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
10월

증언3집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3』 발간  

1998 
8월

유엔인권소위원회, 게이 맥두걸의 「전쟁 중 조직적 강간, 성노예제 및 노 예제 유사관행」 보고서 채택(부속 문서, 「제2차 대전 중 설치된 위안소에 관한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의 분석」)

4월
제5차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이제, 일본 정 부의 배상으로 해결을!’ 개최/개최지: 서울(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 국제법정을 개최하기로 결정)
2월
제300차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 개최  
1997
12월

일본군‘위안부’ 국내 최초 증언자 김학순 할머니 별세

8월
‘강제연행당한 일본군위안부 할머니 지키기 시민연대’ 2차 모금 시작 (1998.05. 피해자들에게 모금 지원금 전달)
7월
정대협 외무부 산하 사단법인 등록
4월
증언2집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2』 발간
1996
10월

일본 정부의 ‘국민기금’에 대응하기 위해 정대협 등 39개 시민단체, ‘일 본군'위안부'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시민연대’(이후 ‘강제연행당한 일본 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연대’로 개칭) 발족, 국민모금 및 캠페인 시 작(1997.5. 당시 신고, 확인된 피해자 154명에게 모금 지원금 전달)

4월
유엔인권위원회, 라디카 쿠마라스와미의 「일본군 성노예제에 관한 보고 서」 채택
3월

제4차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국민기금이 왜 해결책이 아닌가?’ 개최/개최지: 필리핀 마닐라

3월
ILO, 최초로 보고서에 일본군’위안부’문제 개제(강제노동금지규약(ILO Convention 제29조) 위반)
1월
제200차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 개최
1995
9월

정대협 서울변호사회 주최 제3회 시민인권상 수상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참석(최종 행동강령에 진상 규명과 범죄자 소추 및 피해자 보상 명기된 147[e]와 [f] 채택)

3월
증언집 『중국으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발간
2월
제3차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전후 50년 위안부 문제는 왜 해결되지 않았는가’ 개최/개최지: 서울(민간위로기금 거부 결의)
1994
11월

ICJ(국제법률가위원회),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보고서, 「위안부-끝 나지 않은 시련(Comfort Women - an Unfinished Ordeal)」 발표

8월
일본군‘위안부’문제 PCA(국제상설중재재판소) 제소 결정 및 준비위원회 출 범 (일본 정부가 응하지 않아 무산)
2월
일본 도쿄 지방검찰에 일본군‘위안부’문제 책임자 처벌을 위한 고소‧고발 장 제출(수령거부)
1993
12월

제100차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 개최

10월
제2차 ‘강제종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개최/개최 지: 일본 도쿄(‘일본군위안부’ 용어 사용 결의)
8월

<일본정부의 강제종군’위안부’문제 제2차 조사발표(일명, 고노담화)에 대 한 우리의 입장> 성명 발표

6월
한국 정부, 「일제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 제정

비엔나 세계인권대회 참석 (비엔나 선언 및 행동계획에 여성인권 명 기. 이후 세계인권선언문에 무력분쟁하의 여성인권침해 사례의 하나로 ‘성 노예제’ 포함.) 북한 장수월, 남한 김복동 만남
2월
증언1집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1』 발간
1992
12월

일본군‘위안부’와 ‘여자 근로정신대’ 피해자 10명, 야마구치 지방재판소 시모노세키지부에 제소(일명 관부재판 시작. 1998년 1심, 원고 일부 승소)

12월
‘정신대할머니 생활기금모금 국민운동본부’ 발족 (1993.7. 당시 신고 피해자 62명에게 모금 지원금 전달 후 해산)
8월
정대협 국제협력위원회, 유엔인권소위원회에 참가해 일본군‘위안부’ 문제 제기 (이후 매년 유엔 등 국제기구에 공식 문제 제기 지속)
8월
제1차 ‘정신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개최/개최지: 서울
1월
제1차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 시작
1991
12월

김학순 등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일본 정부 제소 (일명, ‘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사건’)

9월
‘정신대 신고전화’ 개설
8월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김학순, 최초 공개 증언  
1990
11월

국내 37개 여성단체가 모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결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