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발간제10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Resolution of the 10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제10차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및 행동계획 2011년 8월 12일부터 14일까지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로 제10차 일본군‘위안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시아연대회의가 서울에서 열렸다. 10차 연대회의에는 동티모르, 필리핀, 태국, 대만, 일본, 한국 등 아시아와 미국, 캐나다, 독일 등 세계 각지에서 150 여 명이 참가했고, 북측은 문서로 참가하였다. 특히 태국에서 노수복 할머니와 일본에서 송신도 할머니가 한국의 할머니들과 함께 연대회의에 참여하였다. 우리는 제10차 아시아연대회의를 통해 지난 20년 동안 각 나라의 활동상황을 공유하고, 각 국에서 혹은 국제연대를 통해 진행 해 온 활동의 성과들을 찾아내고, 그 성과들을 어떻게 계속 확산, 계승해 나갈 것인지를 진상규명, 입법, 국제연대, 피해자지원, 기억 ․ 교육 활동 영역에서 논의하였다. 김학순 할머니께서 최초로 본인이 일본군‘위안부’였다는 사실을 밝혔던 때로부터 20년이 지난 오늘, 66년의 기다림과 20년의 피해자들의 투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제 해결을 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이 우리의 입장을 밝힌다. 일본정부와 일본국회에 대한 우리의 요구 1. 일본정부는 일본군이 1930년대부터 일본의 패전에 이르는 동안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여성들을 연행, 성노예화 한 사실에 대해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사죄해라. 이를 위해 모든 관련 문서를 공개하고, 진상을 규명하라. 2. 일본국회는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국가책임 인정과 공식사죄 및 법적 배상을 실현시키기 위한 특별법을 하루속히 제정하라. 3. 일본정부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어떠한 폭언과 행동도 용납해서는 안 되며,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박하라. 4. 일본정부는 역사교과서에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올바르게 기록하게 하고, 현재와 미래 세대에게 교육하라. 우리의 행동 계획 1, 우리는 일본정부가 피해자와 국제사회의 목소리에 직면하여 한시라도 빨리 공식사죄와 배상을 위한 입법을 제정하도록 일본국회와 정부를 향해 강력하게 활동한다. 이를 위해 -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의 국회의원들과 각 국 국회의원들의 교류활동을 추진한다. - 각국의 지방의회, 국회를 향한 활동을 적극 전개한다. 2. 우리는 2011년 12월 14일에 실시하는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1000차 수요시위>를 글로벌 캠페인으로 전개한다. 이를 위해 - 세계 각지의 시민단체들이 연대하여 각국에서 1000차 수요시위에 연대하는 공동집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조직한다. - 세계 각 지의 정치, 문화, 사회 인사들이 1000차 수요시위를 맞아 피해자들을 격려하고, 일본정부에게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연대 메시지를 발표하도록 조직한다. 3. 우리는 일본정부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국제여론 조성을 위해 국제연대를 강화한다. - 유엔의 각 기구에 일본군‘위안부’문제를 해결되지 않은 인권과제로 계속 제기하며 일본정부에게 문제 해결을 촉구하도록 활동한다. - ILO에서 2012년 총회 안건으로 채택, 권고가 나오도록 ITUC 및 ILO 노동자그룹 의장에 대한 활동, 일본군‘위안부’문제의 심각성에 공감하는 여러 국가의 정부와 사용자에게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한다. - 국제인권단체 및 평화단체와의 적극적인 연대활동을 전개한다. 4. 우리는 아시아 각국의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고 특히 피해국 정부와 국제 시민사회가 지원을 위한 체계를 마련하도록 활동한다. 5. 우리는 일본군‘위안부’와 같은 범죄가 재발되지 않도록 미래 세대들에게 일본군‘위안부’역사를 기억하게 하고 교육한다. 이를 위해 - 일본 역사교과서에 일본군‘위안부’기술이 부활하도록 활동한다. 그 일환으로 일본정부에 검정·채택 제도를 개선하도록 요구한다. - 각 국 제도 교육에 대한 개입, 감시활동을 통해 아시아 및 세계 여러 나라 역사인권교과서에 일본군‘위안부’사실을 기록하고 미래 세대에게 교육할 수 있도록 활동한다. - 민간차원의 대체교재를 책, DVD 등으로 만들어 제작, 보급하고 이를 역사·인권교육에 활용하게 한다. - 일본군‘위안부’를 기억하고 교육할 수 있는 박물관, 아카이브, 역사관, 추모비 등의 시설을 건립하는 활동을 지원하며,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인권, 평화 이슈 관련 박물관 및 교육시설과 네트워크를 결성하여 활동한다. 6. 우리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전쟁과 분쟁 하에서 인권을 유린당하고 있는 여성들의 문제 해결에 적극 관심을 갖고 연대한다. 2011년 8월 14일 제10차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The 10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for the Resolution of the Issue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ction Plan and Conference Resolutions The 10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for the resolu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during WW2 is held in Seoul from 12th to 14th of August 2011, under the title of “The Evaluation of the Past 20 Years of Asian Solidarity to Resolve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and the Way Forward”. Over 150 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world included those from Timor Leste, the Philippines, Thailand, Taiwan, Japan, Korea, USA, Canada and Germany. North Korea participated via submission of documents. Especially, Noh Su-Bok from Thailand and Song Shin-do from Japan was able to visit her homeland and participate in the Solidarity Conference with the survivors in Korea. We, at this 10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have shared reports of campaign activities in our respective countries, recognized our achievements in our global solidarity, and discussed how to further these successes in fact finding, legislation, international solidarity, supporting activity, remembrance, and education. Today, as we recognize 66 years of wait and 20 years of struggle since KIM Hak Soon halmoni’s first testimony, we still face the reality where the problem is unsolved. Therefore we demand the followings to solve military sexual slavery. Demand to the Government of Japan and the Japanese Parliament 1. The government of Japan must officially admit and apologise for its military’s role in the trafficking and sexual slavery of women in the Asia Pacific from 1930 to the end of World War II. To realise this, all relevant official documents should be fully disclosed to reveal the truth. 2. The Japanese Diet must pass the Special Bill on the so called “Comfort Women” issue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realize official apology, recognition of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compensation through legislation. 3. The government of Japan must not allow any public statements that deny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urther, any such Statements must be promptly and officially condemned by the government of Japan. 4. The government of Japan must educate its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for the purpose of non-repetition through teaching of correct history in its textbooks of Japanese history. Action Plan 1. We will actively pursue the Japanese parliament and the government of Japan in the hope that they will legislate to officially apologize and compensate under the pressure of the victimized survivors and the global community. To achieve this, we will a. pursue activities that engage with Japanese parliament members and members of parliament in each of our respective countries. b. strategize and implement activities geared towards each country’s local council and congress. 2. We will make “1000th Wednesday Demonstration for Resolving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which will take place on December 14, 2001, a global campaign. To achieve this, we will a. organize so that civil groups all over the world participate in the 1000th Wednesday demonstration in solidarity. b. organize to announce solidarity messages of support from high profiled persons in politics and society for the 1000th Wednesday Demonstration and to report message demanding solu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3. We will strengthen the global movement and actively engage with global media in order to strongly lobby the government of Japan for the righteous resolu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o achieve this, we will a. engage with the UN processes to continue to present the issue as an unresolved human rights issue that requires redress by the government of Japan. b. request support from ITUC and the chairperson of ILO workers’ group so that the issue is adopted as an individual case and recommendation is given in 2012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In addition, we actively demand cooperation from other countries and their governments and employers’ group who recognize the gravit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c. engage in solidarity movement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NGOs and other peace movement organizations. 4. We will continue to support aid activities for Asian victims and urge their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civil society to establish support system for the victims. 5. We will make the next generation remember the hist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nd educate them in order not to repeat this similar war crime. To achieve this, we will a. act to restor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in the Japanese history text books. b. encourage Asian and other countries to record the truth abou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hrough intervention and supervision of their education system and to educate the next generation. c. provide alternative textbooks and films on non-governmental level and encourage people to use them for history and human rights education. d. support various activities such as opening a museum, building an archive, and erecting a monument for the victims and establish educational system and network with other countries’ movement on women’s human rights and peace issue. 6. We will show active interest and strengthen solidarity in the violation of women’s human rights currently occurring in wars and in armed conflicts. August 14, 2011 Participants of the 10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for the resolu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