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2005년 2월 12~13일, 우리는 도쿄에서 열리는 제 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참석을 위해 함께 모였다. 한국, 필리핀, 중국, 대만 그리고 일본에서 약 150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특히 필리핀에서는 3개의 관련 단체가 처음으로 회의에 참가하여 의미를 더했다. (네덜란드와 북한은 문서참가)
1991년, 일본군 ‘위안부’피해자의 증언을 통해 역사의 오랜 침묵이 깨진 지도 벌써 14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음에도, 일본정부는 아직까지 공식적인 사죄, 배상 및 진상 규명을 회피하고 있다. 이것은 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한 침략전쟁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제정된 평화헌법을 개정하려는 일본 정, 재계의 움직임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는 동안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법안 및 진상규명을 위한 법안이 수 차례 의회에 제출되었으나, 이 역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한편, 사죄와 배상을 요구해온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무시한 채 강행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이하 ‘국민기금’)은, 그 시책의 실패를 인정하지 않은 채, 2006년도로 해산될 것이 발표되었다. 동시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많은 소송이 일본 최고 재판소에 의해 기각되거나 아예 관련 서류가 수리되지도 않음으로써 패소가 확정 되어, 우리는 일본의 사법부에서조차 진정한 정의가 구현되지 못함을 보았다. 현재 중국과 대만의 소송만이 계류 중에 있다.
고령의 피해자들에게는 오로지 생전에 정의가 실현되는 것을 보는 것이 유일한 희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의 실현을 보지도 못하신 채, 생존자들은 하나, 둘 세상을 떠나고 계시다.
더 이상 시간이 없다. 아시아 태평양 전쟁이 끝난 지 60주년이 되는 올 해에는 반드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고자 우리는 아래와 같은 확인 및 행동사항을 제기한다.
【확인사항】
1. 우리는 기금(atonement money)의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국민기금이 피해 여성들의 존엄 회복에 실패하였음을 확인한다.
2. 우리는 일본정부가 공식 사죄, 배상 및 진상규명을 실행할 때까지, 일본의 UN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반대한다.
【전후60주년 긴급행동】
1.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촉진법의 실현과, 일본정부의 공식적인 사죄와 배상을 촉구한다.
2. 일본정부에 대한 UN인권위원회의 권고를 실시하도록 요구하는 국제 서명운동을 전개한다.
3.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전 세계 동시 시위와 요청 행동을 8월 중 실시한다.
4.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실을 각국의 교과서에 실어, 후대들에게 교육한다. 특히, 위안부 문제에 대해 부정하고 있는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 채택을 금지한다.
5. 아시아 연대를 통하여 현재 계류중인 일본군 위안부관련 소송을 지원한다.
【국제연대행동】
1.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과 함께 증언활동을 추진한다.
2. UN인권위원회, 베이징+10, ILO 등의 국제회의를 통하여 국제 사회에 연대 행동을 촉구한다.
3. 일본군 성노예제의 책임자를 심판한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 법정’에 관하여 왜곡, 축소한 NHK의 보도에 대한 정치적 개입에 반대하여, 진상조사를 실시한다.
4. 일본 정부 및 관련국에 위안부 제도에 관한 문서를 공개할 것을 촉구한다.
5. 각 국, 각 지역에서 시작된 기록, 기억의 보존과 교육활동을 위하여 박물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6. 여성의 인권 확립을 위하여 성 차별을 없애고, 비폭력-평화 사회의 실현을 위한 보다 넓은 국제 사회의 여러 운동들과 연대한다.
2005년 2월 13일, 동경
제7차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Resolution of the 7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on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We have gathered here at the 7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on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in Tokyo from South Korea, Mainland China, Philippines, Taiwan and Japan on February 12th and 13th, 2005 (the Netherlands and North Korea contributed their reports). It is our pleasure to especially note that three different groups from the Philippines came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t this conference.
Already 14 years have passed since a survivor of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broke the silence in 1991.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t offered a sincere apology, reparation, or a full fact finding investigation.
This situation is interlinked with the movement 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business community to revise the peace constitution, which was originally founded based on remorse toward aggression committed against the Asian countries.
During these years, a draft bill aimed to settle th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and to facilitate fact finding have been introduced at the Diet respectively for several times, but these bills are faced with no foreseeable re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Asian Women’s Fund”, which was originally established by overriding the voices of survivors who had continually demanded apology and reparation, has announced to dissolve itself at the end of fiscal year 2006, however without acknowledging its due failures. Concurrently, a number of ‘comfort women’ litigation cases have been declined by the Japanese Supreme Court. Justice has not been realized even in the judiciary of Japan. Only the litigation cases of Taiwan and Mainland China remain pending today.
It has been the hope of aged survivors to see justice realize itself while they are still alive. However, one after another, many survivors have passed away in recent years without seeing justice come to life. Time is running out.
This year, to mark the 60th year after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we confirm and propose the following points and action plans to achieve a proper settlement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We confirm as follows;
1. that the Asian Women’s Fund has been a failure, regardless of whether one accepted the “atonement money” or not, as it has failed to remedy the dignity of the survivors.
2. that we will object to Japan’s permanent membership of UN Security Councils until Japan offers an official apology, reparation and fact finding investigation.
Urgent action plans marking the 60th year since the end of WWII;
1. Compel the Japanese Diet to pass the bill to promote resolution on the issues of ‘comfort women’ and to oblige the Japanese government to offer an official apology and reparation.
2. Promote an international petition campaign to demand that recommendations by UN human rights bodies be implemented.
3. Organize a world simultaneous demonstration and action appeal in August to demand due settlement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4. Include facts related to ‘comfort women’ in each country’s textbooks to educate future generations.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adoption of junior high school textbooks, which deny facts regarding ‘comfort women’.
5. Support the pending military sexual slavery litigation in solidarity across Asia.
Action plans in solidarity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1. Promote public hearings of testimonies together with the survivors.
2. Appeal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undertake solidarity actions in international for a such as Beijing +10, the UN Commission on Human Rights and ILO.
3. File objections and conduct truth finding regarding NHK Broadcasting coverage of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on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which distorted and undermined the issue by political interventions.
4. Urg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other related governments to disclose the documents concerning military sexual slavery.
5. Build the museum network, aimed at retaining record/memory and promoting education on this issue, to expand the initiatives emerging in respective country and locality.
6. Establish solidarity with broader international movements promoting women’s human rights, working to end gender-based discrimination, and making a peace and non-violent society.
February 13, 2005
All Participants of the 7th Asian Solidarity Conference on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