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보호시설이었고, 1998년 8월 일본군‘위안부’기념관 개설 이전까지 정의연(정대협)과 같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1999년 10월 경기도 광주군으로부터 설립승인을 받고 현재 『노인주거복지시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4) 통합운영에도 불구하고 정대협 법인 존치 등 관련
2018년 7월 11일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은 운동의 통합하여 출범했으나 정대협의 법적 해산 등에 대한 행정조치를 진행하는 과정이 지체되었습니다.
2019년 정대협 부설기관인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독자적 운영을 결정하고 운영법인설립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아직 법적으로 남아있는 정대협을 박물관 운영법인으로 하는 것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후 2020년 4월 박물관 운영법인의 기능으로 정관변경을 주무관청인 외교부에 제출하여 승인받았습니다.
*5월11일 정의기억연대 기자회견 자료 바로가기(pdf자료)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725&mod=document&pageid=1
*5월8일 [공지] 이용수 할머니 기자회견에 대한 정의연 입장 바로가기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697&mod=document&pageid=1
*5월 11일 조선일보는 정의연이 개최한 ‘현 상황에 대한 기자회견’에 대한 악의적 왜곡보도 즉각 중단하라!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739&mod=document&pageid=1
*5월 11일 한국경제신문은 악의적 허위보도/왜곡보도를 중단하라!
http://womenandwar.net/kr/notice/?uid=745&mod=document&pagei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